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가연구개발프로젝트(국가연구개발사업)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the Large Scale National R&D Policy: Continuity and Change of Institutions (대형국가연구개발사업 정책의 제도적 분석: 정책제도의 지속과 변화)

  • Yeom, Jae-Ho;Lee, Min-H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5 no.1
    • /
    • pp.129-162
    • /
    • 2012
  • This study analyzed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large scale national R&D policies in Korea. The analysis examined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policy institution. It dealt with G7 Project, 21C Frontier Project, and Next Generation Growth Engine Project as the major large scale national R&D policies in Korea. The theoretical approach of this study is to the continuity and change or evolution of policy instit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ew institutionalism.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it emphasized the analysis of the institutions in three different levels: macro, meso, and micro level. In the analysis, the research examined the idea of policy institution or policy goal, participants in the policy institution, and policy instruments in different levels. The outcome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policy of large scale national R&D in Korea has the institutional continuity in the macro level. In the meso level, however, the policy institution changes due to the administration change and the influence of political economic environment. In the micro level, the policy institution changes based on the symbolic influence of policy goal and the interest of bureaucrats. The research finds that the micro and meso level institutional changes cause the evolution of policy institutions and the major change of policy institution.

  • PDF

Understanding Business Model and R&D Project Selection (비즈니스 모델 지식이 연구개발 선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Lee, Jong-Won;Song, Kyeon-S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6
    • /
    • pp.401-411
    • /
    • 2013
  • Selection of profitabl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jects is one of the major factors affecting sustained growth of firms and countries. This paper analyze what influences the knowledge on the business model exerted on selection of a R&D project. A business model converts the technology value to the customer value, and comprehensively describes the target customers for commercializing a new technology, core values, behaviors within organizations, resources, and external partners. Thus, understanding a business model would make R&D project evaluators place the feasibility and profitability of the business above the merits of the proposed technology in evaluating the technology development. To verify this hypothesis, we had 78 R&D project evaluators acquire the knowledge on the business model and measured how their criteria for R&D project selection have changed using the AHP method. The results shows that feasibility and profitability are more important than the merit of proposed technology, especially capability of company and business development are more important than the levels of technology innovation.

Interview - Standardization of Design Drawings·Modular Building⋯ "The era of BIM? Already has come." (인터뷰 - 설계도면 표준화·모듈러 건축⋯ "BIM의 시대? 이미 왔다")

  • Lee, Yu-Ri
    • Korean Architects
    • /
    • s.615
    • /
    • pp.28-31
    • /
    • 2020
  • 도입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측됐던 건설정보모델링(BIM :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이 어느새 성큼 다양한 분야에 진입했다. 영국, 싱가포르, 미국 등 해외에서는 이미 공공사업 시 BIM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2018년 국토교통부에서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마련한 후 공공사업에 BIM을 단계적으로 도입해왔다. 대부분의 발주기관들은 오는 2025년까지 공공사업에 BIM을 전면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및 미래도시융합공학과 교수이자 국제건설자동화학회의 종신 상임이사인 권순욱 교수는 '스마트 건설 관리' 연구자이자 국내외에서 활동 중인 CM, BIM의 권위자다. 관련 분야의 책 8권과 100편 이상의 논문을 집필하고 30여 개의 특허·소프트웨어 등록을 보유하고 있다.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 토목공학 박사 출신으로, 삼성물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일반 기업과 국가기관에서 실무와 이론을 두루 경험하며 경력을 쌓았다. 건설연구개발사업, 첨단 융복합 건설기술 등 다수의 국가 건설 R&D에 참여해 초고층 자재, 안전 모니터링, BIM 프로세스 표준개발 등의 시스템을 개발하기도 했다. 해외 연구자들과의 교류에도 적극적이다. 세계 석학들과 '노령 공학' 관련 영문교과서를 공동 집필(스마트주택 챕터 담당)했고, 2016년과 2019년엔 국제건설자동화학회와 국제프로젝트관리학회의 연사 자격으로 강단에 섰다. "영국, 싱가포르 등에선 공공사업을 100% BIM으로 발주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 정부도 비슷한 길을 가고 있습니다. 일정 규모의 발주 물량이 안정적으로 나오는 공공기관에서 그렇게 한다는 것은 국가가 전체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의지 아닐까요?" 6월 10일 그의 연구실에서 권순욱 교수를 만나 BIM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들어봤다.

