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제공동연구

Search Result 62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Cooperation Method of International IT R&D Process (IT 국제공동 연구개발의 바람직한 추진방안)

  • Song, Hag-Hyun;On, G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93-296
    • /
    • 2008
  • 국제공동연구는 공동연구를 실시하기 전에 연구가 필요한 기술을 우선 정하고 기술을 보유한 국가나 기관을 선정하여 도입하고자 하는 기술이나 서로 보완관계로 공동연구가 가능한지 아니면 도입방식의 공동연구를 추진해야 하는지를 검토하여 세부적인 기술을 정하여 국제공동연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 등 우리나라의 국제공동연구 사례를 분석하면서 바람직한 국제공동연구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외국과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경우에는 공동연구 대상기관이 어떠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데 그 기술의 가치가 무엇인지 따져보고 국내나 다른 나라들은 없는지 확인하여 필요한 기술이라면 도입여건을 검토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기술의 포괄적인 포장이나 애매한 협력은 불필요한 예산과 인력 투입등 비용을 유발하고 관련기관간의 신뢰를 심각하게 저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기술내용과 역할 등에 대해서 세분화하여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An Evaluation for quality of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R&D cooperation by analyzing patent information (특허정보 분석을 통한 국제공동연구 성과의 품질 평가)

  • Kim, Kang-Hoe;Chae, Myung-Su;Shim, We;Kwon, Oh-Ji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5 no.3
    • /
    • pp.722-743
    • /
    • 2012
  • Confronted with increasing global competition and rising research and development risks, the global open innovation has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whether or not international cooperative R&D is effective by evaluating the quality indicators with the patents with international co-applications. The number of patents with international co-applications has dramatically increased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outcome from international cooperative R&D is prominent in term of all the evaluation criteria such as the number of citation, patent families, claims, and et cetera, compared with that from domestic cooperative R&D. Based on the patent quality, the information technology sector holds the top spot and high-tech sectors such as bio and automobile industries show the better quality performances. By identifying high betweeneess centrality in the network analysis of international cooperative R&D, the US is indicated as the most central country in such cooperative activity, and then Germany, the UK, Canada, and France come after.

  • PDF

국내 우수 연구자의 글로벌 공동연구 활동도 분석 연구 : 신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 Yu, Hwa-Seon;Kim, Yun-Myeong;Yang, Chi-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67-1188
    • /
    • 2017
  • 최근 4차 산업혁명 등 대외적 R&D 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이로 인한 과학기술의 융 복합 및 첨단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신산업분야를 중심으로 국가 간 공동협력이 점차 활발해짐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연구개발 주체의 연구역량 열위, 연구주체의 폐쇄성, 국가 R&D 제도적 미흡 등으로 인해 국가 간 공동연구 활동도가 매우 미흡한 편이다. 2016년 국가과학 기술혁신역량평가 국제협력 항목에서도 우리나라의 국제협력 항목지수는 0.206으로 2015년(0.182) 대비 0.024p 상승하였으나, 여전히 OECD 30개국 중 16위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협력 상위 3개국에 대한 상대수준에서도 평균 10.3% 수준에 불과하여 국제 공동연구 활동도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개선방안 확립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년 연구에 이어 미래 신산업 분야에서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국의 국제 공동연구 현황을 중심으로 핵심연구자 간(연구 활동도 상위 5위 이하)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활동도 비교 분석을 통해 정확한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우리나라 연구주체의 연구개발 개방화, 국제 협력 전략적 분야 및 대상 발굴,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등에 대한 발전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국내 및 글로벌 핵심 연구자 간 글로벌 공동연구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KDD/KM 방법론을 활용한 공동연구자 분석(Co-author analysis)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동 방법론의 활용을 통해서 신산업 분야 중 가사로봇분야의 상위 10개 국가, 기관, 연구자에 대해 분석하고, 논문 활동도가 높은 글로벌 및 한국의 상위 5위까지의 핵심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자 간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현황 및 활동도에 대한 공동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oduct Management System i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국제공동연구 성과물 관리제도 개선방안)

  • Yoon, Chong-Mi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2 no.3
    • /
    • pp.499-524
    • /
    • 2009
  • Recently the portion of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in national R&D is being on the increase. But the management system of products from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is not sufficient. Not only the internal management system of public research institute, universities or government support R&D centers, are not enough, but also the legislations in government level are not established. In this paper, the problems and situations of product management system i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the methodology of improvement of them are presented.

  • PDF

The Strategy for Participation of international R&D Cooperation for Korean Companies -specially EU Cluster Program- (우리나라 기업 국제공동연구 참여전략에 관한 연구 -EU의 EUREKA Cluster를 중심으로-)

  • Kim, Jin-S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2
    • /
    • pp.648-653
    • /
    • 2012
  • The government announced a strategy for the world's leading science and technology from 2008 to 2012. South Korea government has committed 1.3 percent for joint research projects research among total budget.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find Strategy for international technological participating particularly EU. This paper consists of six chapters. Chapter 2 the statu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participation of korean companies. Chapter 3 is the theoretical basic. Chapter 4 is research methods. Chapter 5 of this paper is presented EUREKA collaboration as core of this paper. Chapter 6 hat conclusions and policy proposals.

