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매의사 결정과정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s of Marketing Channel in Consumer Decision-making Process (소비자 구매행동 단계별 유통점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 신경석;김용우;양형근;박성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v.4 no.2
    • /
    • pp.79-103
    • /
    • 2002
  • 기존의 유통연구는 주로 유통점 위주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들이 대부분으로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 속에서 유통점들이 어떠한 상대적 지위와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한 실증적인 연구는 충분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특성들을 갖고 있는 유통점들이 소비자 구매의사결정과정 내에서도 서로 다론 위치와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는 입장에서 출발하였다. 즉, 소비자들이 자신의 구매의사결정단계마다 각 유통점들을 서로 다른 지위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각한다는 것이다. 실증연구 결과, 가전제품 유통점의 경우 실제로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이라는 지각 속에 각 유통점들의 상대적인 위치와 역할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각 유통점별로 지각위험의 일종인 점포장애(store barriers)가 다르게 나타났고, 점포장애가 점포선호도, 방문빈도, 구매빈도와 일정부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통점으로서는 해당 점포장애를 줄이는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상표고려군(개수)에 있어서는 구매의사결정의 첫단계인 문제인식단계와 최종구매단계 사이에 차이가 없어 제조업체로서는 가전제품의 문제인식단계의 유통점에 제품을 유통시켜 소비자들의 상표고려군에 자사의 상표를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Eliciting Mental Models for Mobile Device Purchase Decision Making (모바일 기기 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멘탈 모델의 추출)

  • Hwang, Sin-Woong;Yoon, Yong-Sik;Sohn, Young-W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1
    • /
    • pp.23-36
    • /
    • 2007
  • This research focused on eliciting and analyzing mental models of mobile device purchasing consumers who are distinguished by their familiarity with information technology. Mental model elicitation processes proceeded by critical decision method. And Pathfinder algorithm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mental models. The results show that IT-familiar consumers have mental models of which elements are more organized and distinctive while IT-unfamiliar consumers have vague and socially affected mental models.

  • PDF

A study on the Shipper's Decision Making Process of Logistics Service (화주의 물류서비스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Park, Changki;Kwak, Kyu-Suk;Nam, Ki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79-80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화주가 물류서비스를 구매할시, 어떠한 과정을 걸쳐서 구매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지 또한 신규구매와 재구매와 같이 구매 상황이 다를 경우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하고 영향을 받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화주기업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검증 하였다.

  • PDF

Effects of time compression on auditory working memory and decision making process in normal hearing subjects (시간 압축이 청각 작업기억과 의사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 Lim, Dukhwa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1 no.1
    • /
    • pp.64-69
    • /
    • 2022
  • Background music is presented simultaneously with target messages. The main content should be kept intact for some time to aid decision making process. The maintenance of this information requires auditory working memory. The temporal compression of background music may often adopt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presentation time. In this study, auditory working memory and decision making proc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emporal compression ratios of the background music. A total of 37 subjects of early twenties joined the study. Selected products were categorized based on eigen value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Four presentation conditions were cases with no background music, background music with no compression, background music with low compression, and background music high compression. Matched reponses were analyzed through repeated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involvement product required more working memory resources. However, the increased level of usage did not always lead to the corresponding changes in decision making process. This approach may be useful in analyzing the role of time compression and working memory in consumer behaviors.

Housewives' Perception of Time Pressure and Their Consumer Behavior: Purchase Decision-Making on Time-Saving Durables (주부의 시간압박감에 따른 소비자행동 - 시간절약형 내구재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을 중심으로 -)

  • 김기옥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229-238
    • /
    • 1994
  • 본 연구는 시간자원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현대사회에서 주부가 지각하는 시간압박 감이 점차 높아질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간압박감이 소비자행동에 어떻게 작용하고 그로 인한 문제점은 무엇인지 밝혀보려는 의도에서 수행되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주부 546명을 대상으로 시간압박지각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집단을 분류된 소비자 집단 사이에 인구.사회 경제적특성과 시간 절약형 내구제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간 압박지각 정도에 따라 고.중.저의 세집단으로 구분되었는데 중간집단에 가장 많은 응답자가 포함되었고 높게 지각하는 집단에 가장 적은 응답자가 포함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취업주부의 18.7%가 시간압박을 낮게 지각하는 집단에, 그리고 전업주부의 6.8%가 시간압박을 높게 지각하는 집단에 분류되어 취업주부가 시간압박을 높게 지각하는 전형적인 소비자집단이 아닐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집단별 인구.사회경제적 특성과 시간절약형내구재의 구매의사결정과정의 차이도 부분적으로 밝혀졌으나, 예상과 달리 시간압박감을 높게 지각하는 집단의 시간절약형내구재의 소유와 사용이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 PDF

The Internet of Things(IoT) applications and value creation in the retail industry: focusing on consumer decision-making stages (리테일 산업에서의 구매단계별 사물인터넷 활용과 가치 창출)

  • Park, In-hyoung;Jeong, So W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
    • /
    • pp.187-198
    • /
    • 2021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IoT-based products and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and analyze the role and consumption value of each service-generated from the products and services. Their features and generated consumption value have been identified The decision-making process was divided into based on three stages (pre-purchase, purchase, and post-purchase) stages, and IoT services were classified in stages. In the pre-purchase stage, the IoT service provides information and alternatives, and is used for interaction and automatic payment systems in the purchasing stage. In the post-purchase stage, repetitive purchases are encouraged and after-sale services are provided. Throughout the decision-making process, smart retai application and servicel provides epistemic and functional value. In addition, it provides conditional and social value in the pre-purchase stage, and conditional value in the post-purchase stage. This study aims to provideprovides marketers and retailers an insight advice for the enhanced satisfaction of consumers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and the development of smart retail by examining the consumer-centered consumption value.

