• 제목/요약/키워드: 국토관측위성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7초

농림위성용 GCP 칩 매칭 성능 향상을 위한 위성영상 공간해상도 결정 (Determination of Spatial Resolution to Improve GCP Chip Matching Performance for CAS-4)

  • 이유진;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1호
    • /
    • pp.1517-1526
    • /
    • 2021
  • 최근 국내외에서 많은 지구관측위성들이 발사됨에 따라서 위성영상의 활용 분야가 넓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서 위성영상의 기하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2025년에 발사예정인 5 m 해상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농림위성을 위한 자동기준점 추출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국토위성용으로 구축된 25 cm 해상도의 지상기준점 Chip을 농림위성영상에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 농림위성영상용 지상기준점 추출 시 정합 성능 향상을 위한 적절한 공간해상도가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실제 실험은 농림위성영상과 유사한 사양을 가진 RapidEye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5 m 해상도의 원본 RapidEye 영상을 3배~7배로 분할하여 여러 해상도를 가진 영상으로 만들고, 해상도를 가지는 지상기준점 Chip은 크기를 축소하여 위성영상의 해상도에 맞게 조절하였다. 각각의 해상도를 가지는 위성영상과 지상기준점 Chip을 매칭하고 이 결과로 수립된 정밀센서모델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 m의 원본 해상도에서 정합하는 것보다 위성영상의 해상도를 높여서 정합하는 것이 개선된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원본 영상을 1.25~1.67 m 해상도로 분할하여 지상기준점 Chip과 정합 할 경우 평균 약 2.74 m 내외의 위치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농림위성영상의 자동기준점 추출 및 정밀정사영상 생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Network RTK GNSS방법 중 FKP와 VRS 관측 방법의 정확도 평가 (FKP and VRS among Network RTK GNSS methods Accuracy Evaluation of Observation Methods)

  • 김재우;문두열;김영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00-209
    • /
    • 2022
  •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국가산업의 주요한 목표로 부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시간 위치 정보(3차원 공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위성 측위 방법의 기술 발달이 필수적이다. 그래서 국가에서는 Network RTK GNSS방식을 도입하여, 수요자의 요구에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Network RKT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방식 중 VRS(Virtual Reference Station)과 FKP(Flachen-Korrektur Parameter)을 이용하여 통합기준점에서 연속 관측과 단독 관측을 측량하여 정확도 평가를 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Network RTK GNSS 방법에 대하여 정확도를 제시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RS/GIS 자료융합을 통한 국가 재난관리 및 조사·분석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vestigation, and Analysis Using RS/GIS Data Fusion)

  • 김성삼 ;석재욱;이달근;이준우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2호
    • /
    • pp.743-754
    • /
    • 2023
  • 기후변화와 극한기상으로 유발된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고로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International Charter와 같은 국제기구간의 상시 공조체계를 구축하고, 이러한 대규모 재난관리와 신속한 복구를 위해 고해상 위성영상 및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국토위성이 본격적으로 정상 운용되면서 국토정보 구축뿐만 아니라 국내·외 대형 재난에 대해 피해분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특별호에서는 2023년 주요 재난사고 발생 현황과 정부의 국가재난안전시스템 개편 대책을 기술하였다. 또한, 연구원에서 재난 상황관리 및 분석을 위해 수행하고 있는 인공위성과 정보통신, 공간정보 활용기술과 관련된 최신 연구성과와 재난사고 원인·피해조사를 위한 자료 수집·처리·분석과 관련된 최신 연구성과를 담았다. 아울러, 드론매핑(drone mapping)과 라이다(LiDAR) 관측기술을 활용한 2023년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피해 현장조사 사례를 기술하였다.

