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제안전관리규약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해사안전법상 안전관리책임자 및 안전관리자의 자격요건에 관한 연구

  • Jin, Ho-Hyeon;Kim, Ji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5-7
    • /
    • 2013
  •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대형 해양사고에 대한 대처방안의 일환으로 진행된 국제해사기구에서의 조사 및 연구는 선박의 물리적 감항성 이외에 선박을 운영하는 인적자원의 과실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적과실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1994년에 '1974년 SOLAS 협약'의 부속서로 '국제안전관리규약'이라고 하는 이른바 'ISM Code'를 채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1999년에 'ISM Code'를 구 해상교통안전법(현 해사안전법)에 관련 조항을 신설하여 시행하고 있다. 최근 개정된 해사안전법에서는 해운선사가 선박의 안전운항 및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안전관리체제를 수립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사업장의 인적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요건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법률 이행당사자인 선박소유자 또는 안전관리대행업자 등은 조문내용을 해석함에 있어 명확하고 통일된 의견을 내지 못하고 있어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해사안전법상 안전관리책임자와 안전관리자의 자격기준 등에 관한 법률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Safety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for Shipping Company (해운선사 안전관리 평가시스템 개발)

  • Kim, Hwa-Young;Kim, Joo-Hwan;Park, Sang-Yong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6
    • /
    • pp.43-55
    • /
    • 2014
  • 새 정부는 국민의 행복실현을 위해 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에서도 해양사고 30% 감소를 목표로 해양안전실천운동본부 발대식 및 해양안전헌장 선포, 선박안전관리자협의회 출범 등 민 관이 함께 해양에서의 안전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관리의 주체인 해운선사의 안전관리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 및 안전관리 평가시스템 등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로, 철도, 항공 등 타 분야의 안전관리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해운선사의 안전관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해양사고정보, 항만국통제 점검결과, 안전관리체제 심사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들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평가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안전관리 평가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안전 우수사업자 평가업무, 우수 선박관리사업자 인증업무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해상교통안전을 위한 안전탄력성에 기반한 시스템 안전기술의 도입 검토

  • 김홍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55-56
    • /
    • 2022
  • 현재 해상교통 분야에서는 국제안전관리규약(ISM Code)과 내항선 안전관리체계 등을 통해 해양사고를 저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대형사고와 잦은 소형어선 인명사고로 인해 타 운송수단에 비해 위험도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안전분야의 최대 이슈는 2022년 1월부터 시행 중인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며, 해운업 분야에서는 선박안전관리사 제도 도입 문제와 안전관리의 디지털화 등이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최근 안전관리 현황과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고, 2000년대 들어와 관심을 받고 있고 타 분야에서는 적용이 활발한 레질리언스 안전(Safety II) 개념을 적용한 시스템적 안전관리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Qualifications of Designated Person on the Maritime Safety Act (해사안전법상 안전관리책임자 및 안전관리자의 자격요건에 관한 연구)

  • Jin, Ho-Hyun;Kim, Jin-Kwo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5
    • /
    • pp.519-526
    • /
    • 2013
  • In managing shipping business, the concept of seaworthiness of the vessel h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hipping industry. However, despite of the development of the vessel's seaworthiness, marine accident has continuously occurred at sea.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 has paid attention to the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Human Error in shipping operations in addition to physical seaworthiness of the vessel. In 1994, IMO adopted the "International Management Code for the Safe Operation of Ships and for Pollution Prevention(ISM code)" of "SOLAS 1974" Annex, to take countermeasure against this human error. In 1999, Korea adopted the 'ISM Code' and then enacted the Maritime Safety Act (previously Maritime Traffic Safety Act). The Maritime Safety Act regulates necessary qualifications of the Human Resources of shipping companies for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However, there has been a discrepancy between shipowners and ship management companies in interpreting the legislative texts, finally causing confusion.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deficiencies in the regulation on the standard of qualifications of the Designated Person under the Maritime Safety Act and thereby suggest any possible improvements in it.

An Empirical Analysis for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 under ISM Code (ISM Code에 따른 안전관리 시스템활동의 실태 분석 - 선상 안전활동을 중심으로 -)

  • Lee, Ok-Yo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6 no.2
    • /
    • pp.245-259
    • /
    • 2002
  • According to ISM Code, from July 1, 1998 relevant shipping company and ships should establish, implement and maintain safety management system(SMS) both on ships as well as shore. Nonetheless the SMS has not yet been settled. This paper is prepared to seek for the problems occurred in rela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SMS onboard and propose ideas to improve the system.

