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인

검색결과 41,229건 처리시간 0.055초

양질의 건초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비육성적 및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High Guality Hay on Performanc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rcass of Hanwoo Steers)

  • 김성일;정근기;김진열;이상욱;백경훈;최창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783-800
    • /
    • 2007
  • 본 연구는 조사료원에 따른 한우 거세우의 비육성적 및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위해 7개월령된 한우거세우 20두를 볏짚을 급여한 대조구와 티모시 건초를 급여한 시험구에 각각 10두씩 배치하여 30개월령까지 710일간 비육 시험을 실시하였다.농후사료는 육성기,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각각 설계된 사양 프로그램에 따라 급여하였다. 조사료의 경우 대조구는 전 비육 기간동안 볏짚을 급여하였고 시험구는 16개월령까지 티모시 건초를 급여한 다음, 그 후는 종료시까지 볏짚을 급여하였다. 단, 조사료 급여량은 육성기와 비육전기에는 자유급여를 원칙으로 하고 비육후기에는 제한급여를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육성기의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와 시험구가 각각 0.80kg과 1.07kg으로 시험구에서 놀랄만한 큰 (p<0.0001) 증가를 보였다. 사료 섭취량도 조사료로부터의 섭취량이 시험구에서 16.5 % 더 높았고 사료 요구율에서도 시험구가 월등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료로부터 섭취한 조단백질은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3배 더 많았다. (2)비육전기의 일당증체량은 대조구가 0.93 kg, 시험구가 0.89kg으로 대조구에서 보상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 섭취량은 시험구가 다소 높았으나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가 더 좋았다(3)비육후기의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와 시험구가 각각 0.57kg과 0.53kg으로 대조구에서 비육전기때의 보상성장 효과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 섭취량은 양 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가 더 좋았다.(4)전 비육기간의 성적을 보면, 시험 종료시 체중이 대조구와 시험구가 각각 761.3kg과 799.6kg으로 시험구의 체중이 38.3kg이나 더 무거웠다. 일당증체량도 대조구가 0.79kg, 시험구가 0.84kg이였다. 사료 섭취량은 시험구가 높은 경향이었으나 사료 요구율에서는 양 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육성기때 급여한 양질 건초의 효과가 종료시까지 지속되어 나타난 결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5)비육 단계별 월별 성장패턴과 사료 섭취량은 계절적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받았지만, 당초 설계한 사료 급여프로그램과 실제 나타난 결과와는 큰 차이가 없었다.(6)도체성적은 냉도체중이 대조구에서 451.0kg, 시험구에서 475.3kg으로 시험구가 더 무거웠으며, 육량등급과 육질등급은 양 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육량등급은 시험구가 낮아지는 경향이였다. 그러나 육질등급의 경우는 1등급이상 출현률이 대조구에서 80%였던데 반하여 시험구에서는 100%였다.(7)도체의 이화학적 특성과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와 시험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도체의 화학적 성분은 육질등급이 좋을수록 조지방 함량은 증가하고, 수분 함량은 감소하며,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이러한 결과에서 특히 양질건초를 급여한 것에서 30개월령 종료시 체중과 일당증체량이 각각 799.6kg과 0.84kg을 나타낸 것은 획기적인 성과로 여겨지며, 볏짚을 급여한 것에서도 761.3kg과 0.79kg으로 나타난 것은 놀랄만한 성적이었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육성기 동안 충분한 양질의 건초를 급여하여 최대한 성장을 유도하는 것이 출하 체중과 육질을 높이는 한 요인임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젖산균으로 제조한 발효소시지의 특성

  • 박우문;최원희
    • 식품기술
    • /
    • 제10권1호
    • /
    • pp.102-114
    • /
    • 1997
  • 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젖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NFS #6-6과 S #3)의 발효소시지에서 starter culture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업용 혼합 starter culture인 SL(Staphylococcus carnosus+ Lactobacillus pentosus)을 비교구로하여 발효소시지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발효 및 숙성 중 변화에서 starter culture의 종류에 관계없이 최종 43~45%의 수분이 증발되었다. PH는 SL 처리구가 가장 낮은 4.3 수준이었으며 수분활성도 역시 0.88로 SL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색도에서 적색도는 SL 처리구보다 NFS #6-6과 S #3 처리구가 더 높았으며 텍스쳐, 지방산,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의 변화에서 starter culture에 따른 차이점은 없었다. 관능평가시 색깔에서는 NFS #6-6 처리구가 SL 처리구에 비하여 낮았으나 향기, 맛, 텍스쳐와 기호도에있어서는 SL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산균수는 발효 2일째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10^8 cfu/g이상)였으나 S #3과 NFS #6-6이 더욱 빠른 성장을 보였으며 Step. aureus는 모든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장내세균의 경우 SL 처리구에 비하여 우수하여 S #3 처리구는 3일째, NFS #6-6 처리구는 8일째부터 검출되지 않았으며 Listeria 역시 SL처리구보다 우수한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 PDF

