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멍응애과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한반도 구멍응애과 (진드기목, 중기문아목)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the Family Zerconidae(Acari.Mesostigmata) in the Korean Peninsula)

  • Lim, Jae-Won;Lee, Won-K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2호
    • /
    • pp.191-205
    • /
    • 2001
  • 1994년 4월 2000년 5월까지 전국에서 구멍응애과 1.020개체를 채집하였으며 분류와 동정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8종으로 종에 대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1. Echinozercon orientalis 가시구멍응애 2. Eurozercon pacificus 대양구멍응애(신칭) 3. Kaikiozercon mamillosus 가슴구멍응애(신칭) 4. Kaikiozercon peregrinus 청계구멍응애(신칭) 5. Koreozercon bacatus 진주구멍응애(신칭) 6. Mesozercon coeranus 고구려구멍응애 7. Mesozercon plumatus 솜털구멍응애 8. Zercon szeptyckii Blaszak, 1976 민구멍응애(신칭) 이중 Zercon szeptyckii는 23개 지역에서 600개체 이상을 채집하여 한반도에서 가장 흔히 분포하고, Mesozercon plumatus를 제외한 7종은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각 종에 대한 지리적 분포와 분류상의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 PDF

한국산 구멍응애과(중기문목)의 분류와 사육 (A Taxonomic Study on the family Zerconidae (Acari : Mesostigmata) in the Korea)

  • 이원구;임재원;이인용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7권1_2호
    • /
    • pp.7-16
    • /
    • 2002
  • 2002년 4월부터 9월까지 남한의 8개 지역으로부터 다음 과 같은 8종의 구멍응애를 채집, 사육하여 측정하고 북한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가시구멍응애 Echinozercon orientalis Blaszak, 1975 대양궝응애 Eurozercon pacificus Halaskova, 1979 가슴구멍응애 Kaikiozercon mamillosus Halaskova, 1979 청계구멍응애 Kaikiozercon peregrinus Halaskova, 1979 진주구멍응애 Koreozercon bacatus Halaskova, 1979 고구려구멍응애 Mesozercon coreanus Blaszak, 1975 솜털구멍응애 Mesozercon plumatus (Aoki, 1966) 민구멍응애 Zercon szeptyckii Blaszak, 1976 그 중 2종(대양구멍응애, 민구멍응애)은 북한의 것과 같고, 3종(가시구멍응애, 진주구멍응애, 고구려구멍응애)은 크기가 작으며 경미한 변이를 보이고 나머지 3종(가슴구멍응애, 청계구멍응애, 솜털구멍응애)은 크기가 작고 현저한 변이를 보였다 변이가 가장 심한 강모는 전배판의 아측열모 r3-r6과 후배판 강모의 대부분이다. 북한의 표본보다 강모의 길이가 짧으나 솜털구멍응애는 강모의 길이가 북한의 것보다 길었다. 그러나 종 내의 변이로 여겨진다.

  • PDF

오이에 피해를 주는 오이긴털가루응애(신칭), Tyrophagus neiswanderi 보고 (Report on Tyrophagus neiswanderi (Acari: Acaridae) as a Pest of Greenhouse Cucumber in Korea)

  • 김형환;김동환;양창열;강택준;정재아;이종호;전성욱;송진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91-495
    • /
    • 2014
  • 무농약 시설재배 오이에서 잎, 꽃 및 과실을 가해하던 응애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오이긴털가루응애(Tyrophagus neiswanderi)로 동정되었다. 오이긴털가루응애는 분류학상 응애목(Acarina) 가루응애과(Astigmata)에 속하며 형태적으로는 유백색의 계란형을 띄고 체장은 $490.1{\mu}m$, 체폭은 $288.1{\mu}m$의 매우 작은 응애이다. 오이긴털가루응애는 잎, 꽃, 과실에 모두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피해증상은 정식 초기 유묘의 경우 신초가 수축되면서 연노란색으로 탈색이 되고, 심하면 신초가 멎는 피해가 나타난다. 또한 오이가 생육을 하는 과정에서 잎이 피해를 받으면 처음에는 오이잎에 흰색의 반점이 나타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반점에 구멍이 나고 찢어진다. 꽃에서도 흰색 반점과 찢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과실에서는 어린 과실일 때 피해를 받으면 과실의 비대가 저해되거나 기형과가 나타나며, 과실이 비대하더라도 코르크증상으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