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토관측위성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order to Predict Soil Moisture Using Satellite Image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토양수분 예측을 위한 토지피복 분류)

  • Yu, Myung-Su;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2-322
    • /
    • 2011
  • 지표에서의 토양수분은 작은 구성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여러 수문 현상을 연계하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써 최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토양수분은 침투나 침루를 통하여 강우와 지하수를 연결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강우사상에 따른 유출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증발산을 통하여 에너지 순환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인자로 기후변화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지난 수십 년간 산림개간과 도시화는 토지이용의 변화를 초래하여 토지피복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도시화는 불투수층을 증가시켰고, 산림개간으로 산림이 농장으로 변하여 침투율을 감소시켜 유출률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토지피복의 변화는 토양수분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분류를 위해 구름의 영향이 적은 Landsat TM 영상을 사용하여 청미천 유역의 토지피복을 분류하여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였다. 청미천 유역은 현재 국제수문관측사업(IHP)의 일환으로 체계적인 수문관측이 진행되고 있는 지점으로, 추후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산정한 토양수분 자료를 비교할 수 있는 유역이다. Landsat TM 영상은 2009년 5월 23일에 관측된 115-34(path row) 영상으로 구름이 거의 없는 날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다중 스펙트럴 위성영상인 Landsat TM 영상은 30m 공간해상도로써 토지피복분류와 식생 등의 정보를 추출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미천 유역의 위성영상에 대하여 영상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무감독분류와 감독분류기법을 적용하여 토지피복을 분류하였다. 분류한 토지피복도는 국토해양부에서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WAMIS) 을 통하여 제공되는 토지피복도와 비교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icient Orthorectification of KOMPSAT Image (아리랑 영상의 효율적 정사보정처리 연구)

  • Oh, Kwan-Young;Lee, Kwang-Jae;Hwang, Jeong-In;Kim, Youn-Soo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6_3
    • /
    • pp.2001-201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fficiently improve orthorectification of KOMPSAT images. As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nd abroad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accelerates, the number and amounts of satellite images acquired are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mprove orthorectification for the acquired image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This study focused on enhancing processing efficiency through algorithm improvement, except for improving hardware computing capabilities such as GPU. Accordingly, the algorithm was improved with the LUT-based RFM method, and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accuracy and time-efficiency that vary depending on offset settings.

Analysis of Positioning Accuracy Using LX GNSS Network RTK (LX 위성측위 인프라기반 네트워크 RTK를 이용한 측위성능 분석)

  • Ha, Jihyun;Kim, Hyun-ho;Jung, Wan-seok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9 no.6
    • /
    • pp.507-514
    • /
    • 2015
  • The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of the LX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manages infrastructure for the LX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which comprises 30 monitoring stations nationwide. Since 2014, it has conducted network real-time kinematic (RTK) tests using the master-auxiliary concept (MAC). This study introduces the infrastructure of LX GNSS and presents the results of a performance analysis of the LX RTK service. The analysis was based on a total of 25 cadastral topographic control points in Jeonju, Seoul, and Incheon. For each point, performance was measured over one observation, two repeated observations, and five repeated observations. The measurements obtained from LX MAC and the VRS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were compared with the announced coordinates derived from cadastral topographic control points. As a result, the two systems were found to have similar performance with average error and standard deviation differing only by 1 to 2 cm.

Estimation of Flood Discharge using Satellite-derived Rainfall in Abroad Watershed (위성강우를 이용한 해외 유역 홍수량 추정)

