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지적 지표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Inundation Risk Index for heavy rainfall warning in Korea (호우 경보를 위한 지표면우량지수 산정 및 적용성 검토)

  • Kang, Narae;Hwang, Seok Hwan;Yoon, Jungsoo;Noh, Hui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90-190
    • /
    • 2018
  • 매년 집중호우와 국지성 호우로 인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전의 침수피해는 하천이나 외수범람으로 인한 피해가 주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집중호우와 국지성 호우의 증가로 인해 내수침수에 의한 침수피해가 중심이 되고 있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6시간, 12시간 기준으로 호우주의보, 호우경보를 발령하고 있는데 짧은 시간 안에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도시지역에서는 이들 기준으로는 단기간에 발생하는 침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기상청에서는 호우경보의 개선과 사전적 홍수 대응을 위해 침수피해 발생과 상관관계가 높은 지표면우량지수를 도입하여 수치화를 계획하고 있다. 지표면우량지수는 침수의 피해발생과 관련한 위험도를 나타내기 위한 새로운 지표로 호우경보(침수피해)의 정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주민의 자발적인 피난을 유도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천유역을 대상으로 지표면우량지수를 산정하고 과거에 발생한 침수피해와 비교를 통해 내수 침수와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표면우량지수의 적용가능성과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Potential of Using Oribatid mites(Acari: Oribatida) as Biological Indicators of Forest Soil Acidification (산림토양 산성화의 생물지표로써 날개응애(Acari: Oribatida) 이용 가능성)

  • Chuleui Jung;Joon-Ho Lee;Seong-Sik Choi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4 no.4
    • /
    • pp.213-218
    • /
    • 2002
  • The use of biological indicator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has suddenly become popular in man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s well as domestic ones. Since th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should be well responsive to native environmental change, development of native indicator species is prerequisite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restoration program.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mean density and pH, potential indicator species were screened from Namsan and Kwangreung where differential environmental stresses are influenced; Lasiobelba remota, Ceratozetes sp. Tectocepheus velatus, Neogymnobates sp. and Oppia sp.3. Also keystone species in two study area were Lohmannia coreana, Ceratozetes sp., Rostrozetes pulcherrimus, and Lasiobelba remota in Namsan Deciduous forest and Neogymnobates sp., Neogymnobates donghaksaensis, and Cultroribula tridentata in Kwangreung.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sing biological indicator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were further discussed.

Evaluation of multiple-satellite precipitation data by rainfall intensity (다중 위성 강수자료의 강우강도별 특성 평가)

  • Kim, Kiyoung;Lee, Seulchan;Choi, Minha;Jung, Sungho;Yeon,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3-383
    • /
    • 2021
  • 강수는 수자원 분석 및 지리학적 연구에 가장 핵심적으로 쓰이는 수문인자이며, 최근 기후변화와 방재 관련한 다양한 연구에서 정확한 강수자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강수는 지표에서의 유출, 침투, 증발 등 다양한 수문현상으로 이어지므로, 수문순환, 물수지 분석에 있어 강우강도 등 강수 발생 양상과 유형에 대한 정확한 자료는 필수불가결하다. 강수량은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을 통해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되고 있으나, 이러한 계측자료는 기상학적, 지형적 영향을 크게 받으며 대표성이 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유출 및 기후 등 공간적 범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활용하기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상강우레이더를 통한 국지적 강수자료 및 인공위성 기반 전 지구적 강수 관측 자료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인공위성을 활용한 강우 측정방법은 미계측 유역에서 수자원 측정 및 관리 계획을 세우거나 전 지구적으로 장기적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어 가장 활용도가 높다.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의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을 포함한 기존 강수측정 보조 위성에 더하여 2014년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GPM) 핵심 위성이 발사된 이후 다양한 기관에서 여러 인공위성을 결합한 강수 산출물들을 제공하고 있다(NASA-IMERG, JAXA-GSMAP, NOAA-CMORPH).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위성 기반 강수 자료의 산출 알고리즘을 비교□분석하고, 강우강도에 따른 산출물들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높은 강우강도 발생 시 나타나는 위성 강수자료의 불확실성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후 신뢰도 높은 다중 위성 융합 강수 산출물을 구현하기 위한 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Dam Rehabilitation Assessment Using the Delphi-AHP Method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Delphi-AHP기법을 이용한 기후변화 고려 댐 재개발 평가지표 산정)

