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토계획

Search Result 72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국립공원계획 MANUAL

  • An, Won-Tae
    • 공원문화
    • /
    • s.2
    • /
    • pp.17-26
    • /
    • 1975
  • 국립공원, 각급공원의 이론정립이 미흡한 실정에 비추어 산업경제일반의 조사연구에서 국토.지역.산업입지등 국토이용계획과 국립공원에 관한 조사 계획등에 이르기까지 광범한 실무활동에서 얻은 필자의 경험이 관심 있는 분들의 참고가 될가하여 지나치게 전문적인 부분만을 제외하고 다음 차례로 연재한다.

  • PDF

Application and Analysis for Flood Season Roughness Height of River Master Plan(the case of streams of Han river basin) (하천기본계획의 홍수기 조도계수의 적용 및 분석(한강유역 하천 사례))

  • Lee, Tae-Hee;Park, Hyun-Keun;Kim, Se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65-1970
    • /
    • 2010
  • 국내 하천은 하천의 관리, 이용, 개발, 치수경제 및 수질 보전을 위해 각 하천에 대해 하천기본계획이 작성되고 있다. 치수와 관련하여 조도계수는 각 하천의 계획홍수량 산정 및 하천제방 등 구조물 설계에 필수적인 인자로서 조도계수의 정확도에 따라 결과에 큰 오차범위를 가지게 된다. 국내 하천기본계획은 하천의 하상재료 및 하도조건에 따라 산정되어지는 조도계수를 각 하천의 일정빈도 홍수량에 맞추어 일정한 값으로 조도계수를 추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에서 2009년 한강유역 19개 지점에 대해 관측한 자료와 하천기본계획상에 제시된 조도계수를 적용하여 산정된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토해양부의 관측자료 분석에 있어서 유량 관측시 관측지점의 수면경사 및 하상경사의 관측 결함으로 하천기본계획상에 제시된 지형으로부터 하상경사를 추정하였으며 1차적으로 에너지경사는 하상경사와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하천기본계획에 제시된 조도 계수의 값은 어느 일정 홍수빈도에 대하여 산정된 값으로 국토해양부 관측자료 중 갈수기 및 평수기의 자료는 제외하고 홍수기의 관측값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가정하에 하천기본계획상에 제시된 조도계수를 인용하여 Manning-Strickler 식으로 부터 산정된 유속과 국토해양부의 관측유속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The Strategies of Developing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 Choe, Byong-Nam;Im, Eun-Sun;Kim, Kir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5 no.4
    • /
    • pp.371-383
    • /
    • 2007
  • The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KOPSS) represent Korean style national policy and planning support systems using the GIS-based spatial analysis methods. The KOPSS refers to a kind of the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SDSS) or the planning support systems (PSS) for stakeholders' spatial decision-making. The KOPSS uses the existing individual databases obtained from the Architecture Information Systems (AIS) and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LMIS) that have been constructed by information projects since the mid 1990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strategies and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the KOPSS by considering the comprehensive basic composites of the GIS-based SDSS or PSS. For this, it deals with the basic concepts, the development strategies, the base environment strategies, and the promotion strategies of the KOPSS.

  • PDF

건설정책 - 국내 건설공사 품질관리 대폭 강화 -국토해양부, 건설공사 품질관리개선 종합대책 마련-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31
    • /
    • pp.30-31
    • /
    • 2009
  • 건설공사 품질관리 기준이 대폭 강화된다. 국토해양부는 최근 건설공사의 품질확보와 부실시공 방지를 위해 건설공사 품질관리개선 종합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해양부는 이번에 수립된 대책을 통하여 국내 건설현장의 품질관리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주요국책사업은 물론 민간건설현장의 부실시공을 지속적으로 차단해 나갈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PDF

A Basic Study on balance development of national land planning and developing of new-town at the national capital region (수도권 신도시 개발과 국토균형발전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 Yi, Hye-In;Park, In-Sook;Lee, Yoon-Sun;Kim, Ju-Hyung;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535-538
    • /
    • 2007
  • Since 1980s,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overall country development master plan for balance development of country, it set basic aim of restraint overcrowding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devising a regional balance development for development policy. But, new urban development master plan which if propelled has revised development master plan for stabilization of housing cost through supply housing in the metropolitan area, not reviewed discussion suitability of development plan with policy propulsion, efficient pre-plan, negotiation with local self-administration community, convergence opinion of local resident, environmental impact evaluation. therefore, we should suggest considerations related to policy and development when it propelled solution of housing inefficience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new urban development policy for harmony of central function in capital.

