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view Examining the Dating, Analysis of the Painting Style, Identification of the Painter, and Investigation of the Documentary Records of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용주사(龍珠寺) <삼세불회도(三世佛會圖)> 연구의 연대 추정과 양식 분석, 작가 비정, 문헌 해석의 검토

  • Received : 2020.03.20
  • Accepted : 2020.05.21
  • Published : 2020.06.20

Abstract

The overall study of Samsaebulhoedo (painting of the Assembly of Buddhas of Three Ages) at Yongjusa Temple has focused on dating it, analyzing the painting style, identifying its painter, and scrutinizing the related documents. However, its greater coherence could be achieved through additional support from empirical evidence and logical consistency. Recent studies on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that postulate that the painting could have been produced by a monk-painter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nd that an original version produced in 1790 could have been retouched by a painter in the 1920s using a Western painting style lack such empirical proof and logic. Although King Jeongjo's son was not yet installed as crown prince, the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contained a conventional written prayer wishing for a long life for the king, queen, and crown prince: "May his majesty the King live long / May her majesty the Queen live long / May his highness the Crown Prince live long" (主上殿下壽萬歲, 王妃殿下壽萬歲, 世子邸下壽萬歲). Later, this phrase was erased using cinnabar and revised to include unusual content in an exceptional order: "May his majesty the King live long / May his highness the King's Affectionate Mother (Jagung) live long / May her majesty the Queen live long / May his highness the Crown Prince live long" (主上殿下壽萬歲, 慈宮邸下壽萬歲, 王妃殿下壽萬歲, 世子邸下壽萬歲).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the formats and contents in written prayers found on late Joseon Buddhist paintings and a careful analysis of royal liturgy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reveal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to be an original version produced at the time of the founding of Yongjusa Temple in 1790. According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formats, iconography, styles, aesthetic sensibilities, and techniques found in Buddhist paintings and paintings by Joseon court painters from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bears features characteristic of paintings produced around 1790, which corresponds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written prayer. Buddhist paintings created up to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show deities with their sizes determined by their religious status and a two-dimensional conceptual composition based on the traditional perspective of depicting close objects in the lower section and distant objects above. This Samsaebulhoedo, however, systematically places the Buddhist deities within a threedimensional space constructed by applying a linear perspective. Through the extensive employment of chiaroscuro as found in Western painting, it expresses white highlights and shadows, evoking a feeling that the magnificent world of the Buddhas of the Three Ages actually unfolds in front of viewers. Since the inner order of a linear perspective and the outer illusion of chiaroscuro shading are intimately related to each other, it is difficult to believe that the white highlights were a later addition. Moreover, the creative convergence of highly-developed Western painting style and techniques that is on display in this Samsaebulhoedo could only have been achieved by late-Joseon court painters working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including Kim Hongdo, Yi Myeong-gi, and Kim Deuksin. Deungun, the head monk of Yongjusa Temple, wrote Yongjusa sajeok (History of Yongjusa Temple) by compiling the historical records on the temple that had been transmitted since its founding. In Yongjusa sajeok, Deungun recorded that Kim Hongdo painted Samsaebulhoedo as if it were a historical fact. The Joseon royal court's official records, Ilseongnok (Daily Records of the Royal Court and Important Officials) and Suwonbu jiryeong deungnok (Suwon Construction Records), indicate that Kim Hongdo, Yi Myeong-gi, and Kim Deuksin all served as a supervisor (gamdong) for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Since within Joseon's hierarchical administrative system it was considered improper to allow court painters of government position to create Buddhist paintings which had previously been produced by monk-painters, they were appointed as gamdong in name only to avoid a political liability. In reality, court painters were ordered to create Buddhist paintings. During their reigns,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summoned the literati painters Jo Yeongseok and Kang Sehwang to serve as gamdong for the production of royal portraits and requested that they paint these portraits as well. Thus, the boundary between the concept of supervision and that of painting occasionally blurred. Supervision did not completely preclude painting, and a gamdong could also serve as a painter. In this light, the historical records in Yongjusa sajeok are not inconsistent with those in Ilseongnok, Suwonbu jiryeong deungnok, and a prayer written by Hwang Deok-sun, which was found inside the canopy in Daeungjeon Hall at Yongjusa Temple. These records provided the same content in different forms as required for their purposes and according to the context. This approach to the Samsaebulhoedo at Yongjusa Temple will lead to a more coherent explanation of dating the painting, analyzing its style, identifying its painter, and interpreting the relevant documents based on empirical grounds and logical consistency.