  • Choi, Ji Hyeok;Kim, Jong Suk;Yoon, Tae Hyung;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70-170
    • /
    • 2016
  •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강도의 변화와 국지성 호우로 인한 유역의 수문량의 증가가 전망되고 있는 상황에서 댐 시설물의 고령화에 따른 댐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신규댐 건설보다는 기존 댐의 재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의 강도와 발생빈도의 증가, 태풍의 대형화 등으로 댐으로 유입되는 수문량의 변동폭이 커짐에 따라서 극심한 홍수 및 가뭄의 발생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어 물관리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댐 재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며, 기후변화와 신규 수자원 개발사업의 정체, 댐 시설물의 노후화 등 제반여건을 고려할 때 기존 댐 시설물 재개발의 전면적 재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과 댐 시설물의 고령화 등에 따른 복합적인 댐 안전성 문제 등에 대비하기 위하여 댐 재개발 평가항목을 개발하였으며, 국내외 사례 및 문헌조사, 그리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각 평가항목에 대한 타당성 및 적합성 검토를 실시하고, 각 세부지표에 대한 평가기준과 댐 관련 분야의 전문도를 고려한 상대적 중요도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Risk Impact Map Development of Considering the Debris flow Hazard and Impact Level (토석류 발생가능성 및 시설안전성을 고려한 토석류 위험지도작성에 관한 연구)

  • Nam, Dong Ho;Lee, Suk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6-296
    • /
    • 2019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2차 피해인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국내의 산사태 및 토석류에 대한 선행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성이 높은 구간, 즉, 발생기작을 판단할 수 있도록 지표화 해놓은 것이며, 현재 피해예측지도 및 피해 하류부의 시설물을 고려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모형인 S-RAT모형 및 토석류 수치해석 프로그램 RAMMS 모형을 이용하여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를 극대화 시키는 인자인 토석유동심(H), 토석유속(V)을 이용하여 토석류피해예측지도를 작성하였으며, 피해 하류부의 시설물을 건물 유형별 시설물의 중요도로 구분하였다. 또한 작성된 피해예측지도 및 시설물 중요도를 중첩하여 위험성 지도를 제시하였다.

  • PDF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ESDA) for Age-Specific Migration Characteristics : A Case Study on Daegu Metropolitan City (연령별 인구이동 특성에 대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 (ESDA) : 대구시를 사례로)

  • Kim, Kam-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5
    • /
    • pp.590-609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nd evaluat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methods for examining age-specific population migration characteristics. First, population migration pyramid which is a pyramid-shaped graph designed with in-migration, out-migration, and net migration by age (or age group), was developed as a tool exploring age-specific migration propensities and structures. Second, various spatial statistics techniques based on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such as Local Moran''s $I_i$, Getis-Ord ${G_i}^*$, and AMOEBA were suggested as ways to detect spatial dusters of age-specific net migration rate. These ESDA techniques were applied to age-specific population migration of Daegu Metropolitan City. Applicat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suggested ESDA methods can effectively detect new information and patterns such as contribution of age-specific migration propensities to population changes in a given region, relationship among different age groups, hot and cold spot of age-specific net migration rate, and similarity between age-specific spatial clusters.

  • PDF

Verifying Applicability of Multi-Timescale Rainfall Data from CHIRPS Satellite (다중시간 규모의 CHIRPS 위성 강우자료에 대한 활용성 검증)

  • Minseok Kim;Kyunghun Kim;Seong Cheol Shin;Soojun Kim;Hung S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2-192
    • /
    • 2023
  • 우량계는 강우 자료를 수집하는 전통적인 방법 중 하나로, 연속적이고 직접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지형적 특성에 영향을 받아 강우량을 과소 측정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지적인 호우, 강우 이동 및 강우 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레이더를 이용한 강우 측정이 활용된다. 하지만 레이더 기반 측정 또한 우량계와 마찬가지로 과소 측정하는 문제점이 있다. 측정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위성 기반 강우 자료를 사용하고 있다. 위성 기반의 강우 자료는 측정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강우량의 수집이 가능하며, 지표 변화를 관측하여 강우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고화질 위성 자료인 CHIRPS (Climate Hazards Group InfraRed Precipitation with Stations) 자료는 미국 국제개발처, 항공우주국, 해양 대기청의 지원으로 1980년부터 현재까지 전 지구적 (50°S-50°N, 180°E-180°W) 0.05° × 0.05°의 해상도를 가진 강우량 데이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54개 ASOS (Automated Synpotic Observing System)에서 관측한 월 단위 및 일 단위 강우 자료를 기준으로 CHIRPS 강우 자료를 비교하였다. 또한, 다른 위성 강우 자료들 (APHRODITE (Asian Precipitation Highly Resolved Observation Data Integration Towards Evaluation), CMORPH (Climate Prediction Cneter morphing method))과도 비교하여 국내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강우 자료의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Box-plot, RMSE (Root Mean Squared Error) 등을 산정하였으며, 강우 발생 일을 비교하고자 오차 행렬을 활용하였다. 비교 결과를 통해서 CHIRPS 강우 자료가 다른 위성 강우 자료들에 비해서 국내 적용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국내 수문학 연구에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Deserted Houses and Its Implications on the Urban Decline and Regeneration (공폐가 분포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의 공간적 구조 연구: 광주광역시 주거 지역을 중심으로)