  • Kim, Joo Hun;Choi, Yun Seok;Kim, Kyeong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0-250
    • /
    • 2017
  • 글로벌 위성 기반의 강수량 관측에 대한 역사는 1979년에 Arkin의 의해 제안된 IR방법에 의해 위성으로부터 강우자료를 유도하는 개념이 도입된 이후 1987년 해양에서의 비교적 정확한 강수량 추정이 가능한 다중 채널의 마이크로파(MW) 복사계를 이용한 방법으로 위성강수 추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후 두 IR과 MW를 혼합한 방법에서, 또다시 1997년 TRMM위성의 PR(Precpipitation Radar)의 레이더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2014년 GPM 핵심 위성(GPM Core Observatory)에 탑재된 Dual PR에 의한 방법으로 위성강수의 정확도를 매우 높여가고 있다. 본 연구는 KOICA 사업으로 진행중인 모로코 세부강 유역 홍수방지 마스터플랜 사업에서 모로코 세부강 유역의 2010년 홍수사상에 대한 위성강우 및 지상계측 일일자료를 이용하여 홍수유출량을 추정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모로코 세부강(Oued Sebou) 유역은 모로코의 서북부에 위치하며 유역면적은 한강유역과 유사한 $38,380km^2$이고 하천연장은 450km로 모로코 국토면적의 약 7% 정도를 차지하며 모로코 농업생산의 중심지역이고 유역의 기후 및 기상 특성은 겨울철 온난다습하고 여름에 고온 건조한 지중해성 기후를 나타내며, 연강수량은 400mm이상으로 보고하고 있다(이산 등, 2015). 유역내 49개 관측소의 일일 강우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유역 산술평균 강수량은 607.1mm/yr로 분석되었고, 2010년 가장 많은 강수를 기록한 지역은 Jbel oudka로 1874.1mm/yr였고, 가장 적은 강수량을 기록한 지역은 Allal Al Fassi - Barrage로 289.9mm/yr로 나타났다. 2010년 홍수가 발생한 시기인 2009년 12월 19일부터 2010년 1월 18일까지의 1시간 간격의 위성강우자료와 1일 관측 지상계측자료를 합성하여 위성보정강우량을 추정하였다. 보정 방법은 순위상관방법을 적용하였다. 사용한 모형은 일본 ICHARM에서 개발한 IFAS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MapWindow 기반 GRM 모형(mwGRM)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적용 결과 세부강 유역 본류의 첨두유출량은 $6,010m^3/s$(mwGRM)과 $5,878m^3/s$(IFAS)로 분석되었다. 향후 위성강우 및 지상계측 강우의 시계열적 정확도와 총강우량 등의 정확도 평가를 수행할 계획이다.

  • PDF

Spatial Downscaling of Satellite-based Soil Moisture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in Northeast Asia (기계학습을 활용한 동북아시아 지역 위성 토양수분 데이터 상세화 연구: AMSR2, ASCAT 데이터를 활용하여)

  • Choi, Min Ha;Kim, Seongkyun;Kim, Hyung L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08-208
    • /
    • 2016
  • 수문순환과정의 시공간적 거동을 해석하고 이를 정량화 하는 것은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및 계획을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연구이다. 특히 토양수분은 물 에너지 순환에서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수문인자로, 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방법들이 다각도로 발전되어 왔다. 그 중 위성 데이터를 활용한 토양수분 산정은 미계측 지역의 토양수분을 지속적이고 광역적이게 관측할 수 있는 선진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위성 자료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 해상도는 복잡한 지형 환경을 대상으로 한 지역의 원격 탐사로서는 국지적인 수문학적 현상들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의 70% 정도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도가 $5^{\circ}$ 이하의 평탄한 지역은 약 23%에 그치는 등 복잡한 식생 지형 환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공위성의 해상도와 식생 투과도를 고려할 때 저 해상도의 위성 토양수분만으로는 우리나라와 같이 면적에 비해 복잡한 환경에 기반 한 수문학적 현상들을 충분히 분석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ASCAT과 AMSR2 위성 토양수분의 상세화를 수행하여 고해상도의 토양수분을 산정하였고, 이를 지점관측 자료와 비교해 상세화도 자료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검증된 고해상도 토양수분 데이터는 향후 자연재해 분석에 있어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수문순환 및 기후 모델링에 있어서 중요한 입력 인자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Payload Technical Specifications for Efficient Agriculture and Forestry Satellite Observation (효율적인 농림업 위성관측을 위한 탑재체 기술사양 분석)

  • Kim, Bum-Seung;Lee, Kyung-Do;Hong, Suk-Young;Lee, Woo-Ky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2 no.3
    • /
    • pp.287-305
    • /
    • 2016
  • Over the past half century, satellites have continuously expanded their roles in remote sensing applications. As the number of satellites to be launched are expected to continuously increase in coming years, the research on satellite payloads will be in high demands. Earth Observation (EO) satellites are nowadays widely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Especially, Agriculture and forestry applications are considered as their major application areas. Since about 85% of domestic land cover is classified as forest or cropland areas, it would be reasonable to suggest that the demand for these satellites should be of high priority. In this paper, a comprehensive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technical specifications of satellite payloads that may be applicable to agricultural applications. We attempted to build a solid database on payload specifications by collecting relevant information available from various related institutes and academic research works. A number of experts involved in 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and satellite development programs have been invited to investigate required payload design. Based on the current technology development status and future plan, multiple options for future satellite payload designs have been suggested bearing in mind that the results may be applicable to the future agriculture and forestry satellite payload design. The proposed payload specifications are analyzed in depth through satellite operation simulations under the mission of observing the national agriculture areas. The proposed design scheme and simulation results may be used as technical references to satellite payload design for future space missions.

