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토계수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pplication and Analysis for Flood Season Roughness Height of River Master Plan(the case of streams of Han river basin) (하천기본계획의 홍수기 조도계수의 적용 및 분석(한강유역 하천 사례))

  • Lee, Tae-Hee;Park, Hyun-Keun;Kim, Se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65-1970
    • /
    • 2010
  • 국내 하천은 하천의 관리, 이용, 개발, 치수경제 및 수질 보전을 위해 각 하천에 대해 하천기본계획이 작성되고 있다. 치수와 관련하여 조도계수는 각 하천의 계획홍수량 산정 및 하천제방 등 구조물 설계에 필수적인 인자로서 조도계수의 정확도에 따라 결과에 큰 오차범위를 가지게 된다. 국내 하천기본계획은 하천의 하상재료 및 하도조건에 따라 산정되어지는 조도계수를 각 하천의 일정빈도 홍수량에 맞추어 일정한 값으로 조도계수를 추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에서 2009년 한강유역 19개 지점에 대해 관측한 자료와 하천기본계획상에 제시된 조도계수를 적용하여 산정된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토해양부의 관측자료 분석에 있어서 유량 관측시 관측지점의 수면경사 및 하상경사의 관측 결함으로 하천기본계획상에 제시된 지형으로부터 하상경사를 추정하였으며 1차적으로 에너지경사는 하상경사와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하천기본계획에 제시된 조도 계수의 값은 어느 일정 홍수빈도에 대하여 산정된 값으로 국토해양부 관측자료 중 갈수기 및 평수기의 자료는 제외하고 홍수기의 관측값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가정하에 하천기본계획상에 제시된 조도계수를 인용하여 Manning-Strickler 식으로 부터 산정된 유속과 국토해양부의 관측유속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Calibration of Delft3D Flow Simulation Considering Flow Resistance due to Vegetation (식생에 의한 흐름 저항을 고려한 Delft3D 흐름 모의 보정)

  • Jang, Eun Kyung;Ahn, Myeong Hui;Bae, In Hyeok;Ji, Un;Truong, Hong S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10-310
    • /
    • 2020
  • 자연하천에서 식생의 성장은 유속 및 수위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식생으로 인한 흐름저항은 흐름과 유사이송 모델링을 위한 중요 매개 변수가 된다. 즉, 수치 모델을 활용함에 있어 식생의 흐름 저항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보다 정확한 추정을 위해 실험 혹은 현장 데이터를 활용한 보정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 패치를 포함한 인공 수로의 흐름 모의를 위해 실규모 실험 수로에서 측정된 유속 및 수위 데이터를 활용하여 모델보정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간 분포 별로 각기 다른 흐름 저항식의 적용이 가능하며, 식생 저항 공식을 포함하고 있는 Delft3D 모델을 활용하였다. 또한 실규모 수로에서의 유속 및 수위 데이터 수집을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연구센터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구간의 길이는 약 120 m이고 하폭은 11 m이며, 국내 하천에서 보이는 식생패치의 유사한 형태를 재현하기 위해 하천 내 가장 많이 활착되어있는 버드나무와 유사한 형태의 인공식생을 제작하였다. 인공 식생은 지그재그로 배치되었으며, 식생의 전체 높이는 1.1 m이고, 각 패치 당 23그루의 인공 식생이 총 8개 패치에 식재되었다. 모의 조건은 상류단 유입 유량 2.805 ㎥/s, 하류단수위 98.764 m의 정류 조건을 적용하였다. 또한 식생 패치 구간에서의 흐름 저항 추정을 위해 Delft3D 모델 내에서 선택가능 한 Baptist의 비침수(Non-submerged)식을 적용하였으며, 항력계수 결정을 위해 1과 1.5를 적용하여 측정 수위와 비교하였다. Delft3D의 흐름 모의 결과, 항력계수 1.5를 적용했을 때, 측정 수위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력계수 1.0을 적용했을 경우, 측정 수위에 비해 다소 낮게 모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력계수 1.5인 경우 식생 패치 구간에서 평균 0.65 m/s의 유속이 발생하였다.