난황형성기 모체내 3,5,3'-triiodo-L-thyronine ($T_{3}$) 주사에 의한 조피볼락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율 향상

  • 강덕영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1998년도 제4차 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66-67
    • /
    • 1998
  • 난황형성기의 난소를 가진 암컷 어미에게 갑상선 호르몬인 3,5,3'-triiodo-L-thyronine ($T_{3}$)를 20 mg $T_{3}$/kg체중으로 주사하여 출산된 조피볼락 자어를 대조구 자어와 함께 30일간 사육하면서 성장과 생존율을 비교하였고, 실험종료시인 전어체를 갈아 체성분 조성을 파악하였다. 출산자어의 성장은 대조구에 비해 $T_{3}$구에서 유의하게 빨랐으며, 생존율 역시 $T_{3}$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실험종료시 치어의 비만도는 대조구가 $T_{3}$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실험종료시 $T_{3}$구의 어체내 수분과 회분함량은 대조구의 결과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백질 함량은 $T_{3}$구에서 대조구 보다 높았으며, 지질은 $T_{3}$에서 오히려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조피볼락에 대한 $T_{3}$의 모체주사는 출산자어의 성장과 생존율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홍삼 부산물의 급여가 돼지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최양일;조현정;박기수;이장걸;연규원;이후창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제37차 춘계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188-191
    • /
    • 2006
  • 홍삼 부산물의 급여는 거세돈 등심육의 일반성분에 아무런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홍삼 부산물의 급여는 거세돈 등심육의 육질 특성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pH와 보수력은 T4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고, 육즙 손실은 T3 처리구에서 다소 낮았다. 홍삼 부산물의 급여는 등심육의 주관적 판정 항목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T3와 T4처리구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바람직한 경향이었으며, 육색에서는 a값(적색도)의 경우 대조구와 비교하여 T3와 T5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적색의 바람직한 외관을 나타냈다. 관능 특성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T2와 T4 처리구에서 다즙성과 전체 기호도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고, 풍미의 경우 T2와 T4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바람직한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홍삼 부산물의 급여는 거세돈 등심육의 육질 특성을 향상시켜 브랜드육으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찹쌀과 찹쌀가루가 고추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김근향;배정설;이택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19-219
    • /
    • 2003
  • 찹쌀 및 가루를 사용하여 담금한 고추장(시험구 A: 찹쌀가루, 시험구 B: 찹쌀, 시험구 C: 찹쌀 및 가루의 혼용)의 화학성분, 효소력 및 texture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 조단백, 조지방, 적정산도, 무기성분, alcohol의 함량 및 PH는 시험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미노태 질소함량과 산성 pretense 및 당화 amylase 활성은 A구가 높았고 환원당은 Brn가 경시적으로 높았다. Ca, Cu, K, Mn, Mg, P, Fe의 무기성분이 각 시험구에서 검출되었고 이중 K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Cu, Mn, Fe는 극히 미량이었다.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ine, arginia proline 등의 유리아미노산이 60일 숙성 고추장에서 양적으로 많이 검출되었고 histidine, valine의 함량은 적었으며,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A구 16.49, B구 13.68, C 구 15.84mg/g으로서 A 구가 가장 많았고 B 구의 고추장이 가장 적었다. texture를 측정한 결과 견고성과 부착성은 담금 직후에는 A구가, 숙성 후기에는 B 구가 높았으며 응집성, 탄력성은 A 구가 높았고 B 구가 낮았다.

