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제표준화

Search Result 2,04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정보보호 국제표준화 동향 및 향후 전망

  • Oh, Heung-Ryong;Youm, Heung-Youl
    • Review of KIISC
    • /
    • v.17 no.6
    • /
    • pp.93-105
    • /
    • 2007
  • 정보보호 분야의 국제표준화는 각 기술들의 특성 및 사용자들의 관점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국제 표준개발 및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ITU-T SG17에서는 전기통신(Telecommunication) 관점에서 정보보호 응용기술들에 대한 국제표준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ISO/IEC JTC1/SC27(정보보호), SC37(바이오인식)에서는 정보보호 원천 기술들에 대한 국제표준화와 IETF Security Area에서는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 보장 및 향상된 인터넷 환경 구축을 위해 실제적 구현 관점에서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아시아 지역에서는 각 국가 간에 정보보호 표준화 활동에 대한 정보공유 및 국제표준화 기구들에 대한 공동 대응을 위해 ASTAP, RAISS 포럼, CJK SWIS 등의 소규모 표준화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국제표준화 기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보보호 표준화 현황 및 주요 이슈들에 대해 소개하고, 향후 추진방향 등을 제시하여, 국내에서 국제표준화기구에 활동하고자 하는 전문가들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 Study on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hrough analysing the IPR policy of major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주요 국제표준화 기구 지식재산권 정책 분석 및 국제표준화 대응 방안 연구)

  • Min, Ja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901-904
    • /
    • 2008
  • 정보통신 표준화가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도구로 부상하면서, 선진국들은 국제표준화를 선도하기 위하여 국제표준화 기구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 및 국제 표준화 추진전략을 수립하여 범 국가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이러한 치열한 국제 표준화 경쟁에서 선진국과 경쟁하여 국제표준화를 선도하기 위하여, 국제표준화 추진을 위한 국가적인 전략 및 추진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주요 국제 표준화 기구의 지식재산권 정책을 분석하여, 이에 대응하여 우리 기술로 국제 표준화를 선도하기 위한 전략 및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정보보호 국제표준화 현황 및 추진체계 분석

  • Oh, Heung-Ryong;Park, Jeong-Sik;Chin, Byoung-Moon;Youm, Heung-Youl
    • Review of KIISC
    • /
    • v.21 no.2
    • /
    • pp.7-18
    • /
    • 2011
  • 정보보호 분야의 국제표준화는 기술들의 특성 및 사용자들의 관점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국제표준 개발 및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ITU-T SG17에서는 전기통신(Telecommunication) 관점에서 통신망에 적용 가능한 응용기술들에 대한 국제표준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ISO/IEC JTC1/SC27(정보보호), SC37(바이오인식)에서는 정보보호 원천기술들에 대한 국제표준화를 다루며, IETF Security Area에서는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 보장 및 향상된 인터넷 환경 구축을 위한 산업체 중심의 사실표준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유럽 및 아시아 지역에서 국가 간에 정보통신 표준화와 국제표준화 기구들에 대한 공동 대응을 위한 ETSI, ASTAP, OASIS 등에서도 정보보호 표준화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 분야의 대표적인 국제표준화 기구들의 현황 및 주요 이슈, 주요 국가별 추진체계들에 대해 소개하여, 향후 국내에서 국제표준화기구에 활동하고자 하는 전문가들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Currnet Status of Standardization on PV (태양광 발전기술의 표준화 동향 및 대응 방안)

  • Yun, Jae-Ho;Song, Jin-Soo;Yoon, Kyung-Ho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142-144
    • /
    • 2006
  • 태양광발전기술의 국내 보급 및 세계 시장 진출에 있어서 표준화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국제 표준화에 대응하여 국제 표준화 동향을 국내에 신속히 적용하고 국내 기술을 국제 규격에 제안하는 것이 그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 표준화는 IEC TC 82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용어, 태양전지 모듈 시스템 주변기기 등 분야별로 WG에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의 국제 표준화 대응은 미미하다고 할 수 있으나, 2004년도부터 정부에서 태양광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3대 중점분야 국제 표준화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현재 추진하고 있다. 태양광 분야의 경우도 태양광 표준화 사업을 통해 태양광 표준화 전문가 회의를 구성하고 참가 전문가들이 IEC TC 82 총회 및 분야별 WG에 참석하고 있다 이후 계속적인 활동을 통해 국제표준화 동향을 국내 규격에 적응하고 규격 개정 작업에서부터 IEC TC 82 WG에서의 주도적인 활동이 전개되어야 한다

  • PDF

자동화 및 계측제어분야에서의 국제표준화 동향

  • 이은호
    • ICROS
    • /
    • v.3 no.1
    • /
    • pp.8-32
    • /
    • 1997
  • 이 글에서는 자동화 및 계측제어 분야에서의 표준화와 관련된 국제표준화 기구의 현황 및 규격제정 동향을 살펴보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이 분야에서의 국내 표준화 현황에 대하여도 고찰하고자 하며 자동화 및 제어계측기술의 발전을 위하여 표준화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TU-T SG17(보안) 구조 및 국제표준화 추진 방향 (연구회기 2017-2020)

  • Youm, Heung-Youl;Oh, Heung-Ryong
    • Review of KIISC
    • /
    • v.27 no.5
    • /
    • pp.5-13
    • /
    • 2017
  •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UN 산하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전문 국제기구이다. 193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국제전기통신연합은 산하에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전기통신개발부문(ITU-D), 그리고 전파통신부문(ITU-R) 등 3개의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1]. ITU-T는 역할과 임무에 따라 11개의 연구반 (SG, study group)으로 구성되며, 각 업무에 맞는 선두 그룹(Lead Study Group)을 지정하여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정보보호 국제표준화는 ITU-T SG17(보안)에서 담당하고 있다. ITU-T 국제 표준화는 4년 주기의 연구회기(Study Period)로 연구반 구조를 조정하며, 표준화 방향도 결정된다. 이러한 표준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회의가 2016년 튀니지에서 열린 WTSA-16 (World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Assembly) 총회이다. 본 논문에서는 WTSA-16 총회에서 결정된 ITU-T SG17 의장단과 정보보호 국제표준화 활동과 관련된 WTSA-16 결의(Resolution)를 분석하고, 2017년 두 차례 SG17 회의에서 추진된 SG17 구조와 추가 의장단 구성을 포함하는 표준화 동향을 제시한다.

