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가공간정보기반

Search Result 41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Establishment of Service Cloud Based Expansion and Developing Plan for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확대발전방안 수립)

  • Youn, Jun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
    • /
    • pp.367-373
    • /
    • 2016
  •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started from 2008 and was completed at 2012, with the aim of co-utilizing public agencies'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by integrating and linking. Despite the existence of the NSDI, an update of spatial data is not fully reflected because the spatial information has not been updated simultaneously by NSDI and public agencies. By examining the public agencies' services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a national budget is wasted because the re-usable similar services are duplicated. These issues could be solved by adopting a cloud system, whose concept is co-utilizing IT resources, to the NSDI. This study examined the service cloud based expansion and development plan for NSDI. The plan included an implementation strategy for a spatial information service cloud system and an establishment plan for a governance system. The service scenarios, concept diagram, and service functions for the system were derived in a system implementation plan. For the service functions, the unit functions of two modules were proposed and specific functions were derived. In the establishment of a governance system, the business roles and business processes were defined for organizations managing service cloud based NSDI. The business role and process were defined and derived by each service life-cycle step. With the proposed system implementation plan, a detail system design and composition of the organization could be possible, and a service cloud-based NSDI system could be implemented.

Study on Construction of Transportation/Road Framework Data (교통/도로 기본지리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 Yoo, Hwan Hee;Kim, Eui Myoung;Kim, Sung Sam;Cho, Jung 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9 no.1 s.17
    • /
    • pp.27-38
    • /
    • 2001
  • The GIS construction project using the Digital Map has been progressed actively since the enforcement of NGIS project in 1995. But, the Digital Map actually can't use directly in building GIS because of many defects of the digital map such as geometric features errors(the overshoot/undershoot of line or the opening of polygon), non-topology etc. Many advanced countries in GIS has provided users Framework Data which is generated topology defined spatial relationships and used as a basic data of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definition and the scope of Framework Data as a basemap of the Nation Geospatial Information and studied for the management and construction of the Transportation/Road Framework Data which is a core and basic data among them.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for Water Hazard Information Services Platform (수재해 정보 플랫폼을 위한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방안 연구)

  • LEE, Jeong-Ju;CHAE, Hyo-Sok;HWANG, Eui-Ho;KIM, Do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39-639
    • /
    • 2015
  • 최근 지식정보 사회는 IT가 핵심 구성요소인 스마트 사회로 변모하고 있으며, 인간과 사물 간 의사소통에서 사물과 사물 간 의사소통까지 확장하고, IT간 융합에서 나아가 타 산업과 융합하는 지능형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공간'에 대한 정보는 '시간'과 함께 인간이 생활하는데 있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가장 근본적인 정보로써, 공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사람들과 소통을 하고 목적을 충족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현대 사회에서 공간정보는 중요한 인프라 가치를 증대시키므로 새로운 사회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재해 정보 플랫폼 구현에 앞서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키고 효용가치 증대가 가능하도록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방안 연구를 하고자 한다. 공간정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형태 및 생산?활용방법이 달라졌으나 항상 중요한 정보로 인식되어 왔으며, 미래 공간정보는 단순 콘텐츠 영역을 뛰어넘어 상황(Context)정보까지 범위를 확장하였다. (1)미국의 공간정보는 시설, 기록관리 및 지도와 같은 공공분야에서 현재는 업무통합관리, 의사결정지원 등에서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로서의 역할 담당한다. (2)일본은 아시아 최고의 원천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높은 수준의 GIS, RS(위성항측), ITS(지능형 교통 시스템)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3)영국은 지리정보시스템과 공공서비스를 접목하여 시민의 요구에 부응하는 고객맞춤형서비스 제공을 국가정보화의 우선과제로 선정하고 있다. (4)우리나라는 초고속통신망과 모바일 기술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어, 이러한 인프라 기반융 복합 공간정보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안정적인 기반을 확보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공간정보서비스의 패러다임 변화 및 추진 동향 등을 제시하였으며, 수재해정보 플랫폼 활용에 능동적 적극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공간정보서비스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강화, 수재해 정보 서비스의 효율성 증진, 재해부문 선진화 측면에서 발전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각종 현안에 대한 미래 예측 및 대응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T 보안 평가 스킴에 관한 고찰