A Study on the Change of Domestic Marine Accidents and Insurance Rates according to Enforcement of ISM Code (ISM Code 도입에 따른 국내 해양사고 및 보험율 변화에 관한 연구)

  • Yang, Hyoung-Seon;Noh, Cha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1
    • /
    • pp.65-69
    • /
    • 2010
  • The variations of marine accidents and ship's insurences are measures for assessing the effects of ISM Code implementation, bemuse expenses for the treatment of ship accidents and compensations for the loss have an effect on the ship's insure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sults and accmplishements of ISM Code implementation in Korea, the rise and the fall of marine accidents and ship's insurences were analyzed and examined in domestic shipping companies from one year before implementation to eight years after implementation of ISM Code. As the result of analysis, compared with the period of a year before implementation of ISM Code, the decrease of about 14.4% in marine accidents was shown in the 8th year after ISM Code implementation in Korea, and ship's insurance rates tended to decrease from year to year.

A Analysis on the Operation Efficiency of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DEA method (DEA 분석 기법을 이용한 안전관리체제 운영효율성 분석)

  • Yang, Hyoung-Seon;Kim, Chol-Seong;Noh, Chang-Kyu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6.05a
    • /
    • pp.15-20
    • /
    • 2006
  • In this study, we had investigated several input factors and output factors, to maintain safety management, of domestic shipping companies, and then had analyzed the efficiency of performance of performance about each shipping companies' safety management system from 1998 year to 2004 year using DEA method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annual mean efficiency of total companies tended downward every year. Analysis was that the cause was increase of the cost of repairing ship, the cost of ship's stores and idle day of ship.

  • PDF

Empirical Study of ISM Code Induction Effects by the Korean Government (국제안전관리규약 (ISM Code) 국내도입 성과 실증 연구)

  • Noh, Chang-Kyun;Kim, Cheol-Seong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6.05a
    • /
    • pp.27-3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ISM Code 의 국내도입에 따른 성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안전관리체제 도입 성과를 21 개 항목으로 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3.5점으로 전반적으로 도입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항 해운기업보다는 외항 해운기업이, 98년 이후 가동기업 보다는 그 이전 기업이,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에서 ISM 시스템이 정착되고 도입 성과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는 국내 도입이 본격적으로 진행된 지난 1995년 이후 10여년 경과 시점에 연구가 진행되어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An Analysis on the Operation Efficiency of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DEA Method (DEA분석 기법을 이용한 안전관리체제 운영효율성 분석)

  • Yang, Hyoung-Seon;Kim, Chol-Seong;Noh, Cha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3 no.2 s.29
    • /
    • pp.141-146
    • /
    • 2007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several input factors and output factors to maintain safety management of domestic shipping companies, and then have analyzed the efficiency of performance about each shipping companies' safety management system from 1998 year to 2004 year using DEA method.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annual mean efficiency index of total companies tended downward every year. Analysis was that the cause was increase of the cost of repairing ship, the cost of ship's stores and idle day of ship while the number of marine accidents and sanctions of PSC, ship's insurances and P&I insurances was decreased.

  • PDF

ENC Development using GIS (GIS를 이용한 전자해도의 개발)

  • 심우성;서상현;박종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8.11a
    • /
    • pp.428-433
    • /
    • 1998
  • 국제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전자해도는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로 인한 각종해난사고의 예방과 급증하는 해상교통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안전항해시스템의 기본데이터로 사용된다. 국제기구인 IHO는 1996년에 전자해도관련 국제표준을 제정하고 각 회원국에 전자해도 개발을 강력히 권고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국립해양조사원이 1999년 완료를 목표로 전자해도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전자해도의 개발과정은 기존의 종이해도를 디지틀화 하는 것에서 출발하며 이 과정에서 CIS를 이용한다. 국내에서는 수로데이터의 처리에 강력한 기능을 갖고 있는 CARIS를 사용하여 수치해도를 제작하고 이 데이터를 기본으로 전자해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실제로 종이해도를 스캔한 이미지 파일을 벡터화하고 각종 관련 규약에 맞게 편집하여 수치해도를 제작하며 이를 바탕으로 S-57 기반의 전자해도를 제작한다. 이 과정에서 CARIS는 이미지의 벡터화, 각종 심볼의 입력, 좌표변환, 오브젝트의 입력ㆍ수정등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KRISO가 1995년 말부터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위탁받아 연구한 전자해도 개발과정과 검수과정을 소개하고 그 과정에서 사용된 CARIS의 활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향후 중요하계 다루어질 전자해도의 공급 및 관리시스템의 GIS 활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