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토관측위성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f the Precisio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CAS-500 (국토관측위성용 정밀영상생성시스템 개발)

  • Park, Hyeongjun;Son, Jong-Hwan;Jung, Hyung-Sup;Kweon, Ki-Eok;Lee, Kye-Dong;Kim, Taej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5_2
    • /
    • pp.881-891
    • /
    • 2020
  • Recentl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re developing the Land Observation Satellite (CAS-500) to meet increased demand for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Expected image products of CAS-500 includes precision orthoimage, Digital Surface Model (DSM), change detection map, etc. The quality of these products is determined based on the geometric accuracy of satellite imag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ke precision geometric corrections of CAS-500 images to produce high-quality products. Geometric correction requires the Ground Control Point (GCP), which is usually extracted manually using orthoimages and digital map. This requires a lot of time to acquire GC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utomatically extract GCPs and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GCP extraction and orthoimage generation. To this end, the Precision Image Processing (PIP) System was developed for CAS-500 images to minimize user intervention in GCP extraction. This paper explains the products, processing steps and the function modules and Database of the PIP System.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n terms of processing speed, is also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developed System, precise orthoimages can be generated from all CAS-500 images over the Korean peninsula promptly. As future studies, we need to extend the System to handle automated orthoimage generation for overseas regions.

Epipolar Resampling Module for CAS500 Satellites 3D Stereo Data Processing (국토위성 3차원 데이터 생성을 위한 입체 기하 영상 생성 모듈 제작 및 테스트)

  • Oh, Jaehong;Lee, Changno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5_2
    • /
    • pp.939-948
    • /
    • 2020
  • CAS500-1 and CAS500-2 are high-resolution Earth-observing satellites being developed and scheduled to launch for land monitoring of Korea. The satellite information will be used for land usage analysis, change detection, 3D topological monitoring, and so on. Satellite image data of region of interests must be acquired in the stereo mode from different positions for 3D information generation. Accurate 3D processing and 3D display of stereo satellite data requires the epipolar image resampling process considering the pushbroom sensor and the satellite trajectory. This study developed an epipolar image resampling module for CAS-500 stereo data processing and verified its accuracy performance by testing along-track, across-track, and heterogeneous stereo data.

CAS 500-1/2 Image Utilization Technology and System Development: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국토위성정보 활용기술 및 운영시스템 개발: 성과 및 의의)

  • Yoon, Sung-Joo;Son, Jonghwan;Park, Hyeongjun;Seo, Junghoon;Lee, Yoojin;Ban, Seunghwan;Choi, Jae-Seung;Kim, Byung-Guk;Lee, Hyun jik;Lee, Kyu-sung;Kweon, Ki-Eok;Lee, Kye-Dong;Jung, Hyung-sup;Choung, Yun-Jae;Choi, Hyun;Koo, Daesung;Choi, Myungjin;Shin, Yunsoo;Choi, Jaewan;Eo, Yang-Dam;Jeong, Jong-chul;Han, Youkyung;Oh, Jaehong;Rhee, Sooahm;Chang, Eunmi;Kim, Taej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5_2
    • /
    • pp.867-879
    • /
    • 2020
  • As the era of space technology utilization is approaching, the launch of CAS (Compact Advanced Satellite) 500-1/2 satellites is scheduled during 2021 for acquisition of high-resolution images. Accordingly, the increase of image usability and processing efficiency has been emphasized as key design concepts of the CAS 500-1/2 ground station. In this regard, "CAS 500-1/2 Image Acquisition and Uti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to develop core technologies and processing systems for CAS 500-1/2 data collecting, processing, managing and distributing.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results of the above project. We developed an operation system to generate precision images automatically with GCP (Ground Control Point) chip DB (Database) and DEM (Digital Elevation Model) DB over the entire Korean peninsula. We also developed the system to produce ortho-rectified images indexed to 1:5,000 map grids, and hence set a foundation for ARD (Analysis Ready Data)system. In addition, we linked various application software to the operation system and systematically produce mosaic images, DSM (Digital Surface Model)/DTM (Digital Terrain Model), spatial feature thematic map, and change detection thematic map. The major contribution of the developed system and technologies includes that precision images are to be automatically generated using GCP chip DB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the various utilization product technologies incorporated into the operation system of a satellite ground station. The developed operation system has been installed on Korea Land Observation Satellite Information Center of the NGI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We expect the system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center's work and provide a standard for future ground station systems of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Development Status and Prospect of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국토관측센서 기반 수재해 정보 플랫폼 개발현황 및 전망)

