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순종양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홍순에 발생한 출혈성 궤양 병소의 증례보고 및 감별진단 (Case Report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Hemorrhagic Ulcerative Lesions on the Vermilion Zone)

  • 이경은;정원;조남표;서봉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2호
    • /
    • pp.99-105
    • /
    • 2011
  • 홍순(red zone 또는 vermilion zone)은 해부학적으로 입술의 피부부위에서 구강점막으로 이행되는 부위로 선 구순염, 접촉구순염, 구각 구순염, 형질세포성 구순염, 박탈성 구순염, 광선 구순염, 육아종성 구순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으로 알려진 다양한 구순염과 감염성 질환, 양성 및 악성 종양, 다른 전신질환의 피부증상과 관련된 병소들이 나타난다. 본 증례에서는 홍순에 발생한 궤양성, 출혈성, 가피를 형성한 병소들에 대해 형질세포 구순염과 Stevens-Johnson syndrome(SJS)과 관련된 홍순 병소를 경험한 바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하구순의 과립세포종 증례보고 (Granular Cell Tumor in the Lower Lip : A Case Report)

  • 허지연;오석준;고성훈;차정호;민광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3-35
    • /
    • 2009
  • Purpose : Granular cell tumour(GCT) is a rare benign tumour that can arise in anywhere throughout the body. Histopathological diagnosis of malignancy is difficult. We report a case of a granular cell tumor which developed on lower lip. Methods : A 58-year-old male had a palpable mass and whitish plaque in the oral mucosa for three months. Results : Under local anasthesia, the tumor was removed through wide excision including normal skin margin. Immediate reconstruction using local flap was done. Pathologic observation showed nests of polygonal cells with abundant granular, eosinophilic cytoplasm and round nuclei. Immunohistopathologic staining showed positive reaction on S-100 protein Conclusion : Th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granular cell tumor is derived from Schwann cells. We report here on a case of granular cell tumor of lower lip tha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radical resection.

구강 점막에 발생한 유표피 낭종 2예 (Two Cases of Epidermoid Cyst in the Oral Mucosa)

  • 김형섭;이준호;박찬흠;홍석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0-82
    • /
    • 2008
  • Epidermoid cysts can be found anywhere in the body, particularly in areas where embryonic elements fuse together. Most cases have been reported in the ovaries, the testicles, as well as the hand and feet. Epidermoid cysts in mouth are uncommon and account for less than 0.01% of all oral cysts. The treatment of choice is complete surgical excision and prognosis is excell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wo cases of an epidermoid cyst in the oral cavity mucosa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상순 구순점막에 발생한 점액낭선암종 1예 (A Case of Mucinous Cystadenocarcinoma in Labial Mucosa of Upper Lip)

  • 엄정환;조동인;김순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3-46
    • /
    • 2021
  • Mucinous cystadenocarcinoma (MCA) is a malignant tumor that mainly occurs in the breast or ovary, but MCA is internationally rarely reported in head and neck region. Especially MCA in minor salivary gland of oral cavity is even more rare. It is characterized by cystic spaces lining of epithelial cells containing intracytoplasmic mucin. We report a case of MCA in the labial mucosa of upper lip considered to develop from minor salivary gland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소타액선 종양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Analysis of Minor Salivary Gland Tumors)

  • 이종수;최종욱;이승호;정광윤;이남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30
    • /
    • 1994
  • 최근 7년간 저자들이 치험한 소타액선 종양 26례에 대하여 임상양상과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발생부위를 구개 10례 (38.5%), 비강 및 부비동 8례 (30.8%), 설근부 2례 (7.7%), 협부 점막 2례 (7.7%), 구순 1례(3.8%), 후두개곡 1례(3.8%), 구강저 1례(3.8%), 비인강 1례(3.8%)이었다. 2)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양성 종양 10례, 악성종양 16례이었으며, 양성 종양은 전례가 다형성선종이었으며, 구개에서 6례로 가장 많았고, 악성종양은 비강 및 부비동 5례로 가장 많았으며, 선양낭성암종 9례, 악성혼합종 2례, 점액표피암종 2례, 다형성선암종 2례, 상피근상피성암 1례이었다. 악성화율은 61.5%이었다. 3) 치료는 양성 종양은 모두 적출술을 시행하였고 악성 종양은 광범위 적출술 4례(25.0%), 수술 및 방사선요법의 병합요법 9례(45.2%),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의 병합요법 1례(5.25%), 방사선 요법 2례(12.3%)등을 시행하였다. 4) 악성 종양에 대한 치료 결과는 근치적 치료를 시행한 8례에서는 무병생존 6례, 유병생존 1례, 유병사망 1례를 보였으며, 고식적 치료를 시행한 6례에서는 유병생존 2례, 유병사망 4례를 보였다. 이상의 성적에서 소타액선 종양은 대타액선 종양에 비하여 악성화 비율이 높고 선양낭성암종의 발생 빈도가 높아 그 침범 부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고식적 치료의 범위를 확대하여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구강 및 구인두암 (ORAL AND OROPHARYNGEAL CANCER: TWENTY-YEAR EXPERIENCE IN KOREA)

