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조적 면접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3초

구성다큐 방송작가의 저작권 인식과 제도 정착에 대한 연구 (TV Program Writers' Copyright: Focusing on Writers of Informative TV Programs and TV Documentaries)

  • 신정아;한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75-87
    • /
    • 2015
  • 방송 콘텐츠의 저작권 제도와 법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져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드라마 작가에 비해 저작권 연구가 거의 없는 구성다큐 방송작가의 저작권 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저작물에 관한 실질적인 수입이 발생하는 10년 이상 경력의 메인 작가 12명과 한국방송작가협회의 저작권 담당자를 심층 면접했다. 심층인터뷰 결과, 구성다큐 방송작가들은 방송의 기획, 원고, 편집에서 주도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경력 작가들임에도 불구하고, 표준집필계약서 작성 없이 구두계약으로 업무를 시작하고, 저작물 사용료의 토대가 되는 기본원고료가 터무니없이 낮게 산정되어 저작권 수입의 현실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또한 출판, 영화 등 2차 저작물의 저작권 침해 관행으로 인한 피해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악한 외주제작 환경, 구성다큐 프로그램의 축소 및 폐지 등 방송환경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구성다큐 방송작가의 저작권 제도 정착은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구성다큐 방송작가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강화하는 것은 방송 콘텐츠의 다양성과 공공성, 창작성을 담보하는 중요한 토대이다. 따라서 저작권 보호를 위한 표준집필계약서 작성과 기본원고료의 현실화, 저작권 사용에 관한 투명한 거래는 가장 시급하게 정착되어야 할 사안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 오·남용행위 경험 (Experiences of Medication Misuse and Abuse Behaviors in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 in Community)

  • 김정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791-805
    • /
    • 2016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 오 남용 행위 경험의 본질적 의미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의사로부터 만성질환 진단을 받고 병원 외래를 통해 약물치료 중인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0명으로, 의도적 표집에 의해 선정되었다. 자료수집은 2014년 2월부터 5월까지 개별 심층면접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Colaizzi (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 오 남용 행위 경험의 본질적 의미와 구조는 '약에 대한 부담감', '약물 부작용이나 질병 악화에 대한 불안감', '약 이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음', '내 기준에 맞는 약물효과 기대', '올바른 약물사용에 대한 이해 부족' 5개의 주제모음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노인간호 현장에서 발생하는 만성 질환 노인의 약물 오 남용 행위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였고, 의료인이 아닌 대상자 관점에서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 오 남용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전략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여성의 성범죄 피해경험이 교통행태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함의 (Effects, Perception, and Political Implication of Sexual Crime on Public Transportation)

  • 빈미영;조혜진;정의석;박형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3-65
    • /
    • 2012
  • 본 연구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여성통행자가 차내에서 발생하는 성범죄로부터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성범죄피해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중교통내에서 발생하는 성범죄 피해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이 성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을 도출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경기도 직장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수행하여 성범죄 피해실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들은 CCTV와 경고음 설치, 경찰인력의 추가 배치는 성범죄예방에 효과적으로 판단하고 있으나, 여성전용칸 설치는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에는 각 개인의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가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대중교통 성범죄 예방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뉴미디어 플랫폼 확산이 콘텐츠 창작 및 유통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nfluence of Diffusion of New Media Platform i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ontents Industry)

  • 서병문;박우람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3-55
    • /
    • 2009
  • 본 연구는 뉴미디어 플랫폼이 콘텐츠산업의 창작과 유통에 미치는 영향을 시장상황 분석 및 전문가 진단을 통해 실제적으로 규명 해내는데 목표를 두었다. 콘텐츠산업의 현실진단을 위해서 시장분석과 업계 종사자 및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방법을 활용하였다. 진단결과, 다양한 뉴미디어 플랫폼의 상용화가 국내 콘텐츠산업의 창작 활성화 및 유통구조 합리화를 충분히 견인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콘텐츠창작 분야는 유통채널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포맷의 다양한 콘텐츠 생산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인기콘텐츠를 생산하는 소수의 거대 창작업체에 플랫폼 다양화의 혜택이 집중되고 있고, 창작업체의 영세성이 극복되지 못한 가운데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콘텐츠유통 분야의 경우 유통되는 콘텐츠는 기존의 인기콘텐츠가 대부분이며, 불공정한 콘텐츠거래관행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한 혁신적 정책이 요구되는데, 문화콘텐츠산업 생태계가 선순환구소를 형성하도록 조정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Concept Mapping Analyzing on Counselors' Vicarious Trauma Experience from Working with Victims of Sexual Violence)

  • 허찬희;이지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57-47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의 심층내용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개입전략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성폭력 상담 현장에서 3년이상 근무한 12명의 성폭력 상담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내용 탐색과, 그 개념 구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관한 60개의 핵심 문장을 추출하였다. 이후 심층 면접 참여자와 같은 조건의 평정 참여자 19명에게 핵심 문장을 분류하고 평정하도록 한 뒤, 다차원적 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x축의 부정적 인식차원과 심리·정서적 차원, y축의 개인 내적 차원과 행동적 차원이 나타났고, 일에 대한 몰입과 회의감, 정서적으로 동화되는 경험, 성에 대한 과민성, 남성에 대한 경계 증가, 안전감 위협이라는 5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이는 성폭력 상담자가 경험하는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의 내용을 범주화하여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그동안 국내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에 대한 양적인 연구에 필요성이 대두 되었던 결과를 다시 확인 하였고,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척도 개발의 필요성을 확신하는 결과였다.