  • PDF

쌀 천연 발효액종을 첨가한 우리밀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Bread Prepared with Substitutions of Naturally Fermented Rice Starters)

  • 최상호;이승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0-119
    • /
    • 2014
  • 급수량을 달리하여 배양한 쌀 천연발효액의 pH는 배양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 쌀 발효액의 당도는 배양 3일이 지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에탄올 함량은 물 140%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젖산균수가 가장 높았던 물 180% 첨가구가 가장 낮은 효모수를 보인 반면 젖산균수가 가장 낮았던 물 140% 첨가구가 가장 높은 효모수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쌀 천연발효액의 발효율은 효모수가 가장 많았던 물 140%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쌀종을 yeast 대체 0, 10, 30, 50, 70% 첨가하여 제조한 우리밀 식빵 반죽의 pH는 쌀종 10% 첨가구만 대조구보다 낮았고 나머지 쌀종 첨가구들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Farinograph 특성을 분석한 결과 쌀종을 첨가할수록 수분흡수율, 반죽 생성시간과 반죽 안정도는 감소하였으며 탄력도 및 반죽의 약화도는 높게 나타났다. RVA의 호화특성에서 호화개시온도는 대조구보다 쌀종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전분입자의 파괴정도 및 노화정도는 감소하여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CrumbScan 분석에서 쌀종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의 조밀도, 기공의 찌그러짐, 껍질의 두께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종 첨가 식빵의 무게는 대조구보다 쌀종 첨가구가 더 높았으며 부피는 쌀종 첨가 50% 이상에서 대조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저장기간($25^{\circ}C$, 5일) 중 품질변화를 살펴본 결과 수분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으며 쌀종 50%와 70%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거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빵 외부 표면의 곰팡이 형성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쌀종 첨가량이 많을수록 곰팡이 발생이 지연되어 저장성 개선효과가 있었다. 색도측정에서 저장초기 명도 L값과 황색도 b값은 대조구보다 쌀종 첨가구가 더 높았으며 적색도 a값은 쌀종 첨가구보다 대조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쌀종 첨가 식빵의 경도는 쌀종 첨가군이 대조구보다 더 높았으나 응집성과 탄력성은 대조구가 더 높았다. 관능검사에서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와 쌀종 50% 첨가구가 높게 평가되었다.

파종방법과 피복작물이 조의 생육과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ver Crops and Sowing Methods on Weed Occurrences, Growth and Yield in Foxtail Millet Fields)

  • 전승호;심두보;김석현;정종일;김민철;정정성;윤성탁;심상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37-3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안정한 조 생산은 위한 친환경적 유기재배를 위한 잡초관리 방법 개선과 효율적인 작부체계 개선을 위하여 조의 파종법과 피복작물인 헤어리베치와 호밀이 조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 출수일 비교시 비닐피복 이식구에서 4일, 헤어리베치 이식구에서 3일 먼저 출수하였다. 초장은 헤어리베치 이식구, 비닐피복 이식구와 직파구, 헤어리베치 직파구 순으로 92.4%, 86.9%, 50.2%, 24.6%로 차이를 보였으며 가장 작은 호밀 직파구와는 -63.7%의 차이가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형광에서는 비닐피복구와 헤어리베치구 높게 나타났다. 2. 헤어리베치구에서 방제가가 70% 이상으로 높았으며, 화본과와 광엽 잡초의 분류 비교시 헤어리베치구에서는 화본과와 광엽잡초 모두 9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났으며 호밀구에서는 화분과 잡초에서는 47% 이상, 광엽잡초에서는 90% 이상의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3. 수량비교에서는 헤어리베치 이식구>비닐피복 이식구>호밀구 이식구${\fallingdotseq}$무처리 이식구>헤어리베치 직파구>비닐피복 직파구>호밀구 직파구${\fallingdotseq}$무처리 직파구 순으로 나타났다.

