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적 방향성 그래프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reating 3D Artificial Flowers using Structured Directed Graph and Interactive Genetic Algorithm (구조적 방향성 그래프와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3차원 꽃의 생성)

  • 민현정;조성배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3
    • /
    • pp.267-275
    • /
    • 2004
  • Directed graph and Lindenmayer system (L-system) are two major encoding methods of representation to develop creatures in application field of artificial life. It is difficult to define real morphology structurally using the L-systems which are a grammatical rewriting system because L-systems represent genotype as loops, procedure calls, variables, and parameters. This paper defines a class of representations called structured directed graph, which is identified by its ability to define structures of the genotype in the translation to the phenotype, and presents an example of creating 3D flowers using a directed graph which is proper method to represent real morphology, and interactive genetic algorithm which decodes the problem with human's emotional evalu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natural flower morphology can be generated by the proposed method.

Creating 3D Emergent Artificial Character Morphology Using Evolution Engine based on Artificial Life (인공생명 기반 진화엔진을 이용한 3차원의 창발적 인공 캐릭터 모양 생성)

  • 민현정;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3.09b
    • /
    • pp.41-44
    • /
    • 2003
  • 인공생명 기법의 대표적인 응용분야 중 하나인 창발적인 개체의 생성에서 유전자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크게 방향성 그래프와 L-system의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각기 좋은 특성이 있지만 L-system은 사용자에 의해 내부적인 파라메터로 정의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실제 모양을 구조적으로 정의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단점을 극복하고자 실제 모양을 표현하는데 적절한 구조적 방향성 그래프를 도입하여 개체의 유전자를 구조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실제 개체와 유사한 모양을 창발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클러스터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실제 모양의 캐릭터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하였다. 실험을 통해 2차원에서의 의자모양과 꽃 모양을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창발적인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 PDF

Link Analysis of Korean Web Graph (국내 웹 그래프의 링크 구조 분석)

  • Seo, Jung-Joo;Kim, Jin-Il;Kim, Eun-Sang;Kim, Daniel;Jeong, Ha-Woong;Kim, Sung-Ryul;Park, Ku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400-402
    • /
    • 2012
  • 웹을 구성하는 웹 페이지들과 페이지들 사이의 하이퍼링크들은 방향성을 지니는 그래프로써 표현될 수 있으며, 웹 그래프가 가지는 독자적인 링크 구조의 특성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다. 현재 검색 엔진들이 수집한 웹 페이지들은 그 규모가 수십억 개로 방대한 양을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약 3억 개의 국내 웹 페이지들을 수집하고, 링크 데이터를 추출하여 생성한 웹 그래프의 구조에 대해 분석한다. 국내 웹 페이지들의 링크의 진입 차수와 연결 요소들의 크기 분포는 멱법칙을 따르고, 웹 페이지의 진출 차수는 특정 차수 이상에서 멱법칙을 가짐을 확인한다. 또한 그래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웹 그래프를 구성하는 요소들로 나눈 후 전체적인 구조를 도식화한 보우타이 다이어그램을 도출한다.

Web Site Evaluation Using Structure Analysis Agents (구조분석 에이전트를 사용한 웹사이트의 평가)

  • 정윤경;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43-145
    • /
    • 2000
  •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그에 따른 정보량도 급증하고 있다. 웹문서량이 많아짐에 따라 웹문서를 구조를 이용하여 저장,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사이트를 사용자가 평가하기 위해 계층적인 웹문서들의 관계를 사이트맵으로 구성하며 웹문서 내의 계층구조를 추출, 저장하고 그래픽적으로 표시하였다. 이를 위해 웹문서 내의 계층구조를 위해 W3기관의 공용으로 사용되는 Tidy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URL에 대한 HTML 문서를 얻고 이를 XML로 변환하였다. 변환된 XML 결과로 이진트리를 구성하고 계층구조를 표현하였다. 웹문서들의 사이트맵은 그래프형식과 계층구조형식으로 표현했는데 그래프형식을 이용하여 사이트맵의 연결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으며, 계층구조를 이용하여 웹문서간의 계층구조에 따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사이트맵을 구성하기 위해 URL들의 구조를 인접리스트로 저장하였으며, 방향성 그래프형식을 이용하였다. 또한 웹문서 구조를 계층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웹문서의 그래프형식에 대해 BFS(Breadth First Search)방식을 이용했다. 또한 계층적 사이트맵을 이용한 평가항목을 이용하여 증권사이트에 대해 실험하였다. 실험을 통해 본 시스템이 웹사이트 평가에 유용성함을 입증하였다.

  • PDF

Indexing Scheme for RDF/RDFS using Prime Number Label (소수 레이블을 이용한 RDF/RDFS 인덱스 구조)

  • Kim, Sun-Young;Kwon, Dong-Seop;Lee, Suk-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82-84
    • /
    • 2005
  • 시맨틱 웹의 등장에 따라 RDF와 RDF Schema(RDF/RDFS)로 표현되는 웹 데이타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웹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저장, 검색할 수 있는 인덱스 구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트리 모델을 위한 소수 레이블 기법(prime number labeling scheme)을 발전시켜, RDF/RDFS 인덱스 구조를 표현할 수 있는 그래프 모델을 위한 소수 레이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기존의 소수 레이블 기법을 그래프에 적용하여 구조 질의(Structural Query)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데이타 갱신 시에 인덱스를 재구성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전의 RDF/RDFS 인덱스 구조에서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힘들었던 순환 방향성 그래프에 대한 질의도 쉴게 처리할 수 있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ariable Reference Graph (Variable Reference Graph 의 설계 및 구현)