HIV 감염인의 사회적 지지, 사회적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희망의 매개효과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Stigma on Quality of Life of HIV Infected People : Mediating Effect of Hope)

  • 김일옥;신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247-256
    • /
    • 2016
  • 본 연구는 HIV 감염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HIV 감염인 197명이며, 상담간호사가 일대일 면접을 통해 사회적 낙인, 사회적 지지, 희망, 삶의 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매개효과의 분석은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수행하였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붓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낙인은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희망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낙인은 희망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HIV 감염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낙인적 시선을 개선하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형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전략이 요구되며, 주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희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시외버스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연구 -충남 시외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Intercity-bus Services by mean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 Focusing on Intercity-bus User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

  • 김원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00-10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시외버스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충남 시외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대인면접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환경요인이 운행요인보다 서비스 만족에 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정류장청결과 교통카드충전의 편리성이 버스청결보다 중요한 요인이며, 여성의 경우, 정류장청결, 카드충전편리, 이용요금적정성 보다 버스청결이 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요인의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이용자는 이용했던 버스를 타인에 권유하는 의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외버스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시외버스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버스의 청결도를 높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시외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업팀 선수가 지각하는 진정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henticity Scale Perceived by Players on the Business Sport Team)

  • 변경원;최민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141-152
    • /
    • 2023
  • 국내 실업팀 운동선수가 지각하는 진정성에 관한 척도개발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실업팀의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정보와 진정성 연구를 축적하고자 한다. 국내외 척도개발 절차에 관한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총 6단계의 절차를 통해 진정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1단계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기본적인 구성을 확인하였다. 2단계는 실업팀에 소속된 선수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예비 문항 도출하였다. 3단계는 전문가 회의를 통해 진정성 속성과 구조를 확정하였다. 4단계는 24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을 통해 문항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5단계는 288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분석, 신뢰성 분석을 통해 구성타당성과 집중타당성 및 판별타당성을 검증하였다. 6단계는 개발된 척도에 대한 적용 가능성과 예측 타당성을 검토하며 성과변인과의 회귀분석을 통한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해 조직진정성 4가지 차원과 18개 측정문항과 리더진정성은 3개 차원 18개 측정문항이 개발되었다.

비정규직 문제와 노동계급 계급균열: 비정규직 문제를 둘러싼 정규직·비정규직 의식 비교

  • 조돈문
    • 산업노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69-200
    • /
    • 2008
  • 노동계급은 다양한 형태의 내적 이질성을 지니고 있으며, 신자유주의 경제정책과 구조조정 과정에서 고용형태에 따른 이질성은 계급균열로 발달하며 노동계급 내적 이질성 논의의 핵심을 구성하게 되었다. 국내의 선행 연구들도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물질적 존재조건의 양극화 추세와 사회적 관계의 위계적 배제적 성격을 확인해 주고 있다. 하지만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계급균열이 극복되고 노동계급의 내적 통합과 계급형성 과정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로 발전하지는 못했다. 본 연구는 계급균열의 극복과 노동계급 통합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계급균열의 핵심인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를 둘러싼 정규직 비정규직의 의식 수준의 비교연구를 실시한다. 본 연구는 민주노총 공공운수연맹 노동조합원들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 연구를 통해 계급균열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 원인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첫째,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있지만 구체적 해결책에 대해서는 입장 차이를 보임으로써 고용형태에 따른 계급균열은 존재하며, 경제위기 이후에도 해소되지 않고 고착화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둘째, 고용형태에 따른 계급내적 균열이 비정규직 문제 인식과 추상적 원칙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의식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해결책에 대해 유의미한 입장 차이를 보이는 것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물질적 이해관계의 차이 때문이다. 정규직 노동자들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고용안정성과 노동조건의 개선을 허용하더라도 자신들의 이해관계가 위협받지 않는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셋째, 정규직 노동자들이 추상적 원칙 수준에서는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동질성을 보이지만 구체적 대안에서 차별성을 보이는 것은 정규직 노동자들의 의식의 양면성을 표현하는 것이며, 물질적 이해관계에 기초한 개인적 수준의 합리성과 계급적 원칙에 기초한 계급적 수준의 합리성이 갈등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정규직 노동자들의 주관성 속에서 개인적 합리성과 계급적 합리성이 갈등하는 정도는 노동조합 가입 여부 및 소속 노동조합의 정체성, 즉 이익집단 정체성 혹은 계급조직 정체성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에 계급조직 정체성을 지닌 민주노조들이 노동계급 계급균열을 극복하고 계급형성을 이루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실천적 함의가 있다.

성인 지적장애인의 개별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 기회제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 and Environmental Character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n Self-Determinatio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

  • 이복실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2호
    • /
    • pp.5-28
    • /
    • 2013
  •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개별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자기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기회제공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자기결정에 대한 논의를 실천적 차원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실시되었다. 수도권, 영남권, 호남권에 거주하는 생활시설 성인지적장애인 219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방식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인의 개별적 특성 중 자기결정 개념인지, 실천가와의 관계인식과 환경적 특성 중 시설위치, 시설규모가 자기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기회제공이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당사자주의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고, 선택과 결정 기회를 극대화시키는 방식으로 지원하며, 거주환경의 세부적인 개편 등 자기결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