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가보존도서관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7초

공공도서관협력망을 이용한 공동보존도서관 및 국가보존도서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Repository Library and Repository Library by Using of Public Library Cooperative Network)

  • 강현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9-53
    • /
    • 2006
  • 오늘날 급속한 인쇄출판물의 증가에 따라 도서관계는 심각한 장서의 소장공간 부족문제를 겪고 있다. 문제해결방안 도출을 위해 먼저 해외 주요국의 자료공동보존 실태를 소개하구 국내사례로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보존관과 국립디지털 도서관의 자료보존서고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발행한 "공공도서관협력망 운영실태 자료집 2005"를 기초로 하여 국내 공공도서관간 자료보존 협력 및 운영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고는 도서관계의 소장공간 부족문제 해결방안으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앙관으로 하고 487개 공공도서관이 참여하는 $\lceil$공공도서관협력만$\rfloor$ 활용하여 공동보존도서관 및 국가보존도서관 설립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국립중앙도서관 외국자료 개발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Foreign Materials Development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 배경재;김신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67-188
    • /
    • 2021
  • 국가도서관은 한 국가의 지식문화유산인 국가장서를 집중적으로 개발·보존하고 제공해야할 책무가 있다. 특히 국립중앙도서관의 사명을 완수하기 위한 4대 목표 가운데 '국가지식자원 접근·보존 기반 고도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외연적 범위를 국내자료뿐 아니라 외국자료로도 확대하여 국가지식자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즉, 국내에서 생산되는 최신자료와 소급자료를 최대한 수집·제공·보존하는 기능은 물론이며 외국에서 생산·유통·보존되고 있는 고품질 학술자료 및 한국과 관련된 자료를 가능한 한 많이 수집하여 국가지식정보센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선진국 국가도서관의 외국자료 수집 및 서비스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의 외국장서 수집수준을 비교·평가한 다음 고품질 학술자료 및 한국 관련 외국자료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국가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ulation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a National Library)

  • 윤희윤;장덕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7-122
    • /
    • 2010
  • 국가도서관은 한 국가의 지식문화유산인 국가장서를 집중적으로 개발 보존하고 제공해야 할 책무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적 책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서의 정체성과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장서의 개발 관리를 위한 장서개발정책의 수립이 필수적이다. 이를 근거로 이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기본적 원칙과 지침을 설정하고 유형별, 매체별, 주제별 장서개발을 위한 지침을 요체로 하는 최적의 정책모형을 제안하였다. 그 기본방향은 모든 관종을 대표하는 국립도서관, 국내의 모든 정보자료를 제출받는 납본도서관, 한국인의 정신세계와 지식문화를 축적 전수하는 보존도서관, 인터넷 정보유통을 선도하는 게이트웨이로서의 정체성과 역할로 설정하였으며, 주요 국가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을 분석하여 구성체계, 구조적 및 내용적 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근거로 선택적으로 벤치마킹하되 변용하였다. 결과로 서문, 장서개발의 대상, 주체, 방법, 장서개발의 우선순위와 기본원칙, 장서개발 기본지침, 주제별 집서수준 지침, 보존관리 및 제적 폐기 지침, 협동장서개발 전략, 장서개발정책(CDP)의 관리주체 및 개정주기로 구성된 국가도서관 장서개발정책 모형을 제시하였다.

디지털자료의 납본과 보존을 위한 각 국가의 노력 (Legal Deposit and Preservation of Digital Materials in Various Countries)

  • 서혜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3-399
    • /
    • 2003
  • 법정 납본 제도는 국가문헌의 망라적 수집과 보존이라는 국가도서관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 도구이다. 최근 급증하는 디지털자료의 특성으로 인해 인쇄자료에 기반을 둔 납본법을 개정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여러 나라 납본제도의 디지털자료 관련 최근 동향을 조사하였다.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설립을 앞두고 디지털자료의 수집을 위한 법정 납본 제도의 확대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전략을 제안하였다.

국가대표도서관의 구술 컬렉션 핵심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Key Factors of the Oral Collection in National Representative Library)

  • 정연경;이재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53-77
    • /
    • 2020
  • 본 연구는 외국의 국가대표도서관 구술 컬렉션의 현황을 분석하여 한국의 국가대표도서관에서 구술 컬렉션을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미의회도서관과 영국국립도서관, 호주국립도서관에서는 구술자료를 국가적으로 전승시켜야 할 국가지식유산으로 간주하여 일찍부터 관련 센터나 부서를 설치하고 모든 역량을 집중시켜 구술 컬렉션을 대표적인 컬렉션 중의 하나로 수집, 활용, 보존하고 있다. 이들 국가대표도서관의 구술 컬렉션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구술 컬렉션이 전무한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구술 컬렉션을 처음 시작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를 법령, 조직, 수집 정책, 서비스, 컬렉션, 교육 및 협업, 기금 및 후원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국가도서관의 포지셔닝에 의한 하이브리드 자원 개발 (Hybrid Resources Development by Positioning of National Libraries)

  • 김지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5-58
    • /
    • 2009
  • 지식기반사회와 디지털환경의 도래로 도서관 특히 국가도서관이 변화하고 있으며, 도서관의 핵심인 장서개발에 대한 새로운 개념, 과정 및 도구가 변화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국가도서관에서 지속가능한 자원의 수집과 보존을 보장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자원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국가도서관과 장서개발의 변화를 살펴보고, 표준에서 제시된 성과지표, 정의, 목적 및 사명을 통한 국가도서관의 포지셔닝에 의거하여 국가 장서의 범위를 고찰하였다. 또한 도서관 관련법을 통해 디지털자원의 납본방법을 제시하고, 국가도서관에서 하이브리드 장서개발체계와 함께 온라인 디지털 자원의 아카이빙 방법을 고찰하였다.

공공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 분석 (Feasibility Analysis of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5-26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계법령, 국가정책, 도서관계의 인식도, 실제 수장공간의 측면에서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은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모형이 조속히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 광역시도는 공동보존서고 건립에 문화정책의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주요 선진국의 국가도서관시스템 분석 (An Analysis of National Library System of the Major Advanced Countries)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5-31
    • /
    • 2006
  • 이 연구는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이라는 시대적 조류에 편승하여 현재의 '완전 집중형' 국가도서관시스템을 '집중-분산형'으로 재편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과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주요 문화선진국인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을 벤치마킹의 대상으로 삼아 각각의 분산형 국가도서관시스템 구성을 정밀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서는 국가도서관 지역분관 건립을 위한 중장기 기본계획(기본모형, 운영체계 및 역할분담 모형, 자료보존센터 모형 등)을 제시할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 자료보존 환경분석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Environment Analysis for the Preserv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Collections)

  • 한상완;김성수;서혜란;윤대현;김희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7-95
    • /
    • 2002
  •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보존을 위한 이상적인 환경을 연구하고 제안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료보존을 위한 현 상황을 조사하였으며,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을 도출하였다. 이에는 자료보존을 위한 기술적인 방안들뿐만 아니라, 인력과 조직의 재구성, 정책제안 등도 함께 포함된다. 나아가, 새로운 국가도서관으로서의 역할 및 기능을 담당할 수 있도록 이상적인 자료보존환경 제시를 목적으로 한 국립중앙도서관 자료보존 중 장기 발전계획도 함께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