  • 설대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3
    • /
    • 1985
  • 구강과 구인두에서 발생되는 유표피암은 전체 예수병원 암환자의 3.9%를 차지한다. 만 20 년 간의 월발성 유표피암 환자 5%명에 대한 고찰결과, 혀 전방 2/3 에서 29%로써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으며 faucial arch, base of tongue 및 tonsil을 포함한 구 인두는 28%의 발생빈도를 나타냈다. 그외는 잇몸, 구강저, 구순, 구개 (palate) 및 구강내 점막의 빈도순이었다. 환자 중 153 명 만이 근치적 치료를 받았다. 1974 년 이전에는 치료 정책에 수술만이 활용되었던 까닭으로 역행성 분석결과 74 명에서는 수술만 시행케 되었으나, 그 이후의 70 명에서는 종합적치료를 시행하였으며 그중 9 명은 확실한 방사선요법을 받았다. COMMANDO 수술과 복합절제술 (Composite resection) 을 시행했던 환자들의 비교검토는 매우 의의가 있었다. 수술만 받은 환자와 비교해 볼때, 수술후 방사선요법을 병행했던 수술환자의 경우에 있어서 재발율은, Stage III 에서는 50%에서 41%로, Stage IV 는 79%에서 68%로 각각 감소를 보였다. 또한, COMMANDO 수술 경우만 국한시켜 비교할 때는 수술만 받은 환자와 비교할 때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와 비교하여 2 년간 무병율 (disease free interval) 이 수술후 방사선요법을 병행함으로써 17.3%에서 29.3%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구강 및 구인두종양수술시 구순-하악골이단 접근법의 이용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ABIO-MANDIBULOTOMY APPROACH FOR ORAL AND OROPHARYNGEAL TUMORS)

  • 표성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2호
    • /
    • pp.225-230
    • /
    • 1999
  • The labiomandibulotomy approch to the oral cavity and oropharygeal region was first described by Roux in 1836 and become popular for oral and oropharyngeal tumors in cases where there are no clinical and radiological signs of mandible invasion. Anterior labiomandibulotomy and swing procedure provides excellent access and facilitate a mandibular resection and subsequent repair. In last two years, 8 cases of oral and oropharyngeal tumors were treated by this approach at the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Holy Family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nd we analyz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s well as functional evaluation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4 cases, marginal mandibulectomy were combined with labiomandibulotomy and in case of malignancies, neck dissection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In almost case, plate and miniscrew fixation was used for osteotomy sites. Histologic evaluation of the resection margins of the specimens revealed tumor free in all cases.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occured in 3 cases, one case of nonunion, one case of orocutaneous fistula, and one case of wound dehisence. Occlusal stability, jaw movement and swallowing function were acceptable postoperatively in 3 months. From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is approach not only provides wide exposure, permitting radical removal of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but also preserves function with minimal complications.

  • PDF

G292 세포에서 세포막 신장으로 활성화되는 $K^+$통로의 특성 (Properties of stretch-activated $K^+$ channels in an G292 osteoblast-like cell)

  • 이상국;정동근;서덕준;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7-20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인체 골종양에서 유래한 G292세포를 이용하여 압력으로 세포막을 신장(stretch)시켰을 때 $K^+$통로의 전기적 찰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배양된 세포에서 유골전극을 이용하여 세포막 내측이 유리전극의 외부로 향하도록 inside-out patch를 얻어 단일이온통로전류를 막전압고정법 (patch clamp recording)으로 기록하였다. G292세포의 세포막 내외에 140 mM KCl 용액이 있는 상태에서 유리전극내 전압을 -80 mV로 고정했을 때 전도성이 $270\pm27\;pS,\;113\pm12\;pS,\;48\pm8\;pS$인 3가지 종류의 $K^+$통로를 관찰하였다. 전도성이 낮은 48 pS의 $K^+$통로는 모든 세포막에서 관찰하였으며 270 pS 및 113 pS의 $K^+$ 통로는 일부 세포에서만 관찰하였다. 48 pS의 $K^+$통로는 세포막 외측에 음의 전압을 가하면 활성화되고 양의 전압을 가하면 활성화되지 않는 외향성 정류특성을 보였다. 세포막 외측에 음압을 가하면 48 pS의 $K^+$통로는 활성화되었으며 이온 통로가 열리는 확률($P_{open}$)이 가하는 압력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G292세포주에 3가지 종류의 $K^+$통로가 존재하며 전도성이 낮은 48 pS의 $K^+$통로만이 세포막 신장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활성화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K^+$ 통로의 활성화는 세포가 기계적 자극을 받아 세포막이 신장되면 세포막전압을 과분극시키며 조골세포에서 기계적 감수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조골세포의 골개조에 관여할 것으로 추측된다.순에서는 수술 후 잉여 연조직에 의한 두께의 증가가 나타나고 상순에서는 구륜근에 의한 장력에 의해 상순의 두께가 감소하였다가 보정 기간 후 새로운 악골 위치로 적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다. 5. II급고무줄과 수직고무줄 적용 시를 비교해 보면 수직고무줄 장착시 전치부 치근막에 인장력이 더 넓게, 그 크기는 더 작게 나타났다. 반면에 구치부 치근막에 나타나는 응력의 분포와 크기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전치부 치근막 인장부위에서 인장력은 견치에서 제일 컸다.상적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이 1 mm의 오차한계 이내로 예측된 경우는 Cha 들의 예측식이 $40\%$ 로 가장 높으며, Pont와 Schmuth의 예측식은 각각 $29\%$$13\%$ 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상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의 합으로부터 이상적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및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을 예측하는 것은 임상적 신뢰성이 낮을 것임을 시사한다.교정력을 효과적으로 전체 치열로 전달할 수 있는 독특한 기계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7. 구순 반흔 제거수술시기로는 4-6세군 ($27.5\%$), 6-8세군 ($19.6\%$), 2-4세군 ($13.7\%$)이 $60\%$이상을 차지하여 초등학교 취학 전에 구순의 반흔을 제거하려 함을 알 수 있었다. 8. 비변형 교정수술시기로는 0-2세군 ($7.1\%$), 2-4세군 ($14.3\%$), 4-6세군 ($21.4\%$), 6-8세군 ($14.3\%$)으로 초등학교 취학이전이 $57.1\%$로서 최근의 조기 치료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구강암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for Oral Cavity Cancer)

