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가 및 지역 혁신체제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Evolution of the Systems of Innovation Approach: A Review of the Main Issues (혁신체제론의 진화 및 주요 논점)

  • Ku, Young-Woo;Cho, Sung-Bok;Min, Wan-Kee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5 no.2
    • /
    • pp.225-241
    • /
    • 2012
  • This paper examines the evolution of the systems of innovation approach and its main issues. At first,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have appeared on the purpose to substitute the neoclassical macroeconomic policies. But various criticisms have been raised because of the restriction within national boundary of analysis, the lack of dynamic analysis, the danger of institutional determination, the deficiency of theoretical accuracy in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Technological systems, regional systems of innovation, sectoral systems of innovation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criticisms about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Nevertheless the unsettled questions in the systems of innovation approach remain. The academic and policy-making usefulness of the systems of innovation approach will be expanded by development of the complementary researches within approach.

  • PDF

Analysis on ICT Industry and Innovation Value Chain of Daegu and Gyeongbuk Region (대구경북권 ICT산업 현황 및 지역 혁신가치사슬 분석)

  • Kim, J.S.;Min, S.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2
    • /
    • pp.71-79
    • /
    • 2017
  • 지역경제의 성장과 혁신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추적인 요인이다. 본 연구는 ICT산업인프라가 집적된 대구 및 경북지역의 ICT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혁신가치사슬 개념을 적용하여 지역혁신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도구를 제시하였다. 지역혁신가치사슬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혁신역량을 평가하는 도구로, 지역혁신체제의 인적, 물적, 제도적 인프라와 자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지역단위의 혁신역량 분석은 지역 내의 혁신자원의 수준을 파악하고 혁신프로세스를 평가하는 데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역혁신역량에 관한 연구들이 혁신의 투입과 산출단계에 중점을 두고 있어, 본고에서는 전환단계를 포함한 혁신프로세스에 대한 통합적인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지역 혁신가치사슬은 다른 지역 및 국가 단위 혁신체제에도 일반화하여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nhanc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Potential: The Dimension of Firm Practices (지역혁신체제 잠재성 향상의 조건: 기업의 혁신활동을 중심으로)

  • Jong Ho Le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1
    • /
    • pp.61-77
    • /
    • 2003
  • Finns are central economic agent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systems of innovation as they take responsibility for generating and diffusing knowledge in both organizational and societal context. They must be considered as learning organizations which interact with other finns and institutions that share their environment. The systems of innovation literature accentuates institutional conditions that influence innovation in sectoral, regional or national levels. Meanwhile, it tends to ignore the complex dimensions of finn practices in relation to learning and innovation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what finns do for sustaining innovation and how they learn to innovate. This is not just critical to know individual finns innovativeness which depends on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s within and outside the organizational boundary but also to evaluate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potential. In short, it is important to see that finns would attempt to take advantage of distributed knowledge within and across the boundaries of the finn without sticking to particular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 argue that the more finns of a cluster attempt not only to combine localized sources of knowledge and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but also to become a learning organization, the more increased regional innovation system potentials can be.

  • PDF

창원 기계산업지구의 지역혁신체제

  • 이철우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41-244
    • /
    • 2003
  • 오늘날 경제의 세계화는 기술혁신 및 고도정보화를 동시에 수반하면서 기업간, 지역간, 국가간 경쟁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특히 세계화 과정에서 중앙정부의 역할은 축소한 반면, 지역(region)이 가진 역할과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됨과 동시에 경제활동의 주요단위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의 역할이 중시되는 것은 지역이 세계경쟁의 단위가 되었다는 것만이 아니고, 산업환경이 유연적 생산체제, 지식기반경제로의 변화로 지역의 의미와 기능이 종래와는 달라졌기 때문이다. (중략)

  • PDF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Chungnam Province of South Korea (충남 북부지역의 지역혁신역량과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 Kim, Byung-Keun;Om, Ki-Yong;Ryu, Heung-Yuel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2 no.1
    • /
    • pp.265-289
    • /
    • 2009
  • This research analyzed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activities of firms in Chungnam province of South Korea on the basis of a questionnaire survey of 64 regional manufacturing firms. The existence and level of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were measured by the perceptions of firms, a core actor i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research capabilities of academia, capabilities of R&D institutes,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industry, and governmental policy support were recognized as major capabilities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Regional proximity was also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firms‘ sourc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election of collaboration partners. Practical as well as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at the last part.

  • PDF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in Build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지역혁신체제 구축과 지방정부의 과제)

  • Lee, Chul-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1
    • /
    • pp.9-22
    • /
    • 2004
  •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build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 central government has recently decided to support the promotion of innovation capacities of local innovators and innovation networks among thor The central government forces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the council for regional innov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se goals. Meanwhile, there is no consensus about the way in which the council for regional innovations constitute and operate. I think it is the time for us to talk about this seriously. It is widely conceived that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still been hierarchical. Thus, they would be difficult to make the decision effectively on regional innovation and development initiatives. In this context, I suggest that the regional innovation promoting agency needs to take authorities to secure transparency and autonomy in planning, implementing, evaluating regional innovation initiatives. The local government no! ed to play a central role in establishing the agency. However, the local government should not try to intervene and control its operations.