Analysis of Geolocation Accuracy of Precision Image Processing System developed for CAS-500 (국토관측위성용 정밀영상생성시스템의 위치정확도 분석)

  • Lee, Yoojin;Park, Hyeongjun;Kim, Hye-Sung;Kim, Taej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5_2
    • /
    • pp.893-906
    • /
    • 2020
  • This paper reports on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accuracy of a precision image generation system manufactured for CAS 500. The planned launch date of the CAS 500 is 2021, and since it has not yet been launch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KOMPSAT-3A satellite images having similar specifications to the CAS 500. In this paper, we have checked the geolocation accuracy of initial sensor model, the model point geolocation accuracy of the precise sensor model, the geolocation accuracy of the precise sensor model using the check point, and the geolocation accuracy of the precise orthoimage using 30 image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the target geolocation accuracy is to have an RMSE within 2 pixels when an accurate ground control point is secur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eolocation accuracy of the precision sensor model using the checkpoint was about 1.85 pixels in South Korea and about 2.04 pixels in North Korea, and the geolocation accuracy of the precise orthoimage was about 1.15 m in South Korea and about 3.23 m in North Korea.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North Korea was low compared to that of South Korea, and this was confirmed to have affected the measured accuracy because the GCP (Ground Control Point) quality of the North Korea images was poor compared to that of South Korea.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the precision orthoimage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precision sensor medel, especially in North Korea. It was judged that this occurred from the error of the DTM (Digital Terrain Model) used for orthogonal correction. In addition to the causes suggested by this paper,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factors that may affect the position accuracy.

Analysis of GPS signal environment at DGNSS stations using TEQC (GPS 자료 품질평가를 이용한 기준국 신호환경분석)

  • Sohn, Dong-Hyo;Park, Kwan-Dong;Kim, Du-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19-320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 해양교통시설과 위성항법중앙사무소가 운영하고 있는 DGNSS 기준국의 신호수신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관측자료의 TEQC 품질평가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TEQC는 GPS 수신기로 관측한 원시자료를 RINEX형식으로 변환 편집하고, 관측자료의 품질을 점검하는데 이용하는 GPS 전처리 소프트웨어이다. TEQC 품질점검 기능을 통해 GPS 관측자료의 데이터수신율, L1과 L2 신호의 의사거리 다중경로오차, 사이클슬립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였고, 이를 현장조사결과와 상호 비교하였다. 장기 관측 자료의 TEQC 품질지수 결과를 통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관측소의 주변환경 및 장비변화 시점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 PDF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 of Satellite Image Uses in Water Resources Area (수자원분야의 위성영상 활용 현황과 전망)

  • Kim, Seongjoon;Lee, Yonggwa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1 no.1
    • /
    • pp.105-123
    • /
    • 2018
  • Currently, satellite images act as essential and important data in water resources, environment, and ecology as well as inform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this paper, we will investigate basic characteristics of satellite images, especially application examples in water resources. In recent years, researches on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large-scale regions utilizing the advantages of satellite imagery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for fundamental hydrological components such as evapotranspiration, soil moisture and natural disasters such as drought, flood, and heavy snow.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analyz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such as vegetation characteristics, plant production, net primary production, turbidity of water bodies, chlorophyll concentration, and water quality by using various image information utilizing various sensor information of satellites. Korea is planning to launch a satellite for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 in the near future, so various researches are expected to be activated on this field.

Positional Accuracy Analysis of Permanent GPS Sites Using Precise Point Positioning (정밀절대측위를 이용한 상시관측소 위치정확도 분석)

  • Kang, Joon-Mook;Lee, Yong-Wook;Kim, Min-Gyu;Park, Joon-K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6 no.5
    • /
    • pp.529-536
    • /
    • 2008
  • Researches about 3-D Positioning system using GPS were carried out many-sided by national organs, laboratories, the worlds of science. And most of researches were development of relative positioning algorithm and its applications. Relative positioning has a merit, which can eliminate error in received signals. But its error increase due to distance of baseline. GPS absolute positioning is a method that decides the position independently by the signals from the GPS satellites which are received by a receiver at a certain position. And it is necessary to correct various kinds of error(clock error, effect of ionosphere and troposphere, multi-path etc.). In this study, results of PPP(Precise Point Positioning) used Bernese GPS software was compared with notified coordinates by the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n order to analyze the positional accuracy of permanent GPS site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results of AUSPOS - Online GPS Processing Service for comparison with relative positio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