  • PDF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search Management System focused on applying the detailed RFP (연구관리시스템의 개발 사례연구 - 상세 RFP 적용을 중심으로)

  • Hong, Jihoon;Hwang, HyoJeong;Kim, Dae Ho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6 no.12
    • /
    • pp.513-522
    • /
    • 2016
  • The importance of the national reseach and development project has been increased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for overcoming the world economic recession and responding the threatens of the global competitiveness. As the budgets are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tasks is enormous, the government often requests high-level audits and data for the transparent management of research expenses. As a result, the researchers who have to concentrate on the original research work spend much time in administrative processing, government audit, and responding to the demand data than the time to concentrate on the research work.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have a system that can integrally manage R & D projects from a company-wide point of view in order for researchers to work efficiently and concentrate on the original research. Korean government has increased the investment for the national R&D, and therefore the size of R&D projects has become more larger.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a standardized management process and system establishment directio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and to study the success factor of system establishment for the successful execution of project and the project management plan by the case study.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Stage-Gate Process for Performance Management in National R&D Projects -Focused on the National Strategic Smart City Program-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 관리를 위한 Stage-Gate 프로세스 도입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Lim, Se-Mi;Kim, Seong-Si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1
    • /
    • pp.226-232
    • /
    • 2020
  • The Stage-Gate is a market-oriented model that aims to launch new products on the market. Therefore, it can be appropriately introduced and applied to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NSSCP, which is undergoing demonstration projects for Daegu and Siheung. In addition, smart citi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and complex among various innovative technologies. When the Stage-Gate is introduced, the performance can be managed centering on the outcomes for each research institution. Therefore, the NSSCP is applying the Stage-Gate for the first time among national R&D projec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earch results and to demonstrate and commercialize them successfully. This paper reviews the operation results of the 1st and 2nd years when the State-Gate was introduced and analyzes the opinions of an R&D management agency, research institutes, and gate reviewers to present the supplementary and improvements for applying to the evaluation process for the next year. When operating the Stage-Gate by optimizing the situation for each project and being wary of inefficiencies caused by the rigid operation, it is expected that flexible evaluation for each outcome will be possible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smart cities.

Predicting Project Performance by Analyzing Key Success Factors on Project Fiancing(PF) Development (건설 프로젝트 파이낸스(PF) 사업의 성공영향요인(KSF) 분석을 통한 사업성과 예측 모델)

  • Lee, Dong-Gun;Cha, Hee-Su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5 no.5
    • /
    • pp.127-137
    • /
    • 2014
  • Project Financing (PF) development project is the type which influences national economy and building industry largely because it is exerted by using borrowed money from many kinds of investors and huge amount of financial raising. Many domestic PF projects are focused mainly on the profit maximization lacking in a sufficient feasibility study. Nowadays many projects are suspending due to the global finance debacle and stagnation of real estate industry. Therefore, in this paper, risk factors of PF project are deducted and Key Success Factors (KSFs) are derived through Factor-Analysis and qualified using Fuzzy-AHP method. An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derived success factors in real projects, a strong correlationship has been identified between the score of each PF success factor and the level of success and/or expected rate of return (ROR). So, the result of this paper can help decision makers of the PF projects make a better decision and give a meaningful guidance in achieving successful PF projects.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한 연구개발 정책혁신 과정 분석 : 국가전략프로젝트에 대한 예산심의·의결을 중심으로