  • PDF

A Study on CO2 Emission Factor for Earth-Work Equipment Using C-FVM (C-FVM을 이용한 토공장비의 CO2 배출계수에 관한 연구)

  • Kim, Byung-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3
    • /
    • pp.999-1006
    • /
    • 2014
  • $CO_2$ emission factor for earthwork equipment was made based on fuel consumption quantity using IPCC carbon emission factor. This is presented through the carbon emission estimating guideline each facilities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in 2011. However, this method has the defect which don't apply the various condition of site. Therefor it needs the new emission factor supplemented these defects. This study will tries to estimate $CO_2$ emission with the direct measurement method using concentration flow velocity measurement (C-FVM) for earth work equipment and present the new $CO_2$ emission factor for earth work equipment after compare with emission factor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Applicability Assessment of the Automatic Multi-segmented Rating Curve (자동구간분할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의 적용성 평가)

  • Kim, Yeonsu;Kim, Jeongyup;An, Hyunuk;Jung, Kwansue;Oh, Su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48-548
    • /
    • 2016
  •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은 시계열 수위자료를 유량자료로 변환해줄 수 있는 회귀식으로 측정단면의 형태, 단면 상 하류의 지형요인 등으로 인하여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기간분할 혹은 구간분할을 수행한다. 구간분할을 위하여 측정단면의 변화를 고려한 관계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주요 근거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의 자동구 구간분할방법에 대한 적용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객관화된 분할근거의 제시를 위하여 주관성을 배제하고 관측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위 증가에 따른 변동계수를 계산하였고, 변동계수가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 하에 계산된 변동계수가 전 단계에서 계산된 95% 신뢰구간 이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구간을 분할하였다. 즉, 변동계수를 이용하여 집단 간의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변동 계수의 분포를 이용하여 분할을 위한 기준 값을 제시하였다. 방법론의 추정능력 검토를 위하여 가상의 곡선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에 제안된 방법론을 적용하였고, 실제 유역에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금강에 위치한 무주 및 산계교 수위관측소 지점에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자동으로 분할된 관계곡선식을 사용하여 추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삽을 하는 경우 역시 그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측값을 활용한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의 구축 시 구간 분할 전 후의 잔차데이터에 대하여 Shapiro-wilk 정규성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구간분할 후 잔차가 정규성을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Multi 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and Innovation City Effect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행정중심복합도시와 혁신도시건설이 국토균형발전에 미치는 영향)

  • Kweon, Ihl;Ryu, Sa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5-79
    • /
    • 2006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the un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by the construction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and innovation cities. In this study, index of un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s measured by unbalanced distribution of population on national land. Gini's coefficient is used to measure the unbalanced distribution of population.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and innovation cities will relieve the un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but the effect will be insignificant. For the relief of un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various policy and strategy will have to develop.

  • PDF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의 시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공청회

  • Lee, Eun-Suk
    • 주택과사람들
    • /
    • s.192
    • /
    • pp.78-79
    • /
    • 2006
  •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의 시행방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가 개최됐다.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와 한국토지공사가 공동 주최한 이번 공청회는 기반시설부담금 산정의 주요 내용인 용지환산계수, 건축물별 기반시설 유발계수 등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 PDF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storage constants based on basin shape factor at Design Flood Estimation (설계홍수량 산정시 유역형상계수에 따른 저류상수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Sang-Jin;Kang, Ho-Yeong;Hwang, Sung-Hwan;Moo,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8-508
    • /
    • 2015
  • '설계홍수량 산정요령(2012, 국토교통부)'에서 홍수량 산정시 유역면적이 $250km^2$이하의 유역을 하나의 유역으로 처리하여 홍수량을 산정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이는 소유역을 많이 분할하고 하도 홍수추적 및 합성을 통하여 홍수량을 산정할 경우 단일유역에 비해 홍수량이 과대하게 산정됨으로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제시된 산정요령이다. 홍수량 산정 방법으로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설계홍수량 산정요령'에서 채택한 모형인 Clark 단위도법에 의한 방법으로 산정된 홍수량의 크기에 미치는 민감도가 도달시간보다 저류상수가 훨씬 크므로 합리적인 저류상수 결정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저류상수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경험공식이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 '설계홍수량 산정 요령(2012, 국토교통부)'에서는 유역면적이나 유역형상 등을 고려하고 있는 Sabol 공식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Sabol 공식은 유역형상계수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유역형상계수는 형상이 흐름방향으로 길쭉한지 넓적한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유역 평균폭을 본류 연장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며, 통상 유역면적을 본류 유로연장의 제곱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유역의 형상이 폭에 비해 길면 형상계수가 1보다 작아지며 반대로 길이에 비해 폭이 넓거나 형상이 둥글면 형상계수는 1에 근접하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하천의 형상계수는 대부분 약 0.5~0.1 정도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Sabol공식을 적용하여 저류상수를 산정할 경우 유역형상계수가 극히 작을 경우 홍수량이 과소하게 산정되므로 적절한 유역분할을 통해 홍수량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미호천 권역에서 유역형상계수가 0.1 이하인 유역을 대상으로 단일유역으로 산정한 홍수량과 적절한 유역 분할 후 홍수량을 산정하여 비교하고 비슷한 규모의 인근유역의 홍수량과 기산정된 홍수량을 비교하여 유역형상계수 0.1이하에서의 적절한 소유역 분할 기준을 제시하여 홍수량이 과대 및 과소하게 산정되지 않도록 조정하는데 있다.

