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제하천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cological watershed management using habitat structures and hydraulic modeling (서식처 구조를 활용한 생태적인 하천 유역관리 방안 연구)

  • Choi, Mikyoung;Shin, Jihye;Zhang, Ning;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11-411
    • /
    • 2020
  • 하상 변화는 유량이나 유사의 흐름에 따라 침식, 운반, 퇴적되어 변화하며, 하상변동에 의한 결과는 하천의 형태 (직렬,복렬, 곡렬 등)나 서식처의 구조 (여울과 소, 웅덩이, 습지 등) 형성 로 나타난다. 하천이 공간적 시간적 규모가 연계되어 있음에도, 국내에서의 하천 복원 사업은 서식처의 구조나 형태에 중점을 둔 서식처 조성 사업이 주를 이룬다. 하지만 궁극적인 생태하천 복원 및 관리를 위해서는 생태적인 서식처의 구조가 제대로 발현되는 유량이나 유사량과 연계하여, 통합 유역관리가 가능하도록 진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 (유량이나 유사량)-지형(서식처 구조)-생태 (생물다양성)을 연계하여 하천의 환경유량을 산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Nays2D 수리모델링을 활용하여 하상변화를 살펴보고, 수리모델링 결과를 서식처 구조 분포로 해석하여, 서식처가 다양한 유량을 산정하고 제안한다. 수리모델링 이전에 하천건강성 평가에 활용된 하천 생물종 모니터링 결과와 서식처 다양성과의 관계를 우선 분석하고 수리모델링을 진행한다. 본 연구의 대상 하천은 금강 지류인 갑천 약 5 km를 대상으로 2010년대 생물상, 항공사진, 지형데이타 (DEM and 단면도)를 활용한다.

  • PDF

Water environmental change by river-crossing structure (하천횡단구조물 설치에 따른 수환경 변화 분석)

  • Noh, Seon Hui;Choi, Mi Kyoung;Jung, Kwan Sue;Yi, Sa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78-478
    • /
    • 2018
  • 하천의 횡단구조물은 하천을 횡단하는 시설물로 하상유지공, 보 등이 있으며 현재 국내 하천에는 수많은 보가 존재한다. 하천에 설치된 보는 하천 유황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보 상 하류로부터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는 하도 구간에 대해서도 수환경을 변화 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하천을 터전으로 생활하는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를 손상시키며, 어류와 야생 생물 각 개체의 생활상을 흔들어버린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강을 대상으로 횡단구조물 중 보 설치 이전과 이후의 수질의 변화에 따라 생태환경의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인 금강의 수질자료는 보 설치 이전 6년간(2003년 ~ 2008년)과 보 설치 이후 7년간(2011년 ~ 2017년)의 자료를 조사하였고 수생태환경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부착조류, 저서성 무척추동물, 어류를 9년간(2008년 ~ 2016년) 조사하였다. 금강에 보가 설치된 이후 본류 전체적으로 BOD와 SS, T-N 등의 농도가 낮아지는 등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COD는 개선효과가 전혀 없었고, 보지점에서는 수온증가는 미미하지만 Chl-a가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최근까지 금강에 녹조발생을 일으키고 있다고 판단된다. 금강본류 전체적으로 저서성무척추동물과 어류의 개체수가 감소하는 추세이며 수생태 건강성분석 결과 다른생물종에 비해 어류의 건강성등급이 하향하는 추세로 악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Chl-a와 COD의 증가로 판단되며 최근들어 BOD도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 어류건강성이 저하가 우려되기 때문에 하천의 유속증가나 수문개방을 통해 건강성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Mountain Streams in the Republic of Korea: Comparison to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산지하천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국제 연구동향과의 비교)

  • Lee, Sang In;Seo, Jung Il;Lee, Yohan;Kim, Suk Woo;Chun, Kun 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3 no.2
    • /
    • pp.216-22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rational mountain stream management strategy considering the natural conditions and social needs of the Republic of Korea. We reviewed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related to mountain streams, identified the study areas by text mining and co-word analysis using the VOSviewer program, and then analyzed the spatial and temporal study trends and topics of each study area. The results showed that domestic studies on mountain streams are still in an initial stage compared to overseas studies. Overseas studies on mountain stream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i) habitat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nd invertebrates, (ii) hydrological phenomena and nutrient migration, (iii) transport of sediment and organic materials and the relevant morphological changes by runoff flows, and (iv) plant species composition in mountain streams. Of these study subjects, domestic studies belonging to the (i) group mainly focused on macroinvertebrates while domestic studies belonging to the (iii) group regarded transport of sediment and organic materials as not the ecological disturbance but the source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We then analyzed the rate of each research group to all papers by period and count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seas studies belonging to (iii) and (iv) groups have increased with time, and the increase was mostly due to the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Brazil, Canada, and China. On the other hand, domestic studies belonging to (i) and (iii) groups increased somewhat with time, but there was a slight lack of correlation between the two subjects. Therefore, the hybridity studies to complement the shortage is necessary for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