  • Lee, Heon-Ki;Lee, Mun-Su;Shin, Gyu-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815-820
    • /
    • 2000
  • Variable Reference Graph 는 C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상호 절차적인 자료 흐름 분석 정보를 수평적 방향 그래프(directed graph)로 자동 생성해주는 역공학(reverse engineering) 도구들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판독성 있는 구조적 정보를 제공하기위한 그래픽 표현의 전략을 바탕으로 JAVA 로 구현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및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graph layout algorithm)을 기술한다. 이 알고리즘은 4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 모형, 레벨 알고리즘, 순서 알고리즘, 위치 알고리즘. 각 단계별에서 수행되는 주요 알고리즘을 살펴 본다. 특히, 이 알고리즘들은 사이클(cycle) 및 비사이클(acyclic) 방향 그래프, 그리고 트리(tree)를 수평적 계층 구조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Variable Reference Graph 는 소프트웨어 재공학 도구를 개발하는 RESORT(RESearch on object-oriented SOftware Reengineering Technology) 과제에서 개발되었다.

  • PDF

Web Structure Mining Using Web Access Log (웹 접근로그를 활용한 웹 구조 마이닝)

  • Park, C.H.;Lee, S.D.;Jeon, S.H.;Park, H.C.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93-396
    • /
    • 2006
  • 웹의 급속한 성장으로 정보의 양이 많아졌지만 디자인의 비중이 커지면서 웹 문서에 대한 구조를 추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웹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웹 문서의 내용을 구조화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하면서 사용자의 특성과 행동 패턴에 따라 개인화 하여야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웹 문서들 간의 정확한 구조를 추출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웹 사이트의 정확한 구조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기본적으로 웹문서 태그의 하이퍼링크와 플래시 파일을 2진 형태의 문서로 불러 하이퍼링크를 추출하고 이를 깊이 우선 탐색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방향그래프로 만든다. 하지만 이러한 웹 문서 태그 탐색 시 애플릿이나 스크립트 등에 숨어 있는 하이퍼링크를 찾는 문제와 '뒤로' 버튼 사용 시 웹 접근로그에 기록되지 않는 문제점이 보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클릭 스트림을 스택에 저장하여 이미 만들어진 방향그래프와 비교하여 새롭게 찾은 정점과 간선을 추가 삭제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높은 방향 그래프를 만든다.

  • PDF

Directed Graph by Integrating Web Document Hyperlink and Web Access Log for Web Mining (웹 마이닝을 위한 웹 문서 하이퍼링크와 웹 접근로그를 통합한 방향그래프)

  • Park, Chul-Hyun;Lee, Seong-Dae;Kwak, Yong-Won;Jeon, Sung-Hwan;Park, Hyu-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16-18
    • /
    • 2005
  • 웹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웹 문서를 자료구조화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패턴을 추출하고 사용자의 특성과 행동 패턴을 적용하여 개인화 하여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화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웹 문서를 구조화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기본적으로 웹 문서 태그의 하이퍼링크를 깊이 우선 탐색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방향그래프를 만드는 것이다. 이때 웹 문서 태그 탐색 시 플래시, 스크립트 등의 찾기 힘든 하이퍼링크를 찾는 문제와 '뒤로' 버튼 사용 시 웹 접근로그에 기록되지 않는 문제점을 보완한다. 이를 위해 클릭 스트림을 스택에 저장하여 이미 만들어진 방향그래프와 비교하여 새롭게 찾은 정점과 간선을 추가함으로써 보다 신뢰성높은 방향그래프를 만든다.

  • PDF

Taxonomy Induction from Wikidata using Directed Acyclic Graph's Centrality (방향 비순환 그래프의 중심성을 이용한 위키데이터 기반 분류체계 구축)

  • Cheon, Hee-Seon;Kim, Hyun-Ho;Kang, In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582-587
    • /
    • 2021
  • 한국어 통합 지식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분류체계(taxonomy)를 구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위키데이터를 기반으로 분류 후보군을 추출하고, 상하위 관계를 통해 방향 비순환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를 구성한 뒤, 국부적 도달 중심성(local reaching centrality)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정제함으로써 246 개의 분류와 314 개의 상하위 관계를 갖는 분류체계를 생성한다. 워드넷(WordNet), 디비피디아(DBpedia) 등 기존 링크드 오픈 데이터의 분류체계 대비 깊이 있는 계층 구조를 나타내며, 다중 상위 분류를 지닐 수 있는 비트리(non-tree) 구조를 지닌다. 또한, 위키데이터 속성에 기반하여 위키데이터 정보가 있는 인스턴스(instance)에 자동으로 분류를 부여할 수 있으며, 해당 방식으로 실험한 결과 99.83%의 분류 할당 커버리지(coverage) 및 99.81%의 분류 예측 정확도(accuracy)를 나타냈다.

  • PDF

비방향성 그래프에서의 빠른 신뢰도계산에 관한 연구

  • 이광원;성대현;김유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231-237
    • /
    • 1998
  • 현대산업에서는 눈부신 기술의 발달로 모든 시스템이 대형화, 복잡화되고 있다. 이들 시스템의 고장은 사회적으로 커다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에 이들 시스템의 신뢰도 계산은 필요하다. 이때 신뢰도계산을 목적으로 Network나 통신망 등의 시스템구조는 비방향성 graph로 아주 쉽게 표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시스템의 신뢰도 계산방법중 가장 빠른 것으로는 domination이론을 이용한 것들이 발표되었으나, 모두 방향성 graph(directed graph)에 대한 연구(1∼8)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on direct graph에서 domination성질을 관찰하여보고, 이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효과적인 신뢰도 계산방법과 식을 제시하여 본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