  • 심재원;류성렬;고경환;조철구;윤형근;김재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267-275
    • /
    • 1993
  • 1985년 3월부터 1990년 9월까지 구강암으로 진단받고 본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던 85명의 환자에 대한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중 방사선 단독치료가 37예였고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48예였다. 방사선치료 방법으로는 70예에서 $^{60}Co$와 전자선에 의한 외부방사선조사로만 시행하였고 조직내삽입 복합요법이 7예, oral cone추가사용이 8예였다. 전체환자중 설암이 40예로 가장 많았고 구강저부암이 17예, 구개암이 12예, 후구치삼각부암을 포함한 치육암이 10예, 구협암이 5예, 구순암이 1예였다. 병리소견상 편평상피세포암이 77예로 가장 많았으며, AJC TNM 병기에 의한 병기 I+II기는 28예였고 병기 III+IV기 환자의 3년생존율은 각각 $60.9\%$$23.1\%$였다.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상 원발병소의 크기가 유의하였다(P<0.01). 기타 나이, 원발병소의 위치, 림프절 전이여부, 치료방법(수술여부), 조사선량, 종양세포의 조직학적 등급 등에 의한 생존율과 국소제어율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중 치료방법에 따르면, 원발병소의 크기가 클수록, 혹은 림프절 전이여부를 막론하고 수술과 방사선 병용치료군에서 방사선 단독치료군보다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더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p<0.1). 결론적으로 조기구강암에서는 방사선 단독치료가 수술과 방사선 병용치료에 비해 비슷한 치료성적을 보이면서도 특히 해부학적, 기능적 장애를 야기하는 수술에 비해 더 효과적이며 진행성구강암에서는 수술과 방사선 병용치료가 적절하다고 사료된다.반응율은 높으나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가 국소관해율 및 생존율의 향상으로는 연결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진행된 비인강암에서의 화학요법은 좀더많은 비교대조군 연구(controlled clinical trial)를 통해서만 역 할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erformance status(KPS), 침습부위, 수술적 제거여부 및 제거정도, 방사선치료선량, 방사선조사야, 화학요법 병행 여부에 따라 생존률을 분석한 결과 연령 (p=0.0121), KPS(p=0.0002), 조직학적 등급(P=0.0001), 수술적 제거 (p=0.0240)가 유의한 예후인자로 분석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천막하병소가 천막상부 병소에 비해, 부분조사가 전뇌조사에 비해 높은 생존률을 보이는 매개변수로 분석되었다.련된 생존율에 영향을 주었던 인자로는 나이 (p<0.0291), 병기(p<0.0001), 전신상태(p<0.0041), 초기 혈색소 수치 (p<0.0001), 강내 조사(p<0.0004)였고, 조직학적 소견(p<0.29), 유도 화학요법과의 병행치료(p<0.87)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0093{\pm}0.0047)\;D^2+(13.31{\pm}7.309$) 였었다. 감마선에 대한 중성자선의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 (RBE)는 y=aD+$bD^2$+c를 다음과 같은 식으로 변형시켜 계산하였다. $$\frac{[-a{pm}\sqrt{a^2-4b\;(c-y}}]}{2{\times}6}$$ 미세핵 발생빈도가 세포당 0.05와 0.8사이에서의 중성자선의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비는 $2.37{\pm}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