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문 유형

Search Result 10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Question Analysis based Syntactic Information in Korean Question Answering System (한국어 질의응답시스템에서 구문정보에 기반한 질의분석)

  • 신승은;서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931-93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질의응답시스템에서 정확한 정답추출을 위한 구문 정보에 기반한 질의분석을 제안한다. 질의분석은 세부 정답 유형 결정, 세분화된 키워드 추출을 통해 정확한 정답추출을 목적으로 한다. 술어 유형 정보를 이용하여 대분류 수준의 정답 유형으로 질의분석을 수행하고. 구문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중요 키워드와 일반 키워드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정답 유형 자질 명사를 이용하여 세부 정답 유형을 결정한다. 실험을 통해 세부 정답 유형 결정에서 정확률 59%, 세분화된 키워드 추출에서 정확을 66%를 보였다.

  • PDF

A Program-Plagiarism Checker using Abstract Syntax Tree (구문트리 비고를 통한 프로그램 유형 복제 검사)

  • 김영철;김성근;염세훈;최종명;유재우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0 no.7_8
    • /
    • pp.792-802
    • /
    • 2003
  • Earlier program plagiarism check systems are performed by using simple text, attribute or token string base on match techniques. They have difficulties in checking program styles which have nothing to do with program syntax such as indentation, spacing and comments. This paper introduces a plagiarism check model which compares syntax-trees for the given programs. By using syntax-trees, this system can overcome the weekness of filtering program styles and have advantage of comparing the structure of programs by syntax and semantic analysis. Our study introduces syntactic tree creation, unparsing and similarity check algorithms about C/C++ program plagiarism checking for internet cyber education and estimate plagiarism pattern.

Syntax Process in English Sentence Types : Comparison between Korean-English Bilinguals and Korean Non-bilinguals (이중언어자와 한국 대학생의 문장 유형별 영어 통사처리 특성 조사)

  • Park, Jin-Han;Oh, Chang-Young;Yum, Eun-Young;Chung, Chan-Su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123-127
    • /
    • 1996
  • 영어와 한국어의 통사구조의 차이로 인하여, 이중언어자와 비이중언어자인 한국 대학생의 영어 문장 유형에 따른 통사 처리에 있어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네가지 영어 문장 유형, 수동태, 관계사절, 물주구문, 가정법 구문 등으로 문장 완성 과제를 실험하여 이중언어자와 비이중언어자의 문장완성 시간과 오류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비이중언어자인 한국 대학생은 다른 문장 유형에 비하여 물주구문에서의 통사처리 수행에 있어 이중언어자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부터 이중언어자와 한국 대학생의 영어 문장의 통사 정보처리의 자동화 및 어순효과 정보와 생물 주어(word animacy)구문 단서, 즉 대부분의 주어는 살아있는 사물의 명사로 이루어져 있다는 단서(Gass, l987)의 사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mbiguous adnominal constructions in product documentation (제품 설명서에 나타나는 중의적 명사 수식 구문 연구 - 통제 언어의 관점에서-)

  • Park, Arum;Ji, Eun-Byul;Hong, Munpy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2.10a
    • /
    • pp.23-28
    • /
    • 2012
  • 번역을 지원하는 도구로 자동 번역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자동 번역에 적합하도록 원문을 작성하거나 이미 작성된 원문에 대한 전처리 작업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제품 설명서 작성자가 통제언어 체커를 통해 통제언어 규칙들을 적용하여 원문을 작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그 중간 단계로써 제품 설명서에 나타나는 문제 사항이 번역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제품 설명서에서 자동 번역의 성능을 저해시키는 요소 중 중의적 명사 수식 구문이다. 이러한 명사 수식 구문들은 분석 단계에서 구조적인 모호성을 초래하여 한국어 분석의 정확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번역 품질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우선 제품 설명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동 번역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명사 수식 구문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유형화 하였다. (유형 1) 관형격 명사구 + 명사 병렬 접속, (유형 2) 동사의 관형형이 수식하는 명사구 + 명사 병렬 접속, (유형 3) 관형격 조사 '의' 중복, (유형 4) 병렬 접속어를 잘못 쓴 경우, 각각의 유형에 대해서 한국어 분석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문제 사항에 대해 통제언어 규칙을 제시하였다. 통제언어 규칙에 따라 중의적 명사 수식 구문을 수정한 결과, 한국어 원문의 번역결과보다 한국어 수정문의 번역결과가 작성자의 의도를 더 잘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iscriminator of Similar Documents Using the Syntactic-Semantic Tree Comparator (구문의미트리 비교기를 이용한 유사문서 판별기)

  • Kang, Won-Seo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0
    • /
    • pp.636-646
    • /
    • 2015
  • In information society, the need to detect document duplication and plagiarism is increasing. Many studies have progressed to meet such need,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increasing document duplication detection quality due to technological problem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cently, some studies tried to increase the quality by applying syntatic-semantic analysis technique. But, the studies have the problem comparing syntactic-semantic trees. This paper develops a syntactic-semantic tree comparator, designs and implements a discriminator of similar documents using the comparator. To evaluate the system, we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discrimination and system discrimination with the comparator.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proposed discrimination has good performance. We need to define the document type and improve the processing technique appropriate for each type.