  • Yu, Wansik;Park, Gwangha;Lee, Yonghyeon;Hwang, Euiho;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83-383
    • /
    • 2020
  • 한반도를 비롯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가뭄과 홍수 등 물관련 재해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고 이를 정부부처 및 민간에서도 제공 가능한 국가 차원의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수재해 대응 및 관리 위하여 현재 수재해 정보플랫폼 융합기술 연구단이 2014년 7월 1일 출범하여 수행중에 있다. 정보플랫폼 융합기술 연구단은 국토관측센서(위성, 레이더, 지상관측자료) 기반 광역 및 지역 수재해 정보 허브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로 행복한 안심국토 및 물산업 강국 실현이라는 연구비전 아래, 고정밀 수문레이더 기반 도시홍수 관리기술, 가뭄/하천건천화 평가 및 예측 기술 개발, 홍수재해 평가 및 예측 기술 개발, 빅데이터기반 광역 및 지역 수자원정보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이라는 4대 연구성과 목표로 X-Net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해 획득된 자료를 기반으로 수재해 감시·평가·예측 등에 필요한 관련 수문정보를 생성하고 있으며, 생성된 위성영상 및 수문레이더 등의 수문정보를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에 대한 수자원 변동 감시 및 가뭄과 하천 건천화를 효율적으로 평가·예측함으로써 물안보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광역 및 국지 홍수 피해 범위와 규모 등을 평가·산정하고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홍수재해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광역 및 지역 수문자료와 수재해 관련 분석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맞춤형 수재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재해정보플랫폼 및 포털시스템을 개발 글로벌 물 정보 허브로써 기반을 조성해 나가고 있다. 이에 수재해 정보플랫폼 융합기술 연구단에서 개발하여 운영중에 있는 수재해 정보플랫폼의 고정밀 수문레이더 기반 도시홍수 관리시스템, 위성기반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 미계측 지역 수문정보 및 수자원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형 지표 수문정보 생성 시스템 개발현황 등 그간의 노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Current Research and Development Status for CAS 500-1/2 Image Processing and Utilization Technology (국토관측위성영상 처리 및 활용기술 연구개발 현황)

  • Kim, Taej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5_2
    • /
    • pp.861-866
    • /
    • 2020
  • CAS(Compact Advanced Satellite) 500-1 satellite and its follow-up, CAS 500-2, are scheduled to be launched in 2021. For these satellites, a research project on 'CAS 500-1/2 Image Acquisition and Uti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has been carried out. This paper summarizes publications carried out under the project, papers presented within this special issue and contributions of the project.

