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민구강보건증진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학교구강보건교육적측면에서 본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

  • 김종배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1 no.1
    • /
    • pp.111-112
    • /
    • 1983
  • 국민의 구강건강을 보호 증진시켜, 궁극적으로 복지사회를 실현시키기 위한 구강보건사업은 대상에 따라 모자구강보건 사업, 학교구강보건사업, 성인구강보건사업, 노인구강보건사업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구강보건사업 중에서 특히, 학교구강보건사업은 앞으로 우리나라의 주빈이 될 2세 국민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과 또한, 구강에 빈발하여 구강건강장애를 많이 유발시키는 중대 구강병인 치아우식증과 부정교합은 국민학교 학령기에 빈발하고, 치주병도 치은염으로 국민학교 졸업기에 대개 발생되어, 일생의 구강건강기틀은 국민학교 학령기에 마련된다고 보아야 하므로, 구강보건사업 중에서도 학교구강보건사업이 가장 우선적으로 개발 추진되어야 한다.

  • PDF

22년 만에 치과계 숙원 이루다-구강보건전담부서부활!

  •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5 no.12 s.343
    • /
    • pp.962-975
    • /
    • 1997
  • 1997년이 저물기 전, 치협은 구강보건전담부서 부활이라는 치과계의 숙원사업을 성취했다. 구강보건전담부서가 설치됨가 동시에 앞으로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더욱 촉각을 곤두세우며 실무자들은 대응책에 고심하고 있는데.... 작은 정부 지향이라는 기본적 정부 정책 앞에서 게획적으로 내실있는 운영으로 구강보건과를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높은 가운데, 구강보건과라는 '보석함'에 어떤 '보석'을 채워야 국민 모두와 치과계에 도움이 될까? 구강보건전담부서 부활로 국민의 구강보건 증진과 치과계의 발전을 기대하며 보건복지부와 대한치과의사협회, 치과계 인사의 견해를 들어보고 앞으로의 구강보건과를 전망한다.

  • PDF

Objectives and Strategies of Government Health Promotion Policy (정부의 건강증진사업 목표 및 추진방향)

  • Lee,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3-32
    • /
    • 2005
  •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은 국민의 건강수명 연장과 삶의 질 향상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는 건강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질병을 예방${\cdot}$관리하며 평생 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한 생활양식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반으로 연구와 개발 강화, 법과 규칙의 조정, 기금과 인력과 같은 자원 확보는 필수적이다. 정부의 건강증진전략은 첫째 자원할당의 우선순위를 확보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질병 및 손상의 예방, 재활관련 사업에 더욱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며, 둘째로 국가차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포괄적인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프로그램(건강증진종합계획)과 모아보건, 학교보건, 산업보건, 그리고 만성질환예방프로그램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로, 건강증진기금을 공공보건을 위한 하부기반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투자함으로써 사업의 하부기반을 정비하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하부기반으로는 정책과 위임사항을 들 수 있는데, 국민건강증진법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05년 6월에 서울시 의회를 통과한 건강도시추진위원회를 들 수 있다.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의 법적 기반은 1995년에 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이다. 국민건강증진법은 국민들이 건강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책임의식을 함양하며, 올바른 건강지식을 갖고, 국민들이 건강한 생활양식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증진사업은 대중을 위한 보건교육과 건강상담, 영양관리, 구강보건관리, 질병의 조기발견과 치료를 위한 건강검진, 지역사회 건강문제에 관한 조사와 연구, 담배소비 감소와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를 통한 국민건강상태의 향상을 위한 사업이다. 훈련과정으로는 보건복지부에서 2005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시와 지역을 위한 현장관리 프로그램과 서울시가 수행예정인 지역수준의 지도자 훈련과정이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기금조성은 건강증진기금이 담배세로부터 조성되고 있으며 2004년 12월 31일 현재 담배 한 갑 당 500원으로 인상되어 부과되고 있다. 기금의 관리와 운용은 보건복지부가 담당하며, 기금은 건강한 생활양식형성에 대한 지원활동, 국민을 위한 보건교육과 교육자료 개발, 건강증진과 만성질환에 대한 연구, 질병의 조기발견을 위한 건강검진, 구강보건관리활동에 사용되고 있다. 향후 건강증진사업 투자계획은 1단계 (98-02년)에는 사업기반조성기, 2단계(03-06년) 보건소사업발전기, 3단계(07-11년)통합사업정착기로 구성되고 2단계의 인프라구축에 사용될 투자 비율은 30%에서 3단계에 15%로 감소될 예정이며, 사업실행 영역은 50%에서 65%로 확대될 계획이다. 2005년 건강증진사업의 중점목표는 건강증진사업의 지방 분산화,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 사회적 형평성의 달성에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지방분산화를 위해서는 중앙에 관리센터가 설치되어 기획과 평가, 연구와 개발, 현장관리 훈련을 담당하게 되고, 지역관리센터에서는 자치적인 보건소 중심 건강증진사업의 수행과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을 위해서 효과가 입증된 사업에 우선순위를 두며, 기획과 평가위원회를 설치하고, 건강증진사업의 평가결과를 환류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건강증진포럼을 구성하며 현 건강조사 체계를 수정한다. 한편 형평성 제고의 측면에서는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들과 같은 취약계층의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간${\cdot}$사회적 집단 간의 건강증진사업관련 형평성을 제고한다.

