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가 재난

Search Result 65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mprovement Direction on the Assignment of Safety Managers in the Construction Site (건설현장 안전관리자 선임기준의 개선방향 연구)

  • Lee, Ji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19-22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 대비 현장훈련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미국, 일본의 재난대응훈련의 특징은 우리나라와 같이 평가지표 틀에 맞춘 시나리오를 개발하지 않고 있으며 시나리오 구성도 세분화하지 않고 단지 상황 설정과 대응 메시지, 돌발 메시지 등으로 위기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산업 현장용 재난대비 훈련시스템 개발 및 구축은 국가안전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국가 차원의 종합 재난대응 및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수의 정보화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재난 정보를 활용한 사전 예방, 신속한 상황 전파, 정보 공동 활용 및 대응 미진에 대한 종합적 진단이 필요하다.

  • PDF

비상통신 해외사례 및 구축동향

  • 김상완;이준경;이경호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3 no.2
    • /
    • pp.23-40
    • /
    • 2006
  • 재난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예측 불가능하게 발생되고 있다. 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네트워크는 모든 경제활동의 근간이 되어 있으며, 재난이 발생하면 재난복구 및 구난 활동 등에 통신기능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진다. 특히 통신 장애를 일으키는 통신재난이 발생하면 그 파급효과는 빠르고, 넓게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다. 국내.외적으로 국가 주요 활동의 정보통신의 의존도가 증가하고, 정보통신 기반의 복잡도와 개방성이 증가하여 위협 및 취약성이 증대하며, 정보전(cyber warfare)의 공격 위협이 증대하는데 비교하여, 통신 부문의 민영화에 따라 공공 부문 보호 영역이던 통신 부문이 민간 부문으로 확대되어 다양한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통신 네트워크와 서비스를 정보통신 시스템과 서비스에 대한 독립적인 보호와 보안이라는 차원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 국가주요 기반 구조에 대한 보호와 위협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 " 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및 비상대비 통신 전담기구인 NCS(National Communication System)와 대통령자문위원회인 NSTAC(National Security Telecommunication Advisory)등 종전부터 있던 통신 재난 및 비상 통신 관련 기구에서 진행해오던 통신 재난 및 비상 통신 관련 기구에서 진행해오던 통신 재난 및 비상 통신 관련 업무를 9-11 사태를 경험하면서 신설된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에서 총괄하도록 하고 있다. 캐나다의 경우는 MSAT(Mobile Satellite Services) Emergency Telecommunication Network을 통한 긴급통신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일본의 경우 우정성(현재는 총무성에 통합) 산하 비상통신협의회를 구성하여 비상통신에 관련한 협의와 점검을 추진하며 방재용 무선 시스템을 구축 운용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은 비상통신과 관련하여 수행하고 있는 국외 비상통신 관련표준화 현황 및 해외 주요국가 별 구축 동향에 대해서 기술한다.

A Study on National Response Strategies of Large-scale Marine Disaster (대규모 해양재난의 국가적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 Lee, Choon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5
    • /
    • pp.550-559
    • /
    • 2019
  • The sinking of the M/V SEWOL in April 2014 was not a mere marine accident, but a marine catastrophe. This grim case developed into a social tragedy that impinged the national sentiment and communal integrity. It is imperative that thorough provisions and measures be outlined at the national level with regard to massive marine accidents, oil pollution, and natural disasters that might critically affect government affairs. Pivoting on "The Black Swan Theory," a concept of improperly rationalizing a national crisis based on uncertainties, this research assesses a variety of response strategies that minimize the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amage caused by a large-scale marine disaster. Along with the effort of minimizing any potential defects in each protective barrier, the "Black Swan Detection System of the Marine Disaster" needs to be incorporated to prevent cases wherein such defects lead to an actual crisis. Maritime safety must be systematically unified under a supervisory organization, and a structure for maritime crisis on-scene command and cooperation must likewise be established in order that every force on the scene of a marine disaster may act effectively and consistently under the direction of an on-scene commander.

Development of the Disaster Medical Manual in Korea (국가재난의료매뉴얼의 개발)

  • Wang, Soon-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9 no.1
    • /
    • pp.39-45
    • /
    • 2016
  • The disasters in Korea, such as the Sewol Ferry Ship sinking disaster has had problems related to the medical response system, with the problems of emergency medical support team in the site, the coopera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fire department officer at disaster site, field medical support and hospital acceptance of the wounded in trouble, the lack of specific systematic medical response manual. Therefore, from May 2014, when the disaster emergency information center in Central Emergency Medical Center starts, collection, modification and education of scattered preexisting disaster emergency medical manual had appeared as important issues. So, it was necessary to develop the early medical response system to disaster. The correction planning of disaster emergency medical response system by Central Emergency Medical Center included quick response system with the fast medical team operation, but the practical application was not enough. So the researcher and his team developed the first Korean disaster emergency medical response manual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was documented and arranged with the application by education and training.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for the Disaster Management (재난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 정보기술 활성화 방안)

  • Chae, Jin;Song, Yong-S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6
    • /
    • pp.24-31
    • /
    • 2009
  • The Environment of disaster has more complicated, diversified and unpredicted sides, which causes extensive damage to humankind. Above all, presently the climatic change causes worldwide disaster of nature like cataclysm, intense heat, drought, earthquake and hard winter. After 9.11, most of countries continuously try to protect their own compatriots' life and property which forms the social safety net as well.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urrent system used by the firerenation which is the national disaster response agency.ict also suggests the unation whiih is the nasystem unationdisaster mthe nasys accundihg to tionld el of disaster like the constructe naof DB, disaster cycld repunt, analysis of danger, facilities ih is ation system, disaster media system, location search system, disaster damage collection system.

The Great Earthquake Disaster in East Japan and Establishment of Temporary Disaster Broadcasting Network (동일본 대진재(大震災)와 임시(臨時)재난방송국의 개설)

  • Lee,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310-312
    • /
    • 2013
  • 국가 긴급사태 발생시에는 긴급재난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임시재해방송국을 개설할 수 있다. 그러나 국가긴급사태발생 시에는, 시정촌의 기초단체장들에게는 전기나 전화, 휴대폰 등의 연락회선이 두절되어 정보전달 수단이 한정되게 된다. 특히 라디오나 텔레비전 시청도 곤란한 상황에서 재난정보전달체계는 어려운 환경에 처하게 된다. 따라서 재난발생 초기에 임시재난방송국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고, 피재지나 피난소에서 얻은 피난정보나 라이프라인정보, 지원물자 배포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동일본 대진재 시의 임시재난방송의 개설 및 운영 등에 관한 임시재난방송국의 운영사례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