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제표준

Search Result 3,26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최신 소방방재기술 현황

  • 이수경
    • Journal of the KSME
    • /
    • v.44 no.9
    • /
    • pp.46-52
    • /
    • 2004
  • 21세기에 들어서면서 IT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모든 분야에서 글로벌화가 신속히 추진되고 있다. 더욱이 WTO/TBT협정(무역의 기술적 장벽에 관한 협정)은 '자국의 국가 표준을 제정할 때 국제표준이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국제표준의 채택을 의무화'하여 '선진국은 2005년까지 개발도상국은 2010 년까지 국제표준을 국가표준으로 채택'하게끔 하고 있으며 또한 APEC/CTI 산하의 표준 및 적합성평가소위원회(SCSC : Sub Committee on Standard and Conformance)에서도 회원들의 자국 국가표준을 국제표준과 일치화 할 것을 합의'하여 선진국은 2010년까지 개발도상국은 2020년까지 자국의 표준을 국제표준과 일치화를 완료토록 하였다.(중략)

  • PDF

A study of the Domestic Trend in the law and institutions of International Standard Disaster Management -Focusing on ISO/TC 292- (재난관리 관련 국제표준별 국내 법·제도 동향 -ISO/TC 292 중심으로-)

  • Yun, Junyoung;Min, Geumyoung;Jung, Dukho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1 no.2
    • /
    • pp.287-296
    • /
    • 2015
  • In this study, international standards in disaster management and the management of the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s(ISO), in particular ISO / TC 292 (Security- Safety) research subcommittee to look at international standards of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for disaster management trends, each international domestic law related to the standard were researched.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Authority as a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formerl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has continued to prepare a plan for applying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levant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s the disaster management international standard continues to be established,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need to continue to keep pac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find ways to introduce international standards.

STANDARDS OUTLOOK 국내 기술표준동향 - 우리 원천기술 국제표준 주도할 표준코디네이터 출범

  • 기술표준원
    • The Monthly Technology and Standards
    • /
    • s.110
    • /
    • pp.40-41
    • /
    • 2011
  • 표준 코디네이터는 관련 분야 국제기술 동향을 분석하여 표준 프레임워크와 중장기 표준 로드맵을 개발하고, 우리 원천기술의 효율적 국제표준화 추진과 새로운 시장 발굴을 위하여 기술별 국가별로 차별화된 전략적 표준화 협력계획 등을 포함은 '국제표준화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 PDF

ITU-T SG17 ID 관리 국제표준화 동향 및 향후 전망

  • Cho, Sang-Rae;Jin, Seung-Hun
    • Review of KIISC
    • /
    • v.21 no.2
    • /
    • pp.70-77
    • /
    • 2011
  • 국제표준화기구 ITU-T에서는 SG17 WP3 그룹이 ID 관리 기술에 관한 표준화를 리드하는 연구그룹으로, 산하 6개의연구과제(Question)를 구성하여 관련 국제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이 연구과제들 중 Q.10에서는 ID 관리 기술의 구조와 프레임워크에 대하여 정보통신 환경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는 국제표준들의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Q.10에서는 앞서 언급된 분야로 총 4건의 국제표준을 제정하였으며, 총 12건의 표준초안들이 개발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Q.10에서 개발한 국제표준들과 개발 중에 있는 표준초안들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표준화 추진체계

  • Han, Tae-Su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9
    • /
    • pp.66-69
    • /
    • 2002
  • WTO 무역체제에서 세계 각국은 향후 자국에 유리한 국제시장 형성을 위하여 국제표준(ISO, IEC 등)을 신속히 국가표준으로 도입한다던지 또는 자국의 국가표준을 국제표준에 최대한 반영시킨다던지 하는 등의 국제 표준과 연계한 국가표준화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표준화 활동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하여 일관되고 효율적인 국가표준 추진체계를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 PDF

Global Eye 국제표준화 포커스 - 해상 위험, 국제표준으로 예방하자

  • Kim, Eun-Jeong
    • The Monthly Technology and Standards
    • /
    • s.123
    • /
    • pp.34-35
    • /
    • 2012
  • 재난이 일어나면 이를 예방하기 위해 강제 법규가 만들어지기 마련이다.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지만, 참사를 예방하려면 필요한 조치이다. 국제표준의 필요성이 증대되는 까닭이다. 이미 사고를 통한 표준 구축사례가 있다. 그렇지만 아직도 과제는 남아있다.

  • PDF

STANDARDS PRISM(2) 표준시론(時論) - 전기차 연구 표준화와 연계 '핵심'

  • Heo, Hun
    • The Monthly Technology and Standards
    • /
    • s.120
    • /
    • pp.8-14
    • /
    • 2012
  • 전세계적으로 전기차에 대한 개발 및 보급과 연계하여 국제 표준화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전기차 표준화 작업을 위해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을 중심으로 산학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국제 표준에 신속하게 유연하게 대처하는 한편,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한 노력에 힘쓰고 있다. 전기차의 연구개발 현황과 국제 표준화 동향, 전기자동차 표준화 로드맵을 통해 전기차의 국제표준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 PDF

나사 국제표준의 중요성과 과제 - ISO/TC 1, 기술적 시스템 등 기준 초안 개발해야

  • Li, Xoaobn
    • The Monthly Technology and Standards
    • /
    • s.101
    • /
    • pp.8-10
    • /
    • 2010
  • 전 세계 생산과 무역이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나사에 관한 ISO 국제표준이 더욱 중요해l 되었다. 현재 관련 용어를 포함한 4종의 나사를 다룬 20종의 국제표준이 있다. 그러나 톱니나사와 같은 나머지 유형에 관한 국제표준은 없다. 엔지니어들은 ISO/TC1이 적극적으로 그 간극을 메울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최소한, ISC/TC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나사를 다루고 통일된 용어, 기호, 지시어, 기술적 시스템이 있는 기준 초안을 개발해야 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 선박 운용 핵심기술 ISO 국제표준 개발에 대한 고찰

  • 전주영;김명진;전보미;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8-199
    • /
    • 2023
  • 자율운항선박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MASS) 관련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신기술을 검증하기 위해 국제표준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현재 ISO TC8(선박 및 해양기술) 분과에서 개발중이거나 제정된 표준 분석을 진행하였다. 3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였을 때, 카테고리 3 - 세부 장비/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개발된 표준의 수가 카테고리 1 - 일반적인 가이드라인 및 기능적 요구사항에 대한 표준과 카테고리 1의 기능적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기술적 솔루션 레퍼런스인 기술적 솔루션 표준은 부족한 실정이다. 우선순위 도출을 통하여 카테고리 2 분야의 표준화 아이템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수립한 국제표준화 추진전략 및 계획을 소개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