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립박물관

Search Result 65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Evacuation of the National Treasures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Activities in Busan during the Korean War (한국전쟁기 문화재 부산 소개(疏開)와 국립박물관의 부산 활동 연구)

  • JANG, Sangho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5 no.2
    • /
    • pp.114-129
    • /
    • 2022
  • Securing a safe place to keep its collections in Busan, the interim capital during the Korean Wa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ould fulfill its mission to protect the national treasures. Right before Seoul was recaptured by the Communist forces, the museum managed to evacuate its collections to Busan in December of 1950. Until the armistice in 1953, a Korean government warehouse in Busan had to function as a temporary museum building. Protecting the national treasures in this small building,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d to maintain its role as a national museum and contribute in revitalizing cultural functions of Busan, the interim capital. The efforts led to hope for reconstructing the museum.

A Study on Information Services of National Museum Libraries (국립박물관 자료실의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Cho, Chan-Sik;Kang, Sung-Ra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6 no.3
    • /
    • pp.5-25
    • /
    • 2015
  • As the use and expectations toward the specialized library have increase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rvices in special fields has become more emphasized than before. In this context, the role and functions of the museum libraries have been more highlighted as the museum has been more frequently used and become popular. In that, this study build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nformation services of national museum libraries, examines their webpages, and analyzes survey results conducted for national museum libraries. By so doing, this study intends to point out issues based upon the analysis and to suggest some recommendations for more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s of national museum libraries.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and Improvement of National Museum Records Management System (국립박물관의 기록물 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 Jang, Hyun-J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8 no.2
    • /
    • pp.153-179
    • /
    • 2008
  • Museum Records is both a resource for the administration and for researchers. And It is necessary for the day-to-day operation of the museum's activity and it serves researchers of all kinds. This study is aimed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 of museum records management in a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11 local national museums in Korea as a case study. To this end, two methods were used to collect the essential data. First, a comprehensive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oreign successful museum records management system. Second,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of actual state of National Museum. The results show that National Museum should be a wholly responsible for the department and disposition of professional staffs and set up the comprehensive registration system,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considering the museum's feature and the regular estimation system. And also National Museum should expand and improve the facilities according to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Agencies Act".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개정시안

  • 유원적
    • KOMUNHWA
    • /
    • no.48
    • /
    • pp.3-42
    • /
    • 1996
  • 필자는 대학박물관의 건전한 육성을 위한 선결과제로서 법령정비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오면서 ${\ulcorner}$대학박물관, 법적근거 마련이 시급하다${\lrcorner}$(한국 대학박물관협회 편, ${\ulcorner}$고문화${\lrcorner}$ $40\cdot41$ 합집, 1992. 12)를 발표한 데 이어, ${\ulcorner}$'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의 개정방향과 그 시안${\lrcorner}$(한국 대학박물관협회 편, ${\ulcorner}$고문화${\lrcorner}$ 44집, 1995. 1)을 발표하였다. 필자는 이 시안을 준비한 1993년부터 문화체육부, 교육부, 총무처, 법제처,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문화재 관리국, 한국 박물관 협회, 한국 대학박물관 협회 등 관련기관과 협의하여 동법의 전면개정을 추진하여 왔으나, 각 기관의 이기주의가 극심하여 동 법의 개정작업이 얼마나 험난한가를 뼈저리게 절감하였다 이에 이미 발표한 시안을 현행법규와 비교한 개정시안으로 다듬어, 관계 제 기관이 참여하는 공청회를 통하여 전면개정을 추진하는 한편, 1996년 4월 총선으로 새로 구성되는 15대 국회의 문공위원회에도 전면개정의 여론을 환기시킬 예정이다. 필자는 1991년부터 국립대학교 박물관장 협의회 부회장을 맡아오고 있으며, 95년도부터 정부예산안에 각 국립대학별로 ${\ulcorner}$박물관 지원비${\lrcorner}$의 예산계상을 관철시킨 바 있다.

  • PDF

국립등대박물관 운영 전문성 제고 및 발전 방안

  • Jeon, Man-H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458-460
    • /
    • 2009
  • 박물관은 한 사회의 기억이 저장되어 있는 곳이라고들 한다. 이러한 기억들은 유물이라는 매게체를 통해 현재로 되살아나 자신의 뿌리인 전통을 가시화해준다. 국립등대박물관은 지난 100년간 우리나라의 밤바다를 비춰주고 뱃길을 알려주는 항로표지의 역사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곳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박물관의 변화는 굉장히 빨리 진행되고 있고 다양한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국립등대박물관도 이러한 변화의 추세에 발맞추어 나아가야 한다. 국내유일의 등대전문박물관으로서 위상과 역할을 되짚어 보고 박물관 운영 전문성 제고 및 발전 방안을 수립함으로서 희망을 밝혀주고 꿈을 심어주는 국립등대박물관으로 거듭나고자 한다. 독창적이고 참신한 전시로 관람객에게 최상의 만족도를 선물 할 것이며 쾌적한 관람 환경 및 시설로 동남권 최고의 명소로 자리매김하기 위하여 열심히 노력할 것이다.

  • PDF

국립등대박물관 상설전시실 현황과 전시구성

  • 김송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3-25
    • /
    • 2022
  • 국립등대박물관은 1985년에 포항시 영일만에 있는 호미곶등대 옆에 건립되었다. 이후 몇 차례 확장을 했고, 2여년에 걸쳐 전시관을 신축하면서 유물관을 리모델링하고 2022년 7월 1일 재개관식을 개최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등대박물관의 핵심건물인 전시관의 상설전시공간의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국내 유일한 등대박물관으로의 역할과 발전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기존 상설전시실이 위치하던 유물관의 복잡한 동선체계를 개선하고 패널과 일반 모형 중심의 연출을 벗어나 이용객 지향적인 동선과 체험물을 활용했다. 앞으로도 전시공간 매치, 연출 및 그래픽 체계, 영상매체 등의 미디어를 활용해 관람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공간을 구축해야 한다.

  • PDF

새 국립중앙박물관 신축공사

  • Baek, Ho-Ik;Jung, Jin-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4 no.1
    • /
    • pp.28-35
    • /
    • 2004
  • 한민족 문화의 정수를 담을 새로운 국립중앙박물관을 서울 용산가족공원 자리에 건립공사를 착공한지 새로운 밀레니엄을 거쳐 6년이상의 공사를 진행해 오면서 어느덧 준공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준공전 새로운 국립중앙박물관의 현 공사상황과 박물관 전시공사의 특성 등에 대해 동부건설(주) 국립중앙박물관현장을 방문하여 알아보고자 한다.(중략)

A Study on Future Direction and Improvement Plan of Museum Library: Focusing on National Museum of Korea Library (박물관 도서관의 미래 방향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도서관을 중심으로 -)

  • Park, Ok Nam;Cha, Sung-Jong;Kim, Si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9 no.4
    • /
    • pp.5-33
    • /
    • 2018
  •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 nation's representative museum library that provides collection development, organizes, and utilize museum collections. Considering the limited budget, staffing, and users' awareness of the museum libraries in general, the role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vi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dentity and development pla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library as a specialized library.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state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library, preliminary studies, domestic and overseas case studies, and user &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udy suggested future directions to secure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library, and development plans for collection, service, and human resources by museum library, and also to increase the role of library in museum and to improve users' awar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