Korean Spell Correction Using Collocation of Morphemes (형태소간의 의존 관계에 따른 오류 유형 추정 함수를 이용한 한국어 철자 오류 교정)

  • Sim, Chul-Min;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493-498
    • /
    • 1994
  • 기존 철자 검사/교정기들은 한 어절을 구성하는 형태소들의 품사 정도만을 이용하고 있다. 때문에 철자 검사나 교정의 정확도 면에서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구문적 연관 관계 및 구문 내에 존재하는 단어들 간의 의미적 연관관계 등을 바탕으로 오류 유형을 추정하는 오류 유형 추정 함수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철자 교정기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오류 유형 추정 함수를 이용한 철자 검사/교정기는 한 어절에 국한되었던 철자 검사/교정의 범위를 여러 어절로 확장하고자 하는 시도의 시발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문 검사 및 의미 검사를 수행하는 문체 검사기의 원형으로서 그 의의를 가진다.

  • PDF

The Early Wittgenstein on the Theory of Types (전기 비트겐슈타인과 유형 이론)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21 no.1
    • /
    • pp.1-37
    • /
    • 2018
  • As is well known, Wittgenstein criticizes Russell's theory of types explicitly in the Tractatus. What, then, is the point of Wittgenstein'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I will consider the theory of types on its philosophical aspect and its logical aspect. Roughly speaking, in the Tractatus Wittgenstein's logical syntax is the alternative of Russell's theory of types. Logical syntax is the sign rules, in particular, formation rules of notation of the Tractatus. Wittgenstein's distinction of saying-showing is the most fundamental ground of logical syntax. Wittgenstein makes a step forward with hi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to the view that logical grammar is arbitrary and a priori. Hi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is after all the challenge against Frege-Russell's conception of logic. Logic is not concerned with general truth or features of the world. Tautologies which consist of logic say nothing.

Voice Calculator using LR Parsing Technique (LR 구문분석 기법을 이용한 음성 계산기)

  • 유형근;이형준;이강성;김순협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6
    • /
    • pp.70-76
    • /
    • 1993
  • 본 논문은 음성만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dam성 계산기 구현을 위한 기술에 관한 연구이다. 일정한 형식을 갖는 언어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문을 언어 문법적 규칙을 기초로 해석하는 기능은 단독어 인식에서 문장인식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음성 계산기에 HMM과 LR 구문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입력된 문장을 분석하고 잘못 인식된 단어를 문장에 맞도록 하였다. 구문분석하는 중에 수식의 의미도 해석하여 계산 결과를 출력해 내도록 하였다. 구문 분석을 사용하지 않은 방법에 비해서 잘못 인식할 가능성을 크게 줄였다.

  • PDF

A Study of Disfluency Processing for Dependency Parsing of Spoken (구어 의존 구문 분석을 위한 비유창성 처리 연구)

  • Park, Seokwon;Choe, Hyonsu;Han, Jiyoon;Oh, Taehwan;Ahn, Euijeong;Kim, Hansae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144-148
    • /
    • 2019
  • 비유창성(disfluency)은 문어와 같이 정연한 구조로 말하지 못하는 현상 전반을 지칭한다. 이는 구어에서 보편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구어 의존 구문 분석의 난이도를 상향시키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유창성 요소 유형을 담화 표지, 수정 표현, 반복 표현, 삽입 표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유형별 비유창성 요소를 실제 말뭉치에서 어떻게 구문 주석할 것인지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구어 데이터 처리 방식은 대화시스템 등 구어를 처리해야 하는 도메인에서의 자연언어이해 성능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 PDF

Developing Knowledge-Based Korean Syntactic Parser In terms of Mobile Configuration and Marker Theory (모빌구조와 표지 개념에 의한 지식기반적 한국어 구문분석기 개발)

  • Woo, Soon-J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184-190
    • /
    • 2003
  • 이 글은 활용 개념과 수형도를 근간으로 기술되어 온 한국어 문법 모델에 대한 대안으로 표지 개념과 모빌 구조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한국어 구문분석기의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조사와 어미를 독자적인 토사 단위인 표지로 처리함으로써 국부 구조의 통사 범주와 문법적 기능을 명확하고 일관되게 구분할 수 있으며, 모빌 구조는 한국어의(상대적) 자유 어순 현상을 효과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 이에 의거한 문법 모형은 언어학적 지식과 구문분석 엔진 사이의 독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향후 구문분석기의 성능 개선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구문분석기는 언어학자에 의해 구축된 지식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지식기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동사의 하위범주화 정보, 첨어 유형정보, 의미정보가 핵심적인 언어 지식으로 이용된다. 모빌 구조에 의한 구문분석은 국부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구문적 중의성을 최소화하며, 의미정보는 주어진 술어의 논항적 자격을 검증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여 구문적 중의성을 감소시키고 정확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