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가표준

Search Result 3,32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TANDARDS OUTLOOK 국내 기술표준동향 - 우리 원천기술 국제표준 주도할 표준코디네이터 출범

  • 기술표준원
    • The Monthly Technology and Standards
    • /
    • s.110
    • /
    • pp.40-41
    • /
    • 2011
  • 표준 코디네이터는 관련 분야 국제기술 동향을 분석하여 표준 프레임워크와 중장기 표준 로드맵을 개발하고, 우리 원천기술의 효율적 국제표준화 추진과 새로운 시장 발굴을 위하여 기술별 국가별로 차별화된 전략적 표준화 협력계획 등을 포함은 '국제표준화전략'을 수립하게 된다.

  • PDF

STANDARDS PRISM(1) 표준의 창(窓) - 지구 시민의 공익 추구에 앞장설 ISO TMB 재진출

  • Jeong, Byeong-Gi
    • The Monthly Technology and Standards
    • /
    • s.117
    • /
    • pp.4-7
    • /
    • 2011
  • 우리나라가 국제표준화기구(ISO) 기술관리이사회(TMB)에 재진출했다. 3년 임기가 만료되는 선출직 다섯 자리를 놓고 열한 개 국가가 경합을 벌인 가운데, 중국, 브라질,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함께 이사국으로 선출된 것이다. ISO TMB 재진출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모든 국가와 국민들의 이익에 보탬이 되도록 기존 표준 선진국들의 표준화활동을 감시하고 견제하는 것이다.

  • PDF

Electric Power_Power Interview -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서광현 원장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27
    • /
    • pp.82-87
    • /
    • 2012
  • $\blacktriangle$국가표준과 기술, 산업의 전략적 연계를 통한 미래성장동력 확충 $\blacktriangle$고도 지식 경제사회로의 전환 $\blacktriangle$국민생활 속의 다양한 표준화 $\blacktriangle$일류의 국가표준체계와 안전기반 구축이 기술표준원의 비전이다. 이를 바탕으로 최적화된 정책을 만들기 위해 역량을 결집해나가고 있는 서광현 원장의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 PDF

표준규격에 대하여 2

  • 최평열
    • 전기의세계
    • /
    • v.10
    • /
    • pp.98-99
    • /
    • 1963
  • 오늘날 공업국가라 불이워지는 국가치고 표준규격이 없는 나라는 거의 없다. 이와같은 표준화사업을 맡고 있는 당표준국에서는 1962년도에 300종의 규격을 제정공포하였다. 이 중에서 전기부분이 58종이다. 이 규격을 우리는 어떻게 가장 적절하고 효과있게 이용하고 응용하여 국가산업발전에 이바지 할것인가\ulcorner 본 고에서는 먼저 공업표준화가 실현됨으로써 우리 상공업 발전에 끼칠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on Job Involvement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적용이 직무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 Lim, Sang-Ho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1 no.1
    • /
    • pp.13-18
    • /
    • 2016
  •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on job involvemen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significantly aff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beta}=.583$, p<.001) and Job Performanc(${\beta}=.366$, p<.01). Spcecifically, the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hiring process and developing ability significantly aff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p<.001), and the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developing ability significantly affected Job Performance(p<.05). This study proved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adopt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on job involvement.

국내 표준화 체계 현황

  • Choe, Yeong-Jin
    • Digital Contents
    • /
    • no.3 s.58
    • /
    • pp.32-35
    • /
    • 1998
  • 국내에서는 산업표준, 한국전산망표준, 한국전기통신표준, 한국정보통신표준 등이 각각 국가표준으로 제정돼있다. 그외 데이터베이스와 전자상거래 등의 표준화 제정작업은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 PDF

GLOBAL REPORT IEC TC 59/SC 59F/WG 5 회의 참관기 - 청소로봇, 국제표준화 출발선상에 서다 -2011년 6월 중국 Suzhou에서 3일간 열려

  • Im, Seong-Su
    • The Monthly Technology and Standards
    • /
    • s.115
    • /
    • pp.36-39
    • /
    • 2011
  • 지능형 로봇의 파일로 상품인 청소로봇은 이미 시장 진입단계로 접어들었다. 특히 청소로봇에 대한 성능평가 국제표준은 한국의 국가표준을 기초로 2012년 표준 제정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WG 5 회의에 IEC SC 59F/ WG 5 컨비너 자격으로 참가했던 지능형로봇 표준포럼 성능/안전성 분과위원장인 임성수 경희대학교 교수의 참관기를 싣는다.

  • PDF

Improve qualifications of broadcast communications jobs for the NCS utilization (NCS 활용을 위한 "방송통신직종"의 자격 개선)

  • Kim, YoungChul;Song, Young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92-93
    • /
    • 2015
  •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방송통신직종"의 직무분석과 "국가기술자격검정"의 자격시험제도에 관한 실행방안을 알아본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은 학벌 중심의 사회에서 능력 중심의 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방향에 따라 표준을 구성하였고, 표준에 기반 하여 학교교육 직업훈련 및 자격제도 개편을 하고자 시행되고 있다. 방송통신직종은 대분류가 정보통신이고, 중분류가 방송기술, 소분류가 방송제작기술, 방송플랫폼기술, 방송서비스로 분류되고 있다. 방송통신 직종의 각 세 분류 내에 능력단위를 보고 "국가기술자격검정"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무 능력단위의 수준을 검토함으로서 국가기술자격검정의 자격등급별로 타당성을 비교하였으나 능력단위 수준 및 능력단위의 내용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직업군을 자격검정으로 맞추지 못 할 것으로 판단이 되고, 자격제도의 올바른 시행을 위해서는 세부 항목을 검토하여 세분화하거나 자격검정을 새롭게 분류하여 제도화를 하거나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이 된다.

  • PDF

Development and It's Characteristics of AC Resistance Standards for Maintaining National Standard (국가표준 유지용 교류저항 표준기 개발 및 그 특성)

  • Kim, Han-Jun;Yu, Kwang-Min;Kang, Jeon-Hong;Han, Sang-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2055_2056
    • /
    • 2009
  • 국가표준을 유지하기위한 표준기급의 교류저항은 상품화된 것이 외국에서 한 종류 있으나 고정된 기름 항온조에서 유지를 해야 하고, 정전차폐가 어렵고, 교류에서 측정단자의 호환성이 어렵고 가격도 대단히 비싸다. 또한 저항체가 지지대 역할을 하는 원형 보빈에 감겨져있는 선으로 구성되어서 국제비교시나 혹은 이동교정시에 기계적인 구조의 변화로 저항 값에 영향을 받기가 쉽다.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한 교류저항 표준기가 개발이 되었다. 개발된 표준기는 저항체의 기계적 구조에 의한 변화를 막기 위해서 non-inductive 구조의 metal foil element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저항체에 개개의 항온조를 체택함으로서 온도의 안정성과 이동의 편리를 함께 만족되도록 하였다. 제작된 교류저항 표준기의 특성은 온도 안정도가 ${\pm}5$ mK/d, 저항값의 안정도가 ${\pm}0.01{\mu}{\Omega}/{\Omega}/d$, 1년간의 장기안정도가 $1{\mu}{\Omega}/{\Omega}$ 이하로 측정이 되었다. 개발된 교류저항 표준기는 교류저항분야 국가표준유지 및 소급에 사용이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