한국 측지VLBI의 현황과 전망

  • Kim, Du-Hwa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1
    • /
    • pp.51.3-51.3
    • /
    • 2015
  • 1995년 한국 최초로 VLBI관측이 이루어졌다. 일본 측의 26m 안테나(일본 국토연구원 소재)와 한국 측의 3.6m 안테나(국토지리정보원 소재)로 수행되었으며, 이 때 결정된 관측점의 좌표가 세계 공통으로 사용되는 "세계측지계(ITRF)"에 의거한 새로운 국가기준좌표계의 경위도 원점이다. 그 후 측지VLBI관측국의 설치를 위해, "측지VLBI구축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2003년)"와 "측지VLBI구축 실시설계(2006년)"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국가 차원에서 측지VLBI관측소(22m 안테나)를 건설하기 위해 2008년에 관측소 후보지를 세종시로 확정해서 공사에 들어갔다. 2012년에 준공되었으며, 명칭을 "우주측지관측센터"로 하였다. 그 후 1년 동안의 시험관측의 성공으로 아시아에서 3번째로 정식으로 IVS(International VLBI Service)에 가입하였다. 현재 독일, 일본, 미국 등의 측지VLBI관측국들과 정기적으로 관측을 수행하게 되었으며, 실적을 올리고 있다. IVS사업 뿐 만 아니라, 한국천문연구원의 KVN(천문 VLBI)연구팀과도 공동연구를 수행해서 우리나라의 천문 VLBI 및 측지VLBI관측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장차 동남아 각국에 마이크로SAR위성의 관측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지상국(3m급 소형안테나)이 설치되면, 이를 활용해서 측지VLBI관측을 수행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것은 위성용 수신기를 VLBI용 수신기로 교체하면 된다. 한국과 일본이 VLBI관측을 수행했던 것처럼 세종시에 설치된 우주측지관측소가 허브역할을 하면 된다. 즉 동남아 지역에 우주 VLBI관측망을 구축하게 된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gricultural Satellite Development Policy (농림업 중형위성 개발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Kim, Hyeon-Cheol;Kim, Ah-Leum;Kim, Bum-Seung;Hong, Suk-Young;Lee, Woo-Kyung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0 no.4
    • /
    • pp.87-94
    • /
    • 2015
  • The increasing demands and utilization of the multi-purpose satellites have led to diverse research activities with regards to satellite image processing and applications. In the domestic development project for the Compact Advanced Satellite, it is a goal to develop the satellite with the domestic individual technique performing a various tasks such as the earth observation, the monitoring of the weather, climate and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Compact Advanced Satellite is expect to be widely used in the agricultural sector, which account for a substantial part of public demand. This paper aims at establishing the way to utilize the satellite imagery in the domestic institution and the strategy for securing the specialized satellite payload in the agriculture sector. The technical element of satellite has a high value, so that it is hard to be transferred technology.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domestic development planning. Furthermore, this paper can be utilized to identify and support the incoming Compact Advanced Satellite development plan utilizing satellite images capabilities specially in agricultural sector.

Visualization methods of Terra MODIS and GPM satellite orbits for Water Hazrd Information System Monitoring (수재해 정보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한 Terra MODIS, GPM 궤도의 시각화 방안)

  • PARK, Gwang-Ha;CHAE, Hyo-Sok;HWANG, Eui-Ho;LEE, J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18-318
    • /
    • 2016
  • 위성은 준 실시간으로 국토 전체의 관측과 미계측/비접근 지역의 관측도 가능하여 가뭄, 홍수 등 수재해와 관련된 분석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위성 기반의 수재해 모니터링 적용성에 대한 연구 또한 수행되고 있다. 위성에서 관측된 자료는 NASA, JAXA 등의 위성 관리 센터에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터넷으로 제공하고, 최근 K-water에서는 수자원분야의 위성활용을 위해 위성 자료 수집 시스템을 갖추어 Aqua/Terra MODIS, GPM, GCOM-W1 등의 위성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위성 자료는 5분~16일 등의 다양한 주기로 제공되고 있으며, 자료 타입, 측정 시간 등의 간단한 정보만 파일명으로 표시되어 위성의 위치(경위도) 및 해당 지점의 위성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위성 자료를 확인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순차적으로 관측된 위성 자료의 시 공간적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정보를 영상과 함께 맵핑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위성 궤도의 시각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위성 궤도의 시각화 방안으로 사용된 위성 자료는 Terra MODIS의 'MOD02SSH', GPM GMI 센서의 'GPROF' 자료 타입을 사용하였다. 'MOD02SSH'는 5분 동안 5km의 공간해상도로 측정한 자료가 1개의 파일이며, 'GPROF'는 5분 동안 4km의 공간해상도로 측정한다. 공전 주기의 검증을 위해 케플러의 제3법칙을 적용한 Terra 위성의 공전주기는 98.75분으로 계산되며, 위성 자료의 공전주기는 98.87분으로 나타난다. 검증 결과 약 0.12초의 오차가 발생하며, 정확한 위성 고도와 높은 해상도의 위성 자료를 통해 오차의 감소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시각화 된 동적 시계열 이미지는 시간에 따른 위성 궤도의 정보를 추출 할 수 있다. 이는 수재해 정보시스템의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 가능하고, 시간에 따른 위성 궤도 정보를 통하여 필요한 시간대의 위성 위치 정보, 해당 지점의 관측 자료를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자료 수집을 위한 시간 단축이 가능하며, 사용자 또는 관리자를 위한 모니터링 수행 또한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satellite precipitation process module based on QGIS (QGIS 기반 위성강수 처리 모듈 개발)