A Study on the Citation Impact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Research for 13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of Korea Research Council of Fundamental Science and Technology(KRCF) (국제 공동연구의 인용영향력에 대한 연구 - 기초기술연구회 13개 출연연구기관을 대상으로 -)

  • Lee, June-Young;Shim, We;Ahn, Se-Jung;Kwon, Oh-Jin;Noh, Kyung-R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7 no.6
    • /
    • pp.1353-1362
    • /
    • 2012
  •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articles from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are more cited than articles from domestic collaborations. However, difference between the citation impact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co-authored papers is supposed to be widened due to the collaboration strategy adopted by individual institute. In short, each institute will show the significantly different citation impact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co-authored papers. In this paper, we applied the index of Incremental Ciation Impact(ICI) to identify the different value of citation impact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co-authored papers for research institutes of KRCF, results of which will be understood under the strategy of international research collaboration.

A study on the status of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in government R&D program (정부 R&D 사업의 국제 공동연구 현황에 관한 연구)

  • Eunji-Ji Yu;Ji-Young Park;Yun-J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279-280
    • /
    • 2023
  • 최근 증가하고 있는 글로벌 이슈의 해결을 위해 국제 공동연구를 통한 글로벌 협력체계 강화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한국 정부에서도 2024년 국제 공동연구 관련 R&D 예산 규모를 약 3배 가량 늘릴 것으로 발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2021년 동안의 정부 R&D 사업의 국제 공동연구 투자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향후 국제 공동연구에 대한 예산 계획을 수립하고, 국제 공동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 수립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the Way to Enhance Research Performance out of the International Joint Projects under the Framework of National R&D Programs, Focusing Basic and Fundamental Technology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한 국제공동연구 성과 제고 방안에 대한 연구 : 기초 및 원천분야를 중심으로)

  • Kim, Tae-Hee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5 no.2
    • /
    • pp.400-420
    • /
    • 2012
  • This study explores the way to enhance research performance focusing basic and fundamental technology when researchers conduct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with counterparts in foreign countries, funded under the National R&D programs. In order to retain validity and objectivity, mixed approaches includ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re adapted at the first step. Through this step, main factors affecting the research performance can be addressed, such as the number of SCI papers published, conference attendance held both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researchers holding PhD involving in projects. Then, at the second step, DEA methodology is applied to explore the way to enhance research performance, based on the analysis at first step. The result at second step shows that the various ways can be drawn according to programs respectively and the general assumption of research funds and number of projects affecting positive outcome is not absolutely mentioned.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input variables including research funds are not compatible with research performance in terms of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and suggests further that the decisive outcome and management be reconsidered according to the programs respectively under the national R&D program.

  • PDF

A Study on the Knowledge Structure Network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Psychiatry (정신의학 분야 국제공동연구의 지식구조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Kim, Eun-Ju;Nam, Tae-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2 no.3
    • /
    • pp.317-340
    • /
    • 2015
  • This study clarified the knowledge structure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psychiatry based on analyzing networks in order to construct cooperation networks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psychiatry in South Korea. The result of analysis of knowledge structure at a state-level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rate of collaboration for five years is high as 89.97%. Moreov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of rate of collaboration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nd ascertained that while the rate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has increased,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of research on collaboration between Asian countries, and found that collaboration between Asian countries is on a low level. Third, the country (or group) that the number of paper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the value of centrality are the highest is EU-28. The result of analysis of knowledge structure at a research output-level is as follows.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of centrality with research output, and found that positive correlation exists in the three indicators of centrality, and a country with high centrality has good research output.

The International Piping Integrity Research Group Program (배관건전성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

  • 이정배;고석웅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5
    • /
    • pp.421-434
    • /
    • 1993
  • 원자력안전기술원이 참여하고 있는 배관건전성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인 IPIRG-2에 대하여 그 배경과 과제의 구성 및 공동연구방법을 간략하게 소개하였으며, 그 1단계 연구 프로그램인 IPIRG-1에서의 연구결과를 요약기술하였다. 규제기관과 원자력 산업계가 모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주제들이 다루어지고 있는 이 국제공동연구는 원자력발전소의 건전성에 관한 매우 중요한 결과를 제공할 것으로 믿는다. 또, 여러 기관이 컨소시엄 형태로 공동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연구의 중복성을 피하고 연구비의 한계성을 극복하면서 각 기관이 보유한 고유의 기술들을 집 대성한다는 점에 대해서도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이 글에서는 IPIRG-2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목 표와 연구수행체계만 간략하게 소개하였는데, 다음 기회에는 각 소과제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에 대해서 기술하게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