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성 체계

Search Result 4,96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haracteristic on the Layout and Semantic Interpretation of Chungryu-Gugok, Dongaksan Mountain, Gokseong (곡성 동악산 청류구곡(淸流九曲)의 형태 및 의미론적 특성)

  • Rho, Jae-Hyun;Shin, Sang-Sup;Huh, Joon;Lee, Jung-Han;Han, Sang-Yub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4
    • /
    • pp.24-36
    • /
    • 2014
  •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semantic value and the layout of the Cheongryu Gugok of Dorimsa Valley, which exhibits a high level of completeness and scenic preservation value among the three gugoks distributed in the area around Mt. Dongak of Gogseong is as follows.4) The area around Cheongryu Gugok shows a case where the gugok culture, which has been enjoyed as a model of the Neo-Confucianism culture and bedrock scenery, such as waterfall, riverside, pond, and flatland, following the beautiful valley, has been actually substituted, and is an outstanding scenery site as stated in a local map of Gokseong-hyeon in 1872 as "Samnam Jeil Amban Gyeryu Cheongryu-dong(三南第一巖盤溪流 淸流洞: Cheongryu-dong, the best rock mooring in the Samnam area)." Cheongryu Gugok, which is differentiated through the seasonal scenery and epigrams established on both land route and waterway, was probably established by the lead of Sun-tae Jeong(丁舜泰, ?~1916) and Byeong-sun Cho(曺秉順, 1876~1921) before 1916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However, based on the fact that a number of Janggugiso of ancient sages, such as political activists, Buddhist leaders, and Neo-Confucian scholars, have been established, it is presumed to have been utilized as a hermit site and scenery site visited by masters from long ago. Cheongryu Gugok, which is formed on the rock floor of the bed rock of Dorimsa Valley, is formed in a total length of 1.2km and average gok(曲) length of 149m on a mountain type stream, which appears to be shorter compared to other gugoks in Korea. The rock writings of the three gugoks in Mt. Dongak, such as Cheongryu Gugok, which was the only one verified in the Jeonnam area, total 165 in number, which is determined to be the assembly place for the highest number of rock writings in the nation. In particular, a result of analyzing the rock writings in Cheongryu Gugok totaling 112 places showed 49pieces(43.8%) with the meaning of 'moral training' in epigram, 21pieces (18.8%) of human life, 16pieces(14.2%) of seasonal scenery, and 12pieces(10.6%) of Janggugiso such as Jangguchur, and the ratio occupied by poem verses appeared to be six cases(3.6%). Sweyeonmun(鎖烟門), which was the first gok of land route, and Jesiinganbyeolyucheon(除是人間別有天) which was the ninth gok of the waterway, corresponds to the Hongdanyeonse(虹斷烟鎖) of the first gok and Jesiinganbyeolyucheon of the ninth gok established in Jaecheon, Chungbuk by Se-hwa Park(朴世和, 1834~1910), which is inferred to be the name of Gugok having the same origin. In addition, the Daeeunbyeong(大隱屛) of the sixth gok. of land route corresponds to the Chu Hsi's Wuyi-Gugok of the seventh gok, which is acknowledged as the basis for Gugok Wollim, and the rock writings and stonework of 'Amseojae(巖棲齋)' and 'Pogyeongjae(抱經齋)' between the seventh gok and eighth gok is a trace comparable with Wuyi Jeongsa(武夷精舍) placed below Wuyi Gugok Eunbyeon-bong, which is understood to be the activity base of Cheongryu-dong of the Giho Sarim(畿湖士林). The rock writings in the Mt. Dongak area, including famous sayings by masters such as Sunsaeuhje(鮮史御帝, Emperor Gojong), Bogahyowoo(保家孝友, Emperor Gojong), Manchunmungywol(萬川明月, King Joengjo), Biryeobudong(非禮不動, Chongzhen Emperor of the Ming Dynasty)', Samusa(思無邪, Euijong of the Ming Dynasty), Baksechungpwoong(百世淸風, Chu Hsi), and Chungryususuk-Dongakpungkyung(淸流水石 動樂風景, Heungseon Daewongun) can be said to be a repository of semantic symbolic cultural scenery, instead of only expressing Confucian aesthetics. In addition, Cheongryu Gugok is noticeable with its feature as a cluster of cultural scenery of the three religions of Confucian-Buddhism-Taoism, where the Confucianism value system, Buddhist concept, and Taoist concept co-exists for mind training and cultivation. Cheongryu Gugok has a semantic feature and spatial character as a basis for history and cultural struggle for the Anti-Japan spirit that has been conceived dur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utilizing the spirit of the learning, loyalty for the Emperor and expulsion of barbarians, and inspiration of Anti-Japan force, by inheriting the sense of Dotong(道統) of Neo-Confucianism by the Confucian scholar class at the end of the Joseon era that is represented by Ik-hyun Choi(崔益鉉, 1833~1906), Woo Jeon(田愚, 1841~1922), Woo-man Gi(奇宇萬, 1846~1916), Byung-sun Song(宋秉璿, 1836~1905), and Hyeon Hwang(黃玹, 1855~1910).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A Review Examining the Dating, Analysis of the Painting Style, Identification of the Painter, and Investigation of the Documentary Records of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용주사(龍珠寺) <삼세불회도(三世佛會圖)> 연구의 연대 추정과 양식 분석, 작가 비정, 문헌 해석의 검토)