  • PDF

Flow regime analysis method by using discharge Gini coefficient (유량 지니계수를 이용한 유황분석방안)

  • Park, Tae S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12
    • /
    • pp.1223-1232
    • /
    • 2021
  • In this study, a new analysis method by using a "Discharge Gini Coefficient" is present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inequality in daily discharge throughout the year. The Discharge Gini Coefficient can be calculated using the area relationship with the cumulative percentage of the daily mode discharge in the ascending order according to the cumulative percentage of the date of occurrence of the daily discharge throughout the year. The Discharge Gini Coefficient is presented as a value between 0 and 1, and the degree of inequality can be divided into 5 levels. The Discharge Gini Coefficient can be used to estimate the discharge stability of the downstream point relative to the upstream poi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quantify the influence of each reference discharge on the total inequality. The applicability of the Discharge Gini Coefficient was reviewed using long-term daily discharge data at eight points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four major rivers in Korea. The Discharge Gini Coefficient can also be used to analyze the discharge control effect in the downstream by the upstream dam.

Appropriate Stock and Investment Estimation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of Surface-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Stock (육상교통 SOC 스톡의 국제비교와 목표 스톡 및 투자규모 산정)

  • Lee, Jae-Min;Sin, Hui-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2
    • /
    • pp.83-92
    • /
    • 2005
  • We try to evaluate the stock level of Korea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omparing Korean SOC stock level with those of OECD countries. In order to do so, we work on indices to show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stock levels of various countries. Among several indices, we select the effective road-extension rate per population density and the effective railroad-extension rate per population density corresponding to road and railroad. We compare Korean road and railroad stock levels with those of OECD countries, to make use of the effective road-extension rate per population density and effective railroad-extension rate per population density. We choose the Britain, Greece, Portugal, and Sweden to compare Korea because their sizes of population and territory are similar to those of Korea. Using International comparison, we arrive at the conclusion that Korean road and railroad stock levels are 63.4% and 53.2% of those of four countries respectively. In addition, we estimate the target level of road and railroad stocks and compute the target level of investments in road and railroad based on the result.

Development of Road-Extension Rate Index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of Road Stock (도로보급률 지표 개발과 OECD 국가간 도로스톡 비교)

  • Lee, Jae Hong;Kim, Hye Won;Lee, Chungw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3D
    • /
    • pp.357-362
    • /
    • 2009
  • The Investment to road projects has been a hot issue in the aspect of its possible overlapping or overinvestment in Korea. Therefore, additional road construction is not always accepted in these days. This paper investigated several indices including the country index and the road-extension rate index as well as a newly developed index for identifying and comparing road stocks among the OECD countries. Furthermore, the study has estimated some reasonable amount of additional road stocks of Korea when its GDP becomes twenty thousands per capita to forty thousands per capita in future by comparing the amount of stacks of OECD countries at those times. The result can be used for setting the target of road stocks in practical manner in the absence of the universally accepted theory in the road stock provision are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