  • 서대희;이덕규;이임영;나학연
    • Review of KIISC
    • /
    • v.12 no.6
    • /
    • pp.68-80
    • /
    • 2002
  • 세계 각국에서는 산업 및 정보의 의존성에 의해 전세계의 모든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으며, 사이버 공간 그 자체가 정치, 경제사회, 문화 등의 기본적인 생활 공간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보호하지 않을 경우 안정된 정보사회 구축은 불가능하다. 특히, 정보보호의 대상이 특정 국가적인 정보 보안에 국한되지 않고 기업 및 사회의 정보등으로 확대되고 있어, 국가적으로 국가 안보 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보보호를 위한 새로운 제도와 조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고에서는 정보보호 제품을 평가하기 위해 단일화된 국가 평가 기준을 기반으로한 국외 평가 스킴 중에서 미국의 평가 스킴을 예로 들어 그에 대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된 내용은 국내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위한 국내 평가 스킴 개발을 위한 바람직한 추진 방향과 향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한다

GIScience Studies and Policies in Korea: Focus on Web GIS and National GIS (한국의 지리정보학과 지리정보 정책: Web GIS와 국가 GIS를 중심으로)

  • Ku, Cha-Yong;Hwang, Chul-Sue;Choi, Jin-Mu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4
    • /
    • pp.592-605
    • /
    • 2012
  • This article reviewed issues in Korean geographical journals: web GIS and National GIS. Web GIS in Korea is now evolving to mobile GIS, which requires portable hardware, wireless Internet, and GPS receiver. The new trend of mobile GIS is using a smart phone. Recently, a variety of studies for the mobile App and mobile Web in Korea has been developed. With explosive information on the Web 2.0, the Korean government has built the Human-Orien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OGIS) in which Ontology was implemented for semantic query on the Web. On the government side, Korean government has produced various nationwide data through 4-phase NGIS project. Current NGIS ($4^{th}$ phase: 2011-2015) moves toward a Korean Green Geospatial Society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as a new growth engine for the future.

  • PDF

A study for Comparison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Distribution Models (지리정보 유통모형 비교분석 연구)

  • Shin, Dong-Bin;Jeong, Jin-Seo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75-379
    • /
    • 2007
  • 정부는 지난 몇 년간 국가GIS사업을 비롯해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한 각종 GIS사업을 통해 구축된 지리정보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자 국가지리정보유통체계 구축사업을 추진해 왔다. 지리정보유통망과 같은 정보 유통체계는 유통 상품이 물류배송이 아닌 인터넷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유통흐름을 가지고 있어 유통의 주체, 객체, 수단, 환경 등 제반 요소의 변화에 따라 유통모형을 달리 적용할 필요가 있다. 국가지리정보유통체계 구축사업에 적용된 유통모형은 크게 중앙집중형, 지방분산형,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각각의 모형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현황과 정보화 환경을 고려하여 초기 단일 유통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중앙집중형에서 점차 지역별 통합관리소가 운영되는 지방분산형으로 전환되었고, 근래에는 중앙집중형과 지방분산형이 통합된 혼합형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적용된 유통모형을 정립하고 이에 대한 장 단점을 도출하여 향후 발전해 나아갈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유통모형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이는 정보 유통을 고려하는 사업의 참고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보다 성공적인 유통시장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복합 기능을 갖는 정보보호 제품의 보호 프로파일 개발을 위한 평가 방법론 고찰