국제 개인정보보호 표준화 동향 분석 (2019년 4월 이스라엘 텔아비브 SC27 WG5 회의 결과를 중심으로)

  • Youm, Heung Youl
    • Review of KIISC
    • /
    • v.29 no.4
    • /
    • pp.35-42
    • /
    • 2019
  • 데이터 중심 사회가 되면서 데이터의 활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데이터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표준화가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개인정보보호 국제표준화를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표준화 그룹은 국제표준화위원회/전기위원회 합동위원회 1 서브위원회 작업반 5 (ISO/IEC JTC 1/SC 27/WG 5)이다. 본고에서는 이 그룹에서 추진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 관련 국제표준화 동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지난 4월 텔아비브 SC27 WG5 회의에서 논의된 개인정보보호 관련 주요 표준화 이슈와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ITU-T SG17 정보보호 국제표준화 동향 및 향후 전망

  • Oh, Heung-Ryong;Chin, Byoung-Moon;Youm, Heung-Youl;Kang, Shin-Gak
    • Review of KIISC
    • /
    • v.18 no.4
    • /
    • pp.13-29
    • /
    • 2008
  • 정보보호 분야의 국제표준화는 각 기술들의 특성 및 사용자들의 관점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국제표준개발 및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ITU-T SG17에서는 전기통신(Telecommunication) 관점에서 정보보호 응용기술들에 대한 국제표준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ISO/IEC JTC1/SC27(정보보호), SC37(바이오인식)에서는 정보보호 원천기술들에 대한 국제표준화가, IETF Security Area에서는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 보장 및 향상된 인터넷 환경 구축을 위해 실제적인 구현 관점에서의 보안기술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U-T SG17에서 추진되고 있는 정보보호 국제표준화 이슈를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며, 이번 연구회기(’05${\sim}$’08) 동안에 논의되었던 주요 표준화 추진 결과와 차기 연구회기(’09${\sim}$’12)를 준비하기 위한 구조조정 결과 및 향후 표준화 추진방향 등을 제시하여, 향후 국내에서 ITU-T SG17에 활동하고자 하는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TA 2.3GHz 휴대인터넷 프로젝트그룹(PG302)

  • Hong, Dae-Hyeong
    • TTA Journal
    • /
    • s.103
    • /
    • pp.41-45
    • /
    • 2006
  • 2.3GHz 휴대인터넷 프로젝트그룹(PG302)에서는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휴대인터넷 (WiBro) 기술의 상용 서비스에 대비하여 표준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해왔다. 국내 표준화를 위하여 2단계의 제정및 개정과정을 거쳐 2005년 말에 휴대인터넷 표준을 완성하였다. 또 국제 표준화를 위하여 광대역 무선 접속에 대한 표준화를 추진해온 국제표준화 기구인 IEEE 802.16 WG과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WiBro 표준의 국제화를 성공적으로 달성했다. 현재는 WiBro 서비스를 경제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호호환성 및 적합성 시험(IOT/RCT) 규격의 표준화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또 휴대인터넷과 다른 망과의 연동을 위한 표준, USIM 기반의 휴대인터넷 상호 인증 표준의 제정을 추진하고있다. 2006년부터는 관련 국제 표준화 움직임과 행보를 같이 하여, 시험 표준인 IOT/RCT 규격에 대한 국제 표준화도 추진할 예정이다. 또 향후 성능이 향상된 차세대 휴대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3단계 표준화도 함께 진행하여 ITU-R 등을 중심으로 국제적으로 이루어질 IMT-Advanced 표준화에 대응할 예정이다.

  • PDF

ITU-T SG17 국제표준화 동향 및 향후 전망

  • Oh, Heung-Ryong;Kim, Youngwha;Youm, HeungYoul
    • Review of KIISC
    • /
    • v.23 no.3
    • /
    • pp.5-13
    • /
    • 2013
  • 정보보호 분야의 국제표준화는 기술들의 특성 및 참여하는 사용자들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국제표준개발 및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즉, ITU-T SG17(보안)에서는 전기통신(Telecommunication) 관점에서 통신망에 적용 가능한 응용기술들을 중심으로 국제표준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ISO/IEC JTC1/SC27(정보보호)에서는 정보보호 원천기술들에 대한 국제표준화를 다루며, IETF Security Area에서는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 보장 및 향상된 인터넷 환경 구축을 위한 산업체 중심의 사실표준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유럽 및 아시아 지역에서 국가간에 정보통신 표준화와 국제표준화 기구들에 대한 공동 대응을 위한 ETSI, ASTAP, CJK Security WG 등에서도 지역 내 정보보호 표준화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국제표준기구는 참여하는 이해 당사자가 국가(National Body)인지 혹은 산업체 등의 이해당사자들 간에 참여인지에 따라 특성 또한 달라지며, 표준을 개발하는 절차가 공식적인 방법에 따른 것인지 이해 당사자들 간에 합의에 의한 것인지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1년 11월, 두바이에서 개최된 ITU-T WTSA-12(세계정보통신표준총회) 국제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4년간의 ITU-T SG17 국제표준화 활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