시각적 정보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객 참여와 프랜차이즈 가맹의 조절된 매개 모형

  • Sin, Ga-Yeong;Yu, Byeong-J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167-172
    • /
    • 2021
  • 구매 의사 결정 단계에서 이미지나 동영상의 영향력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각적 정보가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과 이에 따른 기업, 특히, 오프라인 기업의 성과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O2O 플랫폼에 입점한 10만 개 식당의 실제 예약 매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자와 사업자가 O2O 플랫폼에 업로드한 사진 등의 시각적 정보가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메커니즘을 이중 처리 이론 기반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저장하기, 공유, 리뷰 등 고객 참여와 프랜차이즈 가맹의 시각적 정보와 성과 간 관계에 대한 조절된 매개 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이중 처리 이론 기반으로 시각적 정보가 구매 의사 결정 과정에서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뿐만 아니라 실제 예약 매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직접적이고, 수익적인 측면의 기업 성과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오프라인 소매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채널 전략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Consumer Buying Process in Ubiquitous computing (유비쿼터스 환경이 소비자 구매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Hong-Il;Park, Cheol;Lee, Min-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333-351
    • /
    • 2003
  • 90년대 말부터 새로운 지식정보국가의 패러다임으로 세계 각국은 ‘모바일, 브로드밴드, 극소형 컴퓨터, IPv6’의 기술이 창출해내는 컴퓨팅의 실체를 유비쿼터스 컴퓨팅으로 파악하고 각 국의 정부, 기업, 연구소들이 주도권을 잡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과거 30여년 동안 국내 기간 시설로 잘 구축된 유. 무선 통신환경은 유비쿼터스 정보통신이 바로 미래의 국가적 운영을 결정 짓는 초석이 될 것이다. 그러나, 유비쿼터스시대의 구현은 기술적인 발전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닌 기초, 기반, 요소, 응용 서비스들이 효율적인 구축이 되어야 가능하다. 현째 까지는 IT 기술의 발전에 관한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었지만, 시장의 수용과 관련된 사업적 상용화에 대한 연구들은 다소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 기반과 서비스 IT 기술 개발 분류와는 구별되는 마케팅 /고객 관점에서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재 분류를 시도하였다. 즉, 유비쿼터스 네크워킹 환경에서의 마케팅 환경변화의 단계를 설정하였고, 그에 대한 가상 시나리오 및 예측을 제안했다. 또한, 이렇게 분류한 유비쿼터스 환경이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단계 (구매 전, 정보수집, 대안평가, 구매결정, 구매 후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있는지에 대한 분석과 사례를 제시하였다.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매의사결정단계에서 각 단계의 축소/압축의 형태에 대해서 집중 조명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기업의 마케팅 및 고객관리의 변화와 대응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Study on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Search Process in term of Attributes of Apps in Appstore and Buyer's Innovativeness (앱스토어 구매자의 혁신성과 앱의 속성에 따른 정보탐색 성과에 관한 연구)

  • Baek, Sung-Wook;Ahn, Hyo-Young;Lee, Zoon-Ky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3 no.4
    • /
    • pp.103-119
    • /
    • 2012
  • In this paper, we conducted for information search process of users, who have experience to buy paid-application in Appstore, to find out difference of information searching efforts and information sources, reliance on the information in term of attributes of Apps and buyes' innovativenss. As a result, Innovative buyers take a effort to search various information source but they get help buying decision-making supports by own their efforts like searching in category. On the other hand, non-Innovative buyers who search informtion less than Innovative buyers, get information like recommendation from friend and Apps, then they keep those information help buying decision-making supports highly. Besides buyers of Utility Apps search on objective information sources mainly, but those sources have influence on buying decision-making supports. On the other side buyers of Enjoyment Apps consider reliance on the information more than information searching efforts to buying decision-making supports as they get information source like popularity. This research suggests operators of Appstore and app developers how to promote their Apps to users.

A Study on the Theoretical Approach of Purchase and Postpurchase Behavior in Real Estate Marketing (부동산마케팅에서 구매 및 구매 후 행동에 대한 연구)

  • Lee, Eiy-Joung;Cho, Kwang-Hae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5 no.4
    • /
    • pp.457-463
    • /
    • 2010
  • In this study I hope to answer the questions, "In real estate marketing, what are the steps on Purchase and Postpurchase Behavior in Real Estate Market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uggest the implications as follows. As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of consumer in real estate marketing, purchase and postpurchase behavior are specifically proposed. They will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progress of understanding on consumer behavior in real estate. And this study enlarges general marketing to real estate marketing by analyzing specific purchase and postpurchase behavior in real e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