  • PDF

지방과학기술정책의 추진현황 및 발전과제

  • Yun,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36
    • /
    • 2017
  •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국가전체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지역의 산업과 경제를 발전시키고 국가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지역경제 활성화의 주역인 중소 벤처기업을 육성하고, 지역산업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키며, 지역주민의 생활편의 향상을 위한 각종 지역개발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과학기술이 핵심적인 요소이자 중요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각 국가들은 1970년대 이후 지방의 과학기술을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한 지방과학기술정책을 지속적으로 수립하여 추진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방과학기술정책이 실질적으로 수립되고 추진된 것은 1990년대 초반 이후 과학기술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경제 관련 부처를 중심으로 지역과 연계한 각종 사업들을 추진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과학기술의 지방화 내지 과학기술 지방분권에 관한 논의와 정책적 노력은 1995년에 도입된 지방자치제도의 본격적인 시행과 함께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진전과 발전은 아직도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이는 과학기술의 연구개발과 진흥이라는 정책의 특성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할 수 있는 기반과 여건이 제도적인 측면에나 실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취약하였던데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글은 과학기술의 지방분권을 강화하여야 한다는 최근의 사회적 논의와 관련하여 지방과학기술정책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의 지방과학기술정책 추진현황 및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기반과 역량을 살펴보고, 앞으로 지방 스스로가 지역의 과학기술혁신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할 수 있는 역량과 기반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제도적 과제들을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 PDF

An Inquiry into the Triple Helix as a New Regional Innovation Model (새로운 지역혁신 모형으로서 트리플 힐릭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 Lee, Chul-Woo;Lee, Jong-Ho;Park, Kyung-So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3
    • /
    • pp.335-353
    • /
    • 2010
  • Following the emergence of a knowledge-based economy, the triple helix model has been recognized as a new - regional and national - innovation model. This model seeks to understand the innovation process that is centered upon the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interactions. The governance of the triple helix innovation system can be divided into three models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depth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interactions. In the context of evolution, the triple helix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following three processes of development; i) internal transformation of each helix, ii) impacts of one helix on another helix, and iii) horizontal interactions among three helices. In theory, the triple helix model can be covered as part of the innovation system perspective. Compared to the innovation system perspective, the triple helix model tends to pay, however, more attention to the incompleteness of innovation system and the role of university in the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 In view of regional innovation, the triple helix can be sustained when the triple helix spaces, including knowledge space, consensus space and innovation space, are created and the three triple helix spaces interact with one another.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triple helix model tends to make selectively use of only a single method between the qualitative method and the quantitative method, although both have shortcomings to reveal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Therefore, research on the triple helix is required to reconcile with two research methods, which are distinct but complementary in nature.

  • PDF

The Evaluation of Regional Innovation and Innovative Cluster Policies in Korea (참여정부 지역혁신 및 혁신클러스터 정책 추진의 평가와 과제)

  • Lee, Chul-W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4
    • /
    • pp.377-393
    • /
    • 2007
  •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and regional innovation have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ional agendas under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gives a central focus on realizing self-sustaining localization which is based on regional innovation. The core policy goal is to build competitive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innovative clusters in the regions of the country. In this vein,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present government's policies of regional innovation and innovative cluster. It needs to point out that the regional innovation and cluster policies show some critical problems. Firstly, the policy-making process is based on the top-down approach rather than the bottom-up one. Secondly,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in many cases, expose the redundancy of similar policies and a lack of linkages between similar policies. Thirdly, the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are too much social infrastructure building-centered, even though the basic principle of regional innovation policy should be based on building superstructure such as networking and social capital.

  • PDF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 혁신을 보는 다양한 시선

  • Song, Wi-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49-749
    • /
    • 2017
  • 최근 들어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는 국민생활연구사업, 그리고 혁신본부에서 기획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다부처 공동 기획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문제 해결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수월한 과학기술지식의 창출,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과는 목표와 추진체제가 다르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혁신과 과학기술을 결합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유형의 혁신활동이 등장하면서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각 논의들을 정리하고 향후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크게 3가지 분류로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보는 관점을 정리한다. 첫 번째는 전문가 중심의 관점(Innovation for people)이다. 이는 전문가가 분석과 논의를 통해 사회문제를 정의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접근이다. 많은 과학기술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틀로서 선형모델에 입각한 논의이다. 때문에 혁신의 선형모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피드백의 부족, 현장에 대한 이해 부족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두 번째는 시민사회 중심의 관점(Innovation by people)이다. 이는 현장의 문제 상황에 있는 시민들이 문제를 정의하고 혁신활동을 주도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 관점은 일반 시민을 과학기술혁신의 주체로 호명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참여시키면서 주류 과학기술의 미흡한 현장 지역 지향성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혁신의 논의가 지역에 한정되면서 규모 확대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장기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난점이 있다. 세 번째는 전문가와 시민의 협업 관점(Innovation with people)이다. 이는 시민성과 전문성의 결합을 통해 민주주의를 고양하고, 현장 지식과 전문 지식의 융합을 지향하는 접근이다. 또 리빙랩과 같은 추진 체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전문가와 시민사회의 협업을 지원하는 인프라와 지원체제가 부족하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관점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국지적 문제해결과 국가적 문제 해결의 연계, 실험의 중요성 강조, 전문가와 최종 사용자 및 시민의 실질적 협업을 위한 기반 구축, 시스템 전환 프레임의 도입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