  • 서대희;이임영;정지훈;채수영
    • Review of KIISC
    • /
    • v.14 no.1
    • /
    • pp.107-122
    • /
    • 2004
  • 세계 각 국은 산업 및 정보의 의존성에 의해 모든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시대로 변모하였으며, 사이버 공간 그 자체가 정치, 경제사회, 문화 등의 기본적인 생활 공간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사이버 공간을 보호하지 않을 경우 안정된 정보사회 구축은 불가능하다. 특히, 정보보호의 대상이 특정 국가적인 정보 보안에 국한되지 않고 기업 및 사회의 정보 등으로 확대되고 있어, 국가적으로 국가 안보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보보호를 위한 새로운 제도와 조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복합 기능을 갖는 정보보호 제품의 보호 프로파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로 요구되는 대체 평가 방법론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한다. 특히 북미를 중심으로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는 CEM을 기준으로,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의 적합성 표준으로 추진 중에 있는 SCT와 ISO/IEC에서 제시되고 있는 적합성 테스트 방법론인 ISO/IEC 9496 및 보증 프레임워크인 ISO/IEC 15443에 대한 자체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고 자각의 평가 방법론간의 상호 연관성과 비교 분석을 통해 복합 기능을 갖는 정보보호 제품의 보호 프로파일 개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Visualization Tool Using the Open BIM based IFC Model (개방형 BIM 기반 IFC 모델을 이용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 Ryu, Jung Rim;Mun, Son Ki;Choo, Seung Yeo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5
    • /
    • pp.41-52
    • /
    • 2015
  • MOLIT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uthoriz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in 2013. It became a legal evidence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Although it has a little advantage to utilize as service level tha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laser scan or measurement, it has a lot of problems such as consuming many resources, requiring additional progresses for inputting Object Information. In conclusion, it is inefficient to utilize for the maintenance and domestic AEC/FM fie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operating IFC model which based on open BIM and to improve availability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with data visualization. The open-sources of IFC Exporter, a inner program of Revit (Autodesk Inc), is used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Directs 3D Library is also operated to visualize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ter-operate between XML format and the object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 as well. For example COBie linkage in facility management, construction of geo-database using air-photogrammetry of UAV (Unmaned Areal Vehicle),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military operations and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evacuation. The method that is purposed in this study has outstanding advantages such as conformance with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high level of interoperability as indoor spatial information objects based on IFC, convenience of editing information, light level of data and simplifying progress of producing information.

A Study on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Spatial Information for Expansion into An Emerging Market -Focused on the Cases of Asian Developing Countries- (신흥시장 진출을 위한 한국 공간정보의 글로벌화 전략 연구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Kim, Kir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5
    • /
    • pp.21-30
    • /
    • 2015
  • Korean government has promoted the projects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since 1995 and the utilization level of Korean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based on them has also developed. However, due to the limit to domestic market size and the legal regulation on prohibition of large sized companies' expansion into domestic spatial information markets, Korean spatial information markets are tied up in term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To overcome those problems and evade the domestic red oceans, it is necessary to find new one in overseas' blue ocean markets. It is estimated that overseas spatial information market will be grown to 125 billion-dollar size and the annual growth rate of it will be reached to 10.5% until 2015. Thus, Asian spatial information market has a huge growth potential and it is newly rising blue oceans for Korea. Advanced countries such as Finland, Germany, Sweden, and Japan have already expanded their market size into the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To step with advanced countries, it is time to set up the new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spatial information for expansion into newly industrializing mark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WOT of domestic spatial information, investigate the status on spatial information of Asian developing countries, and suggest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spatial information for expansion into them. The globalization strategy can be labelled as K-FBI composed of 4 domains such as Knowledge sharing platform, Frontier, Back to the basic, and Internalization. In near future, the establishment and performance of road map based on the strategy will be the milestone for Korean spatial information companies' advance into Asian developing countries.

A Study on Selecting Geospatial Framework Data Using Factor Analysis (요인분석을 이용한 기본공간정보 선정에 관한 연구)

  • Choe, Byong Nam;Lee, Ji Hun;Park, Jin Sik;Kang, In Gu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5
    • /
    • pp.53-64
    • /
    • 2015
  • Several countries have built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for information sharing among various field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NSDI is framework data,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geospatial data across various fields. Previous studies on the framework data suggest components based on frequency survey and case study. However, such research methods do not have objectivity in setting the components of the framework data. This research uses factor analysis with 104 medium-level layers from the most widely used National Base Map and 5 layers from the other sources including cadastre and aerial image. Each layer is scaled with usage level as four different patterns of 1) background data, 2) reference data, 3) base data, and 4) other data,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layers are grouped into 5 to 7 factors according to the patterns. ANOVA reveals that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with high values and the other factors with low values under each patter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uch high value factors under each pattern consist of similar layers, close to identical, with those under the other categories. This research proposes framework data system, including transportation, building, hydrography, elevation, administrative district, digital orthoimagery, geodetic control, and cadastra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oposed framework in this research will be a basis of establishing spatial data sharing system. For sharing proposed framework data in various fields, these data must be established and distributed as actual standard and also related future researches should be perfor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