  • PDF

Healthy Korea 2010 : Role of the Health Educator (Healthy Korea 2010추진과 보건교육 인력 활용 전략)

  • Choi, E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89-109
    • /
    • 2004
  •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duced the Health Plan 2010 aimed at setting up healthy Korea objectives, policies on preventing chronic diseases, reshaping the country's health and medical infrastructure. The policy goal targets the people's healthy life expectancy at 75 by 2010, and includes healthy life practice measures including health education, health improvement services, and disease management measures, in achieving the objectives. Also, the plan provides life cycle-based health improvement and disease prevention services, as well as pushes ahead with projects with greater ripple effects in each area. To this end, the government is simultaneously pushing to operate an experts-centered health promotion committee and establishing the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augmentation of national health improvement funds. Through its Health Plan 20 I 0, the Korean Government will exert efforts to achieve its policy objectives as addressed in the measures by enhancing the national potential health and providing systematic disease prevention services.

  • PDF

Connections between the Subjective Awareness Characteristics of Oral Health of Certain Adults and Their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 Behavior of Oral Health (일부 성인의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 특성과 구강보건 지식 및 구강보건 실천 행태의 연관성 연구)

  • Park, Hong-Ryurn;Moon, Seon-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
    • /
    • pp.300-310
    • /
    • 2013
  • Under the goal of examining the subjective awareness characteristics of oral health and identifying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 behavior of oral health,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questionnaires from 763 adults in certain areas from June 23, 2011 to March 24, 2012 and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s for oral health knowledg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p<0.001) according to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vocation. 2. As for the practice behavior of oral health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t(p<0.001)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vocation, and income. 3. As for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the practice behavior of oral health according to awareness characteristics of oral health,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t(p<0.001)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subjective health state and interest in oral health(p<0.001). 4.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factors related to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 behavior of oral health,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p<0.001) in interest in oral health and had connection. Based on those findings, it is imperative to fully consid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awareness characteristics of oral health of individuals when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oral health and investigating and conducting educational methods for oral health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e of oral health for practically better oral health of the nation.