  • Kang, Kwanshik
    • MISULJARYO - National Museum of Korea Art Journal
    • /
    • v.97
    • /
    • pp.14-54
    • /
    • 2020
  • The overall study of Samsaebulhoedo (painting of the Assembly of Buddhas of Three Ages) at Yongjusa Temple has focused on dating it, analyzing the painting style, identifying its painter, and scrutinizing the related documents. However, its greater coherence could be achieved through additional support from empirical evidence and logical consistency. Recent studies on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that postulate that the painting could have been produced by a monk-painter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nd that an original version produced in 1790 could have been retouched by a painter in the 1920s using a Western painting style lack such empirical proof and logic. Although King Jeongjo's son was not yet installed as crown prince, the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contained a conventional written prayer wishing for a long life for the king, queen, and crown prince: "May his majesty the King live long / May her majesty the Queen live long / May his highness the Crown Prince live long" (主上殿下壽萬歲, 王妃殿下壽萬歲, 世子邸下壽萬歲). Later, this phrase was erased using cinnabar and revised to include unusual content in an exceptional order: "May his majesty the King live long / May his highness the King's Affectionate Mother (Jagung) live long / May her majesty the Queen live long / May his highness the Crown Prince live long" (主上殿下壽萬歲, 慈宮邸下壽萬歲, 王妃殿下壽萬歲, 世子邸下壽萬歲).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the formats and contents in written prayers found on late Joseon Buddhist paintings and a careful analysis of royal liturgy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reveal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to be an original version produced at the time of the founding of Yongjusa Temple in 1790. According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formats, iconography, styles, aesthetic sensibilities, and techniques found in Buddhist paintings and paintings by Joseon court painters from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bears features characteristic of paintings produced around 1790, which corresponds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written prayer. Buddhist paintings created up to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show deities with their sizes determined by their religious status and a two-dimensional conceptual composition based on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f depicting close objects in the lower section and distant objects above. This Samsaebulhoedo, however, systematically places the Buddhist deities within a threedimensional space constructed by applying a linear perspective. Through the extensive employment of chiaroscuro as found in Western painting, it expresses white highlights and shadows, evoking a feeling that the magnificent world of the Buddhas of the Three Ages actually unfolds in front of viewers. Since the inner order of a linear perspective and the outer illusion of chiaroscuro shading are intimately related to each other, it is difficult to believe that the white highlights were a later addition. Moreover, the creative convergence of highly-developed Western painting style and techniques that is on display in this Samsaebulhoedo could only have been achieved by late-Joseon court painters working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including Kim Hongdo, Yi Myeong-gi, and Kim Deuksin. Deungun, the head monk of Yongjusa Temple, wrote Yongjusa sajeok (History of Yongjusa Temple) by compiling the historical records on the temple that had been transmitted since its founding. In Yongjusa sajeok, Deungun recorded that Kim Hongdo painted Samsaebulhoedo as if it were a historical fact. The Joseon royal court's official records, Ilseongnok (Daily Records of the Royal Court and Important Officials) and Suwonbu jiryeong deungnok (Suwon Construction Records), indicate that Kim Hongdo, Yi Myeong-gi, and Kim Deuksin all served as a supervisor (gamdong) for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Since within Joseon's hierarchical administrative system it was considered improper to allow court painters of government position to create Buddhist paintings which had previously been produced by monk-painters, they were appointed as gamdong in name only to avoid a political liability. In reality, court painters were ordered to create Buddhist paintings. During their reigns,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summoned the literati painters Jo Yeongseok and Kang Sehwang to serve as gamdong for the production of royal portraits and requested that they paint these portraits as well. Thus, the boundary between the concept of supervision and that of painting occasionally blurred. Supervision did not completely preclude painting, and a gamdong could also serve as a painter. In this light, the historical records in Yongjusa sajeok are not inconsistent with those in Ilseongnok, Suwonbu jiryeong deungnok, and a prayer written by Hwang Deok-sun, which was found inside the canopy in Daeungjeon Hall at Yongjusa Temple. These records provided the same content in different forms as required for their purposes and according to the context. This approach to the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will lead to a more coherent explanation of dating the painting, analyzing its style, identifying its painter, and interpreting the relevant documents based on empirical grounds and logical consist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