Se과 Vit. E 투여가 한우 종빈우의 번식기능과 송아지의 발육능력, 혈액성분 및 Vit. E 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 황환섭;장현용;김정익;정희태;박춘근;김종복;양부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77-77
    • /
    • 2002
  • 본 실험은 한우 종빈우의 임신말기에 Se과 Vit. E 투여가 종빈우의 분만 후 번식기능에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였고, 임신말기 Se과 Vit. E 를 투여한 한우 종빈우에서 태어난 송아지의 발육능력을 조사하고, 혈액화학치와 혈중 Vit. E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분만 l 개월전 Se과 Vit E 을 투여한 한우 종빈우에서 태어난 송아지의 발육성적을 조사한 결과, 생시체중은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 (P<0.05). 또한 이유시 체중과 일당증체량도 투여구가 대조구 보다 다소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나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0.05). 한편 종빈우의 번식능력을 조사한 결과,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초발정이 빨리 도래하였고, 수태 당 인공수정 횟수도 적었으나,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0.05). 2. Se과 Vit. E를 분만 2 개월전 4 회 투여한 한우 종빈우로부터 태어난 송아지의 발육성적을 조사한 결과, 생시체중, 이유시체중 및 일당증체량은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나,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0.05). 한편, 한우 종빈우의 번식능력을 조사한 결과, 분만 후 초발정은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초발정 발현이 빨랐으며 수태 당 인공수정 횟수는 투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적었으나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0.05). 3. Se과 Vit. E를 분만 1개월전 2 회 투여한 한우 종빈우에서 태어난 송아지의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평균 혈중 albumin 은 Vit. E 2000IU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높은 성적을 나타냈으며 (P<0.05), 평균 혈중 cholesterol이 함량 또한 Vit. E 1500IU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P<0.05). 그러나 혈중 BUN, creatinine, glucose, IP, calcium, TP 및 triglycerides 함량은 처 리 구간 유의 적 인 차이 는 없었다 (P>0.05). 4. Se과 Vit. E를 분만 2 개월 전 4 회 투여한 한우 종빈우에서 태어난 송아지의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평균 혈중 albumin, cholesterol, BUN, creatinine, glucose, IP, calcium, TP 및 triglycerides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P>0.05). 5. 분만 l 개월 전 Se과 Vit. E를 투여한 한우 종빈우로부터 태어난 송아지의 혈중 Vit. E 농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 혈중 Vit. E 농도는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농도를 나타냈으나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 6. 분만 2 개월 전에 Se과 Vit. E를 투여한 한우 종빈우로부터 태어난 송아지의 혈중 Vit. E 농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농도를 나타냈으나 처리구간 커다란 차이는 없었다 (P>0.05).

  • PDF

브로콜리 첨가 쿠키의 품질 특성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Plenck) Powder)

  • 임은정;김지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0-215
    • /
    • 2009
  • 브로콜리 분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밀가루 양에 대한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을 0%, 3%, 5%, 7%, 9%로 각각 달리 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물리적,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3% 첨가구를 제외하고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브로콜리 분말 첨가 쿠키의 퍼짐성 측정 결과, 대조구에 비해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퍼짐성은 점차 증가하였다. 손실율은 3%와 5%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7%와 9% 첨가구는 브로콜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증가하였다. 팽창율은 5% 첨가구까지는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왔고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9%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게 나왔다. 브로콜리 분말 첨가 쿠키의 경도 측정 결과 대조구에 비해 3% 첨가구에서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브로콜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쿠키의 경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브로콜리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외관, 향기, 색, 조직감과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외관은 5%와 7%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였으며, 향기는 모든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5%와 7%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색은 3%와 5% 첨가구에서는 대조구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고, 7%와 9%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과 전반적 기호도에서는 대조구보다 선호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 조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7%가 가장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냈다. 본 실험에서는 브로콜리 분말을 쿠키 제조에 다양한 수준으로 첨가하여 브로콜리 분말 첨가 쿠키의 개발 가능성 검토 결과, 브로콜리의 이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기능성을 고려한 기호식품의 하나가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 된다.

  • PDF

Hydrocolloids가 쌀을 첨가한 빵용 밀가루 반죽의 물성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drocolloi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Flour Dough with Rice Flour)

  • 김양훈;이정훈;정구춘;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19-1825
    • /
    • 2015
  • 강력분 80%와 쌀가루 20%를 혼합한 후 검류로 HPMC, xanthan gum, guar gum, glucomannan 등을 각각 1% 첨가하여 반죽의 물성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혼합분의 Amylograph 분석에서 호화온도는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최고점도 온도도 같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최고점도는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glucomannan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Viscograph 분석에서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는 Amylograph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유지온도와 냉각온도에서의 점도는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Breakdown은 xanthan gum 첨가구의 값이 가장 높았고 대조구와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setback은 HPMC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xanthan gum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Farinograph에서 반죽의 되기는 HPMC 및 xanthan gum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흡수율은 glucomannan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반죽형성시간은 대조구에 비하여 guar gum 첨가구가 길었다. 안정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HPMC와 guar gum 첨가구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xanthan gum 첨가구는 훨씬 짧아져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약화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HPMC와 guar gum 첨가구는 짧아졌으나 xanthan gum과 glucomannan 첨가구는 길어졌다. FQN은 HPMC와 guar gum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반죽의 발효부피 분석에서 guar gum과 HPMC 첨가구의 부피가 컸고, 반죽의 pH는 HPMC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실험으로 hydrocolloids가 밀가루와 쌀가루 혼합분의 paste, 반죽, 발효부피, 반죽의 pH 등에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