  • Kim, Ju-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515-534
    • /
    • 2017
  • 본 연구는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MSF: Multiple Stream Framework)을 통하여 정부연구개발예산 중 미래성장동력 부문에 대한 예산결정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대통령 의지로 의제가 발기된 정책의제 국가전략프로젝트이며 비합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견제수단으로 활용되는 예비타당성조사가 예산의 결정단계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의의는 3개 흐름에서 행해지는 비합리적 의사결정 케이스를 확인하고, 정부 R&D 사업의 예산결정과정에서 온-오프 스위치 역할을 하고 있는 게이트 키퍼(gate keeper)인 사업 평가자(PM), 구체적 사업계획안을 만드는 부처의 사업기획자, 그리고 자문역할을 하는 전문가집단을 정책혁신가로 바라볼 수 있다는 의의를 발견했다. 공공부문의 정책혁신가는 사업을 기획한 부처와 같이 자기(부처)이익을 추구하지는 않지만 공공가치를 추구하는 독립적인 위치에 있었고, 어느 일면에는 과학기술분야의 성장과 발전을 바라고 있었다. 다시 말해, 연구는 정책혁신가라는 존재가 특정한 개인 또는 집단일 뿐만 아니라 2개 집단 이상의 복수의 정책혁신가가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예비타당성조사에서 PM이 흐름 간의 중개를 상향적 직접적으로 수행하지 않지만, 하향적으로 사업기획자 등 주체들 간 의견을 조정하고 합의를 이끌어 내는 모습은 중요 활동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는 정책혁신가의 새로운 형태를 발견하였지만, 정책결정의 전 주기가 아닌 정부예산 이후 국회예산이라는 특정 시기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분석 과정에서 예산과 시간의 제약으로 사업기획을 담당했던 부처 및 기재부공무원, 해당기술 분야 연구자, 국회 관계자 등 관련 주체들의 견해를 고루 담아내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향후 다양한 참여자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다면 정책 결정 과정에 정책혁신가의 다층적(Multiple) 존재 여부와 특성을 면밀히 들여다 볼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Role and Directions of Korean Urban Development Cooperation: A Review of Colombian Planning Systems and Case Studies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콜롬비아 도시계획 제도와 도시개발사업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도시개발 협력 역할과 과제)

  • Choi, Junyou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2 no.4
    • /
    • pp.15-30
    • /
    • 2021
  • Korean urban development cooperation is gradually expanding into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LAC) region, but strategies to encourage domestic market players to participate are insufficien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lombian urban planning system, urban development projects, and Korean projects in Colombia, which leads to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LAC. This research, first, compares the national and regional urban planning systems of Colombian major cities, Bogotá and Medellín. Second, case studies are carried out with a land readjustment project, a Macro project for large-scale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and urban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olombia. By doing so, the role and the directions for Korean urban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LAC such as Colombia are discussed and proposed. The findings suggest, first, aid projects throug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should establish urban networks in recipient countr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inancing structure for urban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hat are different from infrastructure projects. Third, the successful case of urban development cooperation should be demonstrated by making the development period and size optimal and manageable.

The Concept and Technologies of Intelligent Vehicle (지능형자동차 개요)

  • Sunwoo, Myoung-Ho;Jung, Do-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27 no.6
    • /
    • pp.30-33
    • /
    • 2005
  • 10년 후, 미래의 자동차는 더 이상 단순한 운송수단이 아닌 우리의 삶을 윤택하고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일상의 공간(업무 휴식 정보)으로 진화 발전할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 패러다임 변화의 중심에는 지능형자동차 기술이 자리하고 있다. 지능형자동차 기술은 자동차산업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차원에서도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미래형자동차는 안전성 편의성 향상이라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시장의 확대를 희망하는 기업의 요구가 잘 맞물려 있기 때문에 향후 기술개발에 대한 예산 확충 및 지원 확대가 절실히 필요하다. 지난 1990년대부터 지능형자동차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일본, 미국, 유럽 등 자동차선진국은 최근 각종 신기술을 개발해 시장에 내놓고 있다. 자동차 10대 강국 중하나인 한국은 21세기 세계 자동차시장 선점과 오는 2010년 세계 3위의 기술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지난 2003년에 미래형자동차를 국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인 '미래형자동차사업'을 출범시켰으며, 국내 자동차업계는 물론 대학 및 연구소 등과 연계하여 '지능형자동차' 등 3분야의 관련 핵심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능형자동차 기술개발'이라는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IT기술과 자동차와의 융합기술 개발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나라가 세계에 IT강국으로서 명성을 널리 자랑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능형 자동차의 미래는 밝다고 할 수 있지만, 관련 분야의 인적자원 네트워크 구축이 보다 탄탄하게 다져지지 않는다면 이는 그저 '빛 좋은 개살구'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끝으로 국내에서 진행되는 ITS 관련 프로젝트와 지능형자동차 개발 연구과제의 유기적 연계와 효율적 추진, 지능형 자동차 시험 평가방법 표준화, 국제 기술 표준화 및 안전규제에 적극 대응, 지능형자동차 신규제품 및 서비스의 도입을 위한 제도개선 및 정비 등에, 정부와 산 학 연이 지혜를 모아 중점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행동으로 옮길 때 우리의 지능형 자동차 미래는 밝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