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민보건

Search Result 97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우리나라 보건요원의 역할

  • 남철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1998.07a
    • /
    • pp.13-37
    • /
    • 1998
  •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염원은 끊임없이 삶을 영위해 온 인류가 추구하여 온 보편적인 가치라고 할 수 있다. Inkeles(1993)는 살의 질을 근대화 또는 산업화 맥락에서 연구하였으며 산업화로 인하여 물질적, 물리적 조건 특히 국민총생산량(GNP)과 같은 경제적 조건의 발전이 있었으며 그 결과 국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결론짓고 있다.(중략)

  • PDF

Expanding Health Education Plan For Improving Public Health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 Yun, Gi-Seon;Park, Chung-Y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3
    • /
    • pp.303-317
    • /
    • 2015
  • Although the public health centers have been initiating health education recently, it is not extending as expected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is low. The reason is that the office workers have few opportunities to receive health education since there are few public health centers in relation to the population. Much time is required for travel and attendance of the class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im is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health education, improve the overall public health awareness, expand the number of health education locations to reduce medical expenses, vitalize the lifelong educational health programs, and improve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order to research about the health education expansion plan for public health improvement, a study focused on men and women above age 20 who need health education. The research sample was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that targeted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programs or the health education. The period of this survey was from September 1st to September 30th, 2014. A total of 509 participants completed the survey data for the actual analysis to propose the health education expansion plan for the public health improvement.

Direction and strategy of national health promotion in Korea (정부의 국민건강증진사업 방향과 전략)

  • 오대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1999.07a
    • /
    • pp.1-8
    • /
    • 1999
  • 최근 우리 나라 국민들의 생활수준과 의료서비스 수준이 향상되면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과 실천노력이 일반화되면서 국민의 전반적인 건강수준은 향상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의 건강문제는 감염성질환이나 열악한 위생상태로 인한 위험보다는 국민의 운동부족, 불균형한 영양섭취 등 생활양식 변화와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만성퇴행성질환의 증가로 사전예방의 중요성이 커지는 쪽으로 그 양상이 바뀌어 가고 있다.(중략)

  • PDF

건강을 지키는 현장-건강교육의 핵심은 자신의 소중함을 께닫는 것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15 no.3 s.148
    • /
    • pp.2-5
    • /
    • 1991
  • 현대의 질병을 우리는 비전염성 만성질환, 즉 성인병이라 일컫는다. 이 질병은 평소의 생활에 주의하지 않으면 누구라도 걸릴 수 있고 한번 걸리면 쉽게 치료되지 않는다는 특성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 질병의 관리를 위해서는 모든 사람들이 올바른 생활습관을 가지도록 하는 보건교육이 그 기초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재 우리나라의 보건교육은 체계상으로나 자료의 측변에서 미흡한 점이 많고,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보건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실천하는 보건단체가 많지 않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미 몇 년 전부터 ‘국민건강운동’을 제창하고 국민 보건교육에 나섰던 경기 제11지구의료보험조합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모범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