  • Kim, Hwahwan;Choi, Hyeonggwan;Lee, Minseok;Jang, Mun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3 no.1
    • /
    • pp.118-135
    • /
    • 2017
  • The decline in urban center,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economic slump and etc. have caused empty or deserted houses in the city. The government recognizes the houses as the reason for the accelerated formation of local slum, and as the negative element threaten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urban landscape, social stability and others.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or deserted houses in Gwangju metro city, identifying hotspots and classifying those hotspot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indicators as well as physical ones, and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the urba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is a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and deserted houses in Gwangju metro city. Second, several hotspots are identified mainly around the old CBD area showing a sign of urban decline. Third, the indicators of urban decline were visualized using triangulation charts, and hotspots of empty(deserted) houses are classified so that the classification could serve for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policy making tailored for each region.

  • PDF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Oplismenus undulatifolius var. undulatifolius on Mt. Hanwoo in Korea (한우산에 분포하는 주름조개풀의 공간적 양상)

  • Huh, Man Ky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8 no.11
    • /
    • pp.1262-1267
    • /
    • 2018
  • The patchiness of local environments within a habitat is assumed to be a primary factor affecting the spatial patterns of plants. In this study, a randomization procedure was developed to test the null hypothesis that only spatial association with patches determines the spatial patterns of plants.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 Beauv. var. undulatifolius is an herbaceous plant and a member of the genus Oplismenus in the family Poaceae. Oplismenus hirtellus subsp. undulatifolius occurs in temperate, subtropical, and tropical areas of the world. The spatial pattern of O. undulatifolius var. undulatifolius was analyzed using dispersion indices in different sizes of plots according to several patchiness indexes, population uniformity, or aggregation. Population densities (D) at Mt. Hanwoo varied from 0.453 to 4.375, with a mean of 2.387. The small and mid-sized plots ($2m{\times}2m$, $2m{\times}4m$, $4m{\times}4m$, $4m{\times}8m$, and $8m{\times}8m$) of O. undulatifolius var. undulatifolius were aggregated in the forest community. However, O. undulatifolius var. undulatifolius was uniformly distributed in three large plots ($8m{\times}16m$, $16m{\times}16m$, and $16m{\times}32m$). The greatest mean crowding ($M^*$) and patchiness index (PAI) showed positive values. Aggregation is mainly caused by environmental factors. Many plants on Mt. Hanwoo are being disturbed by climbers, which is preventing these plants from inhabiting their realized niches on Mt. Hanwoo.

Development of Grid-Based Distributed Runoff Model in Urban Area (격자기반 도시유역 분포형 유출모형의 개발)

  • Ryu, Hee-Sang;Kim, Mun-Mo;A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59-763
    • /
    • 2010
  • 본 연구는 격자기반의 지표면 유출 및 도시 유역 우수관거 유출해석모형으로서 유역을 관거 유입구를 기준으로 다수의 소유역들로 구분하고 각 소유역내 지표면 흐름을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하여 유출량을 산정하는 방법 및 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분할한 상태에서 각 격자의 유입 유출을 계산함으로써 주어진 시간 간격별로 유역 전체에 대한 물수지를 파악하는 격자 물수지식을 이용하는 방법을 결합하여 도시유역의 지표면 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격자기반의 분포형 지표면 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출모형은 지표면 유출의 메카니즘을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SWMM의 방법을, 격자기반으로 유출량을 계산 추적한다는 것이다. 또한 도시지역의 침수형태 및 원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기존의 도시유출 해석모형을 일부 수정 및 보완하여 집중호우발생시의 지표이동류 흐름, 폐합형 우수관거, 하류부의 배수영향 등을 고려한 우수관거 유출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을 이용하여 가상 및 실제 유역에 대한 유출모의를 수행함으로써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격자기반 도시유출해석모형은 대상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구성하고 개개의 격자마다 유출해석을 위한 지형정보와 수문정보를 입력하여 격자별 유출량을 계산 추적함으로써 유역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유출량, 유출심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인 분포를 모의할 수 있다. 가상 및 실제 유역에 대한 유출해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은 이동강우나 국지적인 집중호우 등 시공간적으로 변하는 수문 특성을 반영할 수 있고, 폐합형 우수관망 해석 및 하류부 배수효과를 검토하여 도시유역의 홍수방재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