  • PDF

Regional Planning and Area Studies in Korea (한국의 공간계획과 지역연구)

  • Hong, Chu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2 no.4
    • /
    • pp.587-591
    • /
    • 1997
  • Spatial plans, widely encompassing national or regional plans, are designed for an appropriate management of 'region',which is a complex of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functions. Designing a spatial plan, therefore,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function, and some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concemed. Area stidies which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geography, regional science and anthropology, have contributed a lot to establishing the whole range of the regional planning system. This is identified in three spheres: setting up planning units based on concrete area studies and appropriate regional divisions, dividing planning areas by the studies on goods and service purchase behavior, endowing specific functions to each planning area. Some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intensify the connections between area studies and regional planning, which include consensus buiding, planning-oriented area studies by the standardized formatting and sharing of research products by commercialization.

  • PDF

A Study on Analysis and user-friendly Improvement Plan for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수요자 중심의 도시계획정보체계 개선방안)

  • Lee, Se-won;Kang, Ji-Hun;Kim, Heung-Cheol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8 no.2
    • /
    • pp.153-17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problems by analyzing the status of system and user in order to activate the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UPIS). The UPIS has been distributed to all local governments through pilot and expansion projects since 2003 to utilize spatial information in urban planning and administration. The original purpose was to use GIS to support planning and to support scientific decision making, but now the main task is to designate and manage zoning districts related to land use. Therefore, the UPIS is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preparation procedure) and management of the local district information for use in the Korea land use information system, which is an upper concept defined by the law, but it is evaluated that its identity is ambiguous and utilization rate is low.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our aspects (business process, database, system, citizen service) of UPIS, and suggest concrete improvement measures. To summarize, each individual system exists in the Korea land use information system, but they all share similar data and have a linked work flow. Therefore, we suggested that the DB curr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data and to redefine the business process around the UPIS.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지속가능한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방향 연구)

  • Byun, Byungseo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6 no.4
    • /
    • pp.71-81
    • /
    • 2004
  • Recently the ecosystem has been seriously damaged by reckless developmen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now shifting its policy from one of "end-of-pipe" management and being regulation-centered to one striving to be preparatory and self-regulating. The nature conservation plan has been focused on protecting only the wildlife, so a systematic conservation of the nationwide ecosystem is inherently limited. To go beyond this limit, the strengthening of the link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and the land use development plan is necessary. This study first diagnosed the "AS-IS" status of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ning process and then envisioned a "TO-BE" image of the organic link between that plan and the land/metropolitan development plan. In conclus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system of planning should be reformed and the focus of the planning should be shifted from source oriented planning to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A biotope map should be drawn during this process and the examination criteria, methodology, and drawing standards are needed. The central government and self-governing bodies should have reasonable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cooperate for more efficient conservation planning.

  • PDF

A Comparative Study on 1D and 2D Hydraulic Analysis Model for Emergency Action Plan (비상대처계획 활용을 위한 1차원 및 2차원 수리해석모형의 비교 검토 연구)

  • Kim, Tae Hyung;Kim, Ji Sung;Lee, Young Gon;Kwak, Jae Wo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0-350
    • /
    • 2016
  • 댐 및 저수지 시설물의 붕괴에 대비하기 위한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수립은 대규모 인명 또는 재산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비구조적 대책중의 하나이다. 특히 대규모 댐붕괴로 인한 재난 발생시 국민의 생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댐 시설물의 관리주체 및 유관기관은 발생가능한 비상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대응조치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집행해야 한다.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위해 가장 중요한 사항은 댐 붕괴 위험도를 파악하고, 발생가능한 여러 시나리오에 따른 댐 하류부의 피해정도를 예측하는 일이다.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시 작성되는 홍수범람 지도는 댐 붕괴사고가 발생했을 때 주민대피계획 및 위험지역 교통통제, 응급의료활동 및 생필품 공급 등,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댐 붕괴 비상대처계획 수립을 위해 1차원 또는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홍수범람지도를 작성하고 있다. 전체적인 비상대처 계획도 작성을 위해 댐 붕괴로 인한 홍수파 해석이 가능한 1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주로 이용하지만, 홍수파가 전파되는 하류부의 지형학적 특성상 2차원 해석이 필요한 지역에 대해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추가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상대처계획시 동시에 활용되는 1차원 수리해석 모형과 2차원 수리해석 모형의 특성을 각각 분석하고, 시범지역의 가상 댐 붕괴사상에 대해 적용함으로써, 각 모형의 장단점과 적용성에 대한 비교 검토 연구를 수행하였다. 낙동강유역내 위치한 다목적댐에 대해 1차원 및 2차원 붕괴모의를 실시하였으며, 여러 시나리오에 대해 1차원 모형과 2차원 모형 각각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두 모형의 모의 결과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상 대처계획 수립을 위한 홍수범람지도 작성 시 1차원 모형과 2차원 모형의 장점을 각각 반영할 수 있도록 홍수범람지도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작성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