한국 노인의 잔존치수와 저작능력과의 관계

  • Choe, Yu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3-83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인 노년층이 대표적으로 섭취하는 강도별 음식을 조사하고 각 음식별로 씹어 먹을 수 있는 음식들이 무엇인지를 조사하여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자연치아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자연치아의 건강도를 유지, 관리, 예방하는데 하나의 지표로 사용하고 더 나아가 국민구강건강향상에 이바지 하고자 실시되었다. 전국의 60세 남 녀 586명을 대상으로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가 구강검사와 면접법으로 설문내용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잔존치아수와 저작능력간의 관계를 상관계수와 회귀분석으로 분석 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저작능력과 구강상태와는 치석, 동요도, 충전점수, 우식경험점수, 발거치아수, 임플란트 수, 자연치아수와 나이, 고혈압, 당뇨병, 기타질환, 흡연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회귀분석 결과 나이가 높을수록 저작능력이 감소하며, 자연치아수가 많을수록 저작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방정식은 저작능력=79.417-(연령$\times$0.281)+3.813$\times$치아수와 같았다(p<0.05). 3. 회귀분석결과 저작능력점수와 자연치아수와의 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회귀방정식은 저작능력=3.817$\times$자연치아+58.694와 같았다(p<0.05). 4. 자연치아로 식사를 하기 위해서는 한국 노인의 주식인 밥과 김치정도를 잘 씹어 먹으려면 잔존 자연치아수가 18개 정도는 있어야 아주 잘 씹어 먹을 수 있고, 잘 먹으려면 12개의 자연치아가 있어야 하며, 육류를 잘 먹기 위해서는 최소한 18개는 있어야 잘 먹을 수 있고, 25개가 있으면 아주 잘 씹어 먹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PDF

A Study on Appraisal for School Oral Health Education (국민학교 학동을 대상으로 한 직접 및 간접 구강보건교육의 효과평가에 관한 조사연구)

  • 윤신종;신승철;김경희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10 no.2
    • /
    • pp.32-39
    • /
    • 1993
  • The authors have examimed 349 primary school children with questionare in order to appraise the oral health educational levels, one month later after performing oral health education as direct education and indirect education with video film, and compared the data from 350 uneducated childre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ings ; 1. It was estimated that the direct and indirect oral health education for school children were effective for in creasing the knowledge levels of oral health. 2. It was revealed that such items of oral health education as preventive measure for caries, tooth brushing method, etiology of dental caries and etiology of malocclusion were more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knowledge levels, compared to uneducated group. 3. Tooth Brushing Method should be educated in practical, not only to school children but also school teachers. 4. It should be established the goals and items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practical as national level.

  • PDF

세치제 개발에 관한 세미나

  •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2 no.10 s.185
    • /
    • pp.855-860
    • /
    • 1984
  • 국산 세치제와 잇솔이 갖추어야 할 기본요건과 개발방향이 제시된 세미나가 지난해에 이어, 지난 7월 14~15일 양일간에 걸쳐 속리산 관광호텔에서 구강보건학계와 럭키ㆍ부광ㆍ태평양등 국내 3대 세치제 제조회사의 52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치대 예방치학교실 주최로 개최되었다. 총 13개 연제가 발표된 이번 세미나에서는, 국민 복지를 빨리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업간의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고, 기술개발을 촉진하며, 국산품의 품질 개선, 가격인하, 국제경쟁력의 신장등, 정부의 기본방향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거시적이고 원시적인 안목으로 볼때 기술개발을 위한 산학활동과 선업간의 협력은 산업발전을 통하여 국민복지 증진에 분명히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한 서울치대 김종배교수의 주제 발표와 세치제의 주요작용, 세치제의 abrasiveness 및 polishing 효과와 용어의 정의, 개인에 적합한 세치제의 선택방법, Monofluorophosphate와 plaque 및 타액의 상호작용, 세치제의 선호변인 분석, 세치제 광고문안상의 문제점, 세치제의 전망, 세치제의 전망, 세치제 개발의 제요소, 세치제의 검정 기준과 과정, 잇솔의 기본요건과 시판잇솔의 규격, 잇솔의 강모형태와 탄력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개인에 적합한 강모강도를 가진 잇솔의 선택방법, 「A study on the F'ion concentration of commercial dentifrices」에 대해 폭넓고 진지한 토의가 있었다. 다음은 이날 발표된 내용을 요약정리한 것이다.

  • PDF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on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Korean Elderly (한국 노인의 구강보건행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Shin, Sooil;Hong, Min-Hee;Sim, Seon-J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2
    • /
    • pp.826-83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the elderly. We analyzed 8148 subjects aged 65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5). All individuals were asked about their socioeconomic history,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s (the frequency of tooth brushing, regular dental check-ups, and use of interdental cleaners). In the results, HRQOL was low in the elderly from a low socioeconomic class, or with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or poor oral health behaviors. A partial mediating effect from stress was confi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and HRQOL. In conclusion, HRQOL was associated with oral health behaviors, with a mediating effect from str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a convergence health promotion program should be planned with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a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