용주사 <삼세불회도>에 대한 연구는 연대 추정과 양식 분석, 작가 비정, 문헌 해석의 네 가지 핵심 사항이 실증적인 근거와 일관된 논리 아래 모두 일치되도록 정합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의 용주사 <삼세불회도> 연구에서 제기된 19세기 후반 화승 제작설과 1790년에 제작된 원본을 1920년대에 일반화가가 서양화법으로 개채한 것이라는 소론은 실증성과 논리성이 결여되어 성립되기 어렵다. 현존 <삼세불회도>의 축원문(祝願文)은 세자(世子) 책봉을 받지 않은 원자(元子)만 있던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관습대로 의례적인 삼전(三殿) 축원문을 썼다가 이를 주사로 지우고 다시 "주상전하수만세(主上殿下壽萬歲), 자궁저하수만세(慈宮邸下壽萬歲), 왕비전하수만세(王妃殿下壽萬歲), 세자저하수만세(世子邸下壽萬歲)"라는 특별한 내용과 예외적인 순서로 개서(改書)했는데, 이는 조선후기 불화의 축원문 형식과 내용을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정조대 왕실의 전례(典禮)를 면밀히 분석해 볼 때, 현존하는 <삼세불회도>가 1790년의 창건 당시에 그려졌던 원본 진작임을 말해주는 가장 확실한 객관적 근거라고 할 수 있다. 삼세불회도의 형식(形式)과 도상(圖像), 양식(樣式), 미감(美感), 화격(畫格) 등을 18~19세기 불화나 궁중화원 양식과 다각도로 비교분석해 보면 용주사 <삼세불회도>는 1790년경 전후에만 나타나는 특징이 많이 보이기 때문에 축원문(祝願文)에 대한 분석 결과와 일치한다. 특히 18세기 전반까지만 해도 종교적 위상에 따라 존상의 크기가 결정되고 화면 구성도 근하원상(近下遠上)의 고식(古式) 원근법에 따라 관념적, 평면적 조형 위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 <삼세불회도>는 투시법적 원근법의 논리에 따라 구축된 입체적 공간 속에 존상들을 매우 체계적으로 배치한 뒤 서양화(西洋畫)의 음영식(陰影式) 명암법(明暗法)을 적극적으로 구사하며 흰색 하이라이트와 그림자까지 표현함으로써, 마치 삼세불회(三世佛會)의 장엄한 세계가 눈앞에 실제로 펼쳐져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이 투시법적 원근법의 내적 질서와 음영식 명암법의 외적 착시는 골육합체(骨肉合體)처럼 내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흰색 하이라이트만 떼어내서 후대에 개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 결코 아니다. 더구나 이 <삼세불회도> 같은 고도의 서양화법과 높은 화격(畫格)의 창의적 융합은 조선후기 회화사상 김홍도와 이명기, 김득신 같은 정조대의 궁중화원만이 이룩할 수 있는 고도의 양식이자 화격이다. 용주사 주지 등운(等雲)이 창건 이래 용주사에 전해져온 기록을 토대로 『용주사사적(龍珠寺事蹟)』을 정리하며 김홍도가 <삼세불회도>를 그렸다고 기록한 것은 이것이 당시의 역사(歷史)이자 실상이었기 때문이다. 조정의 공식 기록인 『일성록(日省錄)』과 『수원부지령등록(水原府旨令謄錄)』에는 김홍도와 이명기, 김득신이 감동(監董)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이는 의례 화승(畫僧)들이 그려왔던 불화를 관원 신분의 화원에게 그리도록 하는 것이 엄격한 관직 체제나 운영상 부당한 것이기 때문에 정치적 부담을 피하기 위해 명분상 감동으로 발령한 뒤 실제로는 불화를 직접 그리도록 했던 데서 나타난 결과였다. 