DGNSS 기준국 관측환경 분석 (Analysis of GPS signal environment at DGNSS stations)

  • 손동효;박관동;원지혜;최용권;기창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625-629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 위성항법중앙사무소가 운영하고 있는 17곳 DGNSS 기준국의 신호수신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관측자료의 TEQC 프로그램 품질평가, 가시성 분석 및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TEQC 프로그램 수행결과 팔미도, 어청도, 거문도, 평창, 성주, 충주 기준국의 일부 지수가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나타났다. 6곳을 제외한 품질평가지수는 평균 98%의 데이터수신율과 0.19m의 L1 의사거리 다중경로 오차, 0.71m의 L2 의사거리 다중경로 오차가 나타났으며, 사이클슬립은 1000회 관측당 평균 1.3회 수준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기준국들은 최적의 환경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팔미도와 어청도의 경우 데이터수신율이 낮았다. 이는 L2C 신호를 송출하는 위성들의 P2 신호를 기록하지 못하여 수신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거문도의 경우 주변 장애물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설치된 관측장비 또는 설비문제로 인하여 품질지수가 저하된 것으로 사료된다. 평창은 남쪽에서 북서쪽으로 이어지는 야산이 폭 넓게 위치하고 있어 데이터 수신율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기준국으로 확인되었다. 4개의 품질평가지수가 모두 좋지 않은 성주와 충주는 주변 환경이 다른 기준국과 큰 차이는 없었으나, 설치된 관측장비에 의해 신호품질이 저하된 것으로 추정되어 비교실험을 통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

LX 대한지적공사 위성측위 인프라 구축 및 네트워크 실시간 이동측위 성능 분석 (Establishment of LX GNSS Network and Accuracy Analysis of Network Real Time Kinematic)

  • 하지현;김현호;김재복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46-554
    • /
    • 2014
  •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에서는 네트워크 RTK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국에 30개소의 LX 위성측위 인프라를 구축하고 MAC 기반의 네트워크 RTK 서비스를 시험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X 위성측위 인프라의 구축 현황을 소개하고 MAC 기반의 네트워크 RTK 서비스의 측위 성능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성능 분석을 위하여 임시 고정점을 설치하고 국토지리정보원의 VRS와 동시관측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인프라는 동서, 남북 방향으로 평균 $1{\sim}2{\pm}1cm$ 차이를 보였으며, 초기화 시간도 10초 이내에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KOMPSAT-3 위성영상의 RPC 보정을 위한 국가 통합기준점 탐지 (Detection of the Unified Control Points for RPC Adjustment of KOMPSAT-3 Satellite Image)

  • 이효성;한동엽;서두천;박병욱;안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829-837
    • /
    • 2014
  • KOMPSAT-3는 0.7 m 공간해상도의 스테레오 흑백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RPC를 제공하고 있다. 내 외부표정요소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제공 RPC로부터 지상좌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RPC 조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는 국토지리정보원에 의해 수천 개의 국가 통합기준점이 국토 전역에 걸쳐 설치되고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통합기준점은 국토지리정보원의 국가기준점발급시스템에서 쉽게 검색되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본 연구는 KOMPSAT-3 위성영상에서 UCP를 탐지하기 위해, 특징점 추출 방법과 거리 방향각 적용방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거리 방향각 적용방법이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 방법으로 조정된 RPC는 UCP 한 점만 적용한 경우, GPS 지상 기준점을 이용하여 조정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평면위치 정확도는 제안 방법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UCP 탐지방법으로 RPC 보정을 위한 GPS 현장관측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Differential Code Bias를 고려한 한반도 전리층 총전자수 지도 생성 (Generation of Korean Ionospheric Total Electron Content Map Considering Differential Code Bias)

  • 이창문;김지혜;박관동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3-301
    • /
    • 2011
  • 전리층에 의한 신호지연 오차는 2000년 5월 SA해제 후 GPS 측위의 가장 큰 오차 요인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리층 오차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토지리정보원 44개소의 상시관측소로부터 제공된 위상평활코드 의사거리 관측값을 이용하여 전리층 총전자수를 추정하였다. 총전자수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 위성과 수신기의 하드웨어 바이어스인 DCB(Differential Code Bias)를 산출하여 적용하였으며, 적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GlM을 기준으로 DCB 적용 전 후의 전리층 총전자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DCB를 적용했을 때 약 3~4 TECU, 적용하지 않았을 때 약 35~45 TECU의 RMS 오차를 나타냈다. DCB를 적용하여 $1^{\circ}{\times}1^{\circ}$ 공간해상도의격자형 전리층 총전자수 지도를 생성하였으며, 이때 총전자수 추정에 이용되는 상시관측소의 개소 수 증가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상시관측소의 개소 수를 10개소, 20개소, 30개소, 44개소 순으로 증가시키며 총전자수를 추정하였다. 각 총전자수 지도를 GIM과 비교하여 RMS 오차를 산출한 결과, 10개소의 상시관측소를 이용한 경우 5.3 TECU에서 44개소의 상시관측소를 이용한 경우 3.9 TECU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GNSS 망조정에 종속기선이 미치는 영향 (Impact of Trivial Baseline into GNSS Network Adjustment)