  • Kim, Joo Hun;Kim, Kyeong Tak;Jo, Min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0-60
    • /
    • 2019
  • OECD 발표에 의하면 물산업 관련 인프라 투자 전망은 전세계 GDP 대비 2010~2020년 약 1.01%에서 2020~2030년 약 1.03%로 확대될 전망으로 다른 통신, 전력, 철도 인프라 투자수요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파이넨셜 뉴스, 2013.3.21.). 우리나라는 2005년 베트남 홍강종합개발사업을 시작으로 2015년 기준으로 세계 35개국에 진출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물 산업 진출 대상 국가는 미계측 유역이 많고 지상에서 계측된 수문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Namgung and Lee(2014)에 의하면 네팔의 수력발전소 건설에 관측된 강우량 자료가 없어 발전소 하류 10km 지점의 유하량 자료를 이용하여 자료의 정확도 검증을 대신하여 적용한 바 있다. 이와 같이 계측자료가 없거나 부족한 지역에 대하여 기상 위성을 이용하여 추정된 강수량 자료가 해당 지역의 강수 특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글로벌 위성 기반의 강수량 관측에 대한 역사는 1979년에 IR방법에 의해 위성으로부터 강우자료를 유도하는 개념이 도입된 이후 1987년 다중 채널의 마이크로파(MW) 복사계를 이용한 방법, 이후 두 IR과 MW를 혼합한 방법에서, 1997년 TRMM위성의 PR(Precpipitation Radar)의 레이더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2014년 GPM 핵심 위성(GPM Core Observatory)에 탑재된 Dual PR에 의한 방법으로 위성강수의 정확도를 매우 높여가고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위성강수인 IMERG(Integrated MultisatellitE Retrievals for GPM)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QGIS 기반의 위성강수 전처리 모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위성강수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위성강수의 정확도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2017년 7월 중부지방 및 충청도 지방에 내린 강수자료를 비교한 결과 상관계수가 약 0.7정도로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2018년 8월 9호 태풍 솔릭(Solik)에 대한 1시간의 시간해상도 분석 결과 상관계수 0.624로 위성강수의 활용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IMERG 위성강수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HDF5 포맷의 원시자료를 활용이 용이한 Tiff 로 변환하는 기능에서부터 특정범위 및 특정지점 추출 기능, Resampling 기능 등을 포함하는 전처리 모듈을 개발하였다.

  • PDF

아리랑위성 1호 초기운용 영상

  • 김용승;임효숙;이동한;김윤수;강치호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1
    • /
    • 2000
  • 아리랑위성 1호는 1999년 12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초기 고도 702.5km, 궤도경사각 98.26도의 궤도 진입에 성공하였다. 발사 후 2 개월간의 초기 운용기간 (Launch Early Operation Phase) 동안 위성체의 점검 및 기본 기능시험이 완료되었고 현재 위성은 정상 임무궤도에서 운용되고 있다. 초기 운용기간에 위성에 탑재된 관측센서의 기능분석 및 시험 영상 촬영도 이루어졌다. 본 발표에서는 초기 운용기간에 전자광학카메라 (EOC)와 해석관측센서 (OSMI)로부터 획득한 영상자료의 일부를 공개한다. 이를 통해 향후 국토이용관리, 해양 및 기상 등 다 방면에 활용될 EOC 및 OSMI 자료의 현재 수신상황을 설명하고 영상자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