영정조대의 어진(御眞) 도사 과정에서 감동으로 불러들인 문인화가 조영석(趙榮祏)과 강세황(姜世晃)에게 국왕이 직접 그릴 것을 요구했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감동(監董)'과 '집필(執筆)'은 경우에 따라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개념으로서 '감동'이 '집필'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겸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용주사사적』의 기록은 『일성록』이나 『수원부지령등록』은 물론 황덕순의 「닫집 원문」 기록과도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행간의 의미를 찾아 복합적으로 읽으면 각각의 맥락과 필요에 따라 동일한 내용의 표리를 다르게 기록해 놓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해석할 때 우리는 용주사 <삼세불회도>의 연대 추정과 양식 분석, 작가 비정, 문헌 해석의 네 가지 핵심 사항을 모두 실증적인 근거와 일관된 논리 아래 정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承政院日記
  2. 日省錄
  3. 水原府旨令謄錄
  4. 龍珠寺事蹟
  5. 聖寶文化財硏究院, 韓國의 佛畫, 전 40책, 경남 양산: 聖寶文化財硏究院, 1996-2007.
  6. 국립중앙박물관, 사찰문화재종합조사 朝鮮의 願堂 1 화성 용주사, 佛敎美術硏究 調査報告 第6輯, 2016.
  7. 강우방.김승희, 甘露幀, 藝耕, 1995.
  8. 大韓佛敎曹溪宗 總務院, 불교문화재 도난백서, 조계종출판사, 1999.
  9. 강관식, 용주사 후불탱과 조선후기 궁중회화 - 대웅보전 <삼세여래체탱>의 작가와 시기, 양식 해석의 재검토, 美術史學報 31, 2008.
  10. 강관식, 용주사 <삼세불회도>의 축원문 해석과 제작시기 추정, 美術資料96, 2019.
  11. 강관식, 眞景時代 後期 畫員畫의 視覺的 寫實性, 澗松文華49 眞景時代 人物畫, 1995.
  12. 강영철, 용주사 대웅보전 후불탱화의 연구쟁점과 과제, 조계종 총무원. 용주사 주최, 정조시대 문화예술과 효 문화재학술발표회 발표문, 2007.
  13. 강영철, 조선후기 龍珠寺 佛畫의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0.
  14. 金京燮(文明大), 용주사 三世佛幀의 연구 - 김홍도 作說에 대한 再考, 講座美術史12, 1999.
  15. 金京燮, 龍珠寺 大雄寶殿의 三佛會圖의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6.
  16. 文福仙, 朝鮮後期 靈山會上圖의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史學科 碩士學位論文, 1976.
  17. 吳柱錫, 金弘道의 龍珠寺 <三世如來體幀>과 <七星如來四方七星幀>, 美術資料55, 1995.
  18. 吳柱錫, 檀園 金弘道, 悅話堂, 1998.
  19. 유경희, 佛畫의 奉安과 제작 畫僧, 국립중앙박물관, 사찰문화재종합조사 朝鮮의 願堂 1 화성 용주사, 佛敎美術硏究 調査報告 第6輯, 2016.
  20. 윤서정, 조선시대 三佛會圖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논문, 2016.
  21. 이동주, 김단원이라는 화원, 아세아 1969. 3.
  22. 최순우, 김홍도-풍속과 세태의 증인, 한국의 인간상5, 신구문화사, 1965.
  23. 崔燁, 韓國 近代期 佛畫 硏究, 동국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2.
  24. 최완수, 명찰순례 14; 수원 花山 龍珠寺, 月刊朝鮮, 1989. 7.
  25. 홍윤식, 사찰소장불화조사보고서(1), 문화재관리국문화재연구소, 1989.
  26. 홍윤식, 한국의 불화, 원광대출판국, 1980.
  27. 황규성, 朝鮮時代 三世佛 圖像에 關한 硏究, 미술사학20,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