  • 윤성현;이흥규;박종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93-60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GNSS 단일기선해석과 망조정을 통한 측량기준점 성과 산정에서 종속기선 포함여부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망조정 이론을 바탕으로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토지리정보원 운영 위성기준점 50 개소의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종속기선 포함여부에 따라 3가지 형태의 기준점 측량망 구성 및 조정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정확도 표현과 산정성과의 차이 측면에서 분석 하였다. GNSS 망조정에 종속기선을 포함하는 경우 조정성과 차이는 밀리미터 수준으로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망의 자유도와 기하강도 왜곡으로 그 정확도가 과대평가되는 결과를 얻었다. 3가지 경우에 대한 조정성과를 국토지리정보원 고시좌표와 비교했으며, 그 결과 독립기선으로만 이루어진 망의 성과가 가장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 그러나 종속기선을 포함한 조정결과는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어 성과의 정확도 표현에 왜곡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따라 GNSS 단일기선해석으로 얻어진 기선벡터의 망조정에서는 기존 성과와의 일치성, 현실적인 정확도 표현 그리고 과대한 데이터 처리에 따른 시간 및 비용 부담을 고려할 때 종속기선을 제외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GIPSY-OASIS 기반 LX GNSS 온라인 자료처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LX GNSS On-line Data Processing System Based on the GIPSY-OASIS)

  • 김현호;하지현;차득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55-561
    • /
    • 2014
  • 위성항법시스템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자료처리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한 자료처리 서비스는 사용자가 손쉽게 정확도 높은 자료처리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온라인 자료처리 시스템은 전 세계의 여러 연구기관과 국가에서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국내 활용이 제한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GNSS 후처리 뿐만 아니라, 지적 측량에도 활용 가능한 온라인 자료처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국토지리정보원 SUWN을 기준으로 좌표를 산출하며, GIPSY-OASIS의 정밀자료처리(PPP) 기법을 사용한다. 현재시스템은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통해 좌표를 산출하고자 하는 관측자료를 FTP를 통해 공간정보연구원의 데이터처리 서버로 업로드하면, 서버에서 자동으로 좌표를 계산하여 유저에게 이메일로 자료처리 결과를 전송한다. 결과검증을 위해 국토지리정보원 상시관측소 고시좌표와 비교한 결과 동서방향으로 약 1.4 cm, 남북방향 -1.0 cm, 수직방향 0.5 cm의 차이를 보였다.

UAV를 활용한 지적측량 업무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orking Methods for cadastral survey Using UAV)

  • 고정현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2호
    • /
    • pp.169-185
    • /
    • 2019
  • 기존의 위성을 활용한 영상과 항공사진은 광활한 지역의 자료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지만, 특정 지역의 자료를 원하는 시점에 촬영하여 가공하는 것의 한계와 짧은 주기의 반복적인 촬영이라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많은 신기술이 개발되면서 지적정보 구축방법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UAV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지적정보를 구축하는 무인항공측량이 지적정보 취득기술로 관심도가 높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AV를 이용하여 지적측량 대상 지역의 지적측량 업무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측지역별 제작된 고해상도 영상의 정확도를 비교.분석해 보고, 검증된 영상과 지적 관련 자료를 활용해 기존 지적업무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지적측량 관련 법률 규정 현황과 UAV의 기술적 특성 등을 분석해 지적측량에 활용 가능성을 분석해 보고 이를 기초로 도입을 위한 기술적, 법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