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매만족도

검색결과 508건 처리시간 0.028초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고객이 인지하는 지각된 가치, 가격, 혁신 특성이 구매 태도 및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price and innovation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wearable healthcare device customers on purchasing attitude and customer satisfaction)

  • 정길화;서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525-536
    • /
    • 2021
  • 본 연구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사용자의 지각된 가치(혁신적 가치, 실용적 가치, 상징적 가치)와 혁신 특성(혁신 저항, 가시성)이 구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가격, 구매 태도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현재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는 실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01부를 SPSS 25와 SmartPLS 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가치 중 혁신적 가치, 실용적 가치는 사용자의 구매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상징적 가치는 사용자의 구매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특성 중 혁신 저항은 사용자의 구매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특성 중 가시성은 사용자의 구매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가격은 사용자의 구매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지각된 가격과 구매 태도는 사용자의 고객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SNS 기능적 속성이 주얼리 제품 및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NS's Characteristic on Attitude Formation toward Jewelry Product and Jewelry Online Shopping Mall)

  • 차진경;진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741-75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SNS의 기능적 속성이 주얼리 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의 만족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주얼리 온라인 쇼핑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기존의 문헌연구를 통해 SNS의 기능적 속성 중 4가지가 대표성을 가지고 판단되어 다음과 같이 기능적 속성 4가지(맥락성, 대응성,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성)를 선정하였다. 주얼리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317부가 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보면, SNS의 기능적 속성 요소인 상호작용성을 제외한 다른 요인들은 주얼리 제품 구매자 만족도와 구전의도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얼리 제품 구매자들은 SNS를 다른 사람과 다른 세계를 연결해 주는 부드러운 이미지를 부여할 때 주얼리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고 구전의도에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상호작용성은 주얼리 제품 구매자의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 역시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소비자 구전의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전의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 역시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모바일 소셜 게임 기반으로 유료아이템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게임특성 및 개인특성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rchasing Intention of Paid Items in Mobile Social Game-Focusing on gam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 조용비;경병표;이동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385-393
    • /
    • 2020
  • 본 연구는 모바일 소셜 게임(Mobile Social Network Game, MSNG) 중의 유료아이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결정하기 위한 모델을 게임특성과 개인특성을 상호작용성, 접근성, 재미성, 조작성, 개인혁신성, 도전감 총 6 개 요인으로 추출하여 인지된 플로우(Flow)와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구매의도를 종속변수로 설계하여 중국시장을 중심으로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또한 Amos를 이용하여 구매의도와 목표 영향 요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연구결과를 보면 MSNG의 게임특성(상호작용, 접근성, 재미성, 조작성)요인이 유료아이템의 플로우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SNG의 소비자특성(개인혁신성, 도전감)요인이 유료아이템의 플로우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MSNG 유료아이템의 플로우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SNG 유료아이템의 플로우와 만족도가 구매의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연구에서는 연구 표본의 확대를 통해 한·중 MSNG를 비교하여 사회적 및 문화적 특성들을 도입하며 비교 연구를 통해 중국 게임 시장에 유익한 점을 도출하여 중국 게임 회사들에게 우수한 마케팅 전략을 제공할 것이다.

모바일 패션커머스의 구매여정별 개인화 추천서비스 사용자 평가와 구매의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user evaluation, purcha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s by purchase journey in mobile fashion commerce)

  • 강선영;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3-70
    • /
    • 2022
  • 패션은 개인 취향이 구매의 첫 번째 기준으로 작용하는 분야인 만큼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가 일찍이 자리를 잡았다. 특히 모바일 패션 커머스에서 구매전환을 높이는 중요한 전략으로 꼽히며 더욱 정교화 되고있다. 이로 인해 개인화 추천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관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지만, 세부적인 소비자의 구매여정에 따라 확인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개인화 추천서비스의 사용자 평가가 구매여정별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구매의도와 만족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다양성, 신뢰성, 편의성은 0.001%수준, 유용성은 0.05% 수준에서 구매여정 단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만족도는 인지 및 흥미단계에서 새로움과 유용성이, 검색단계에서 신뢰성과 다양성이 높게 나타나는 등 각 단계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구매의도는 구매 후 단계를 제외하고 유용성과 신뢰성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개인화 추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평가에 차이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구매 여정에 따른 개인화 추천서비스 사용자 평가의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으며, 모바일 패션커머스의 개인화 추천서비스 전략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실무적 의의를 지닌다. 추후 개선안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더욱 고도화된 개인화 추천서비스 전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외식 상품의 서비스 품질이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 (An Evaluation on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Food Products on Tourist Satisfaction)

  • 우문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8-269
    • /
    • 2010
  • 본 연구는 외식 상품의 서비스 품질이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서 외식 상품의 서비스 품질은 유형성, 쾌적성, 신뢰성, 친절성, 보증성 요인으로 측정하였고, 외식 상품의 관광 만족도는 기대 효과, 구전 의향, 재구매 의도 요인으로 측정하였다. 외식 상품의 서비스 품질과 관광 만족도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체 120개의 조사 표본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외식 상품의 서비스 품질 특성에 기초하여 서비스 품질 유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외식 상품의 서비스 품질은 구매 행동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식 상품의 서비스 품질 유형과 구매 행동 만족도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곱모형에 의한 외식업 서비스품질 5차원이 고객만족도, 재방문의도 및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DINESERV's 5-dimensions by multiply-model on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customer loyalty)

  • 조윤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2호
    • /
    • pp.273-281
    • /
    • 2009
  • 갭모형은 구매전 기대와 구매후 성과 사이의 차이가 고객만족도와 같은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을 이해하려는 기대불일치 패러다임에 근거한 것이다. 이러한 패러다임과는 달리 Bhote는 갭모형 대신에 곱모형을 제안하였다. 곱모형은 구매전 중요도와 구매후 성과를 곱하여 구하는 고객만족도지수에 근거한 것이다. 본 연구는 Bhote의 곱모형을 외식업에 적용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곱모형에 의한 외식업의 서비스품질의 5차원이 고객만족도, 재방문의도, 및 고객애호도를 설명하는 모형의 독립변수로 적합한지의 여부를 검정하는 것이다. 모형검정을 위해 회귀분석의 F-값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곱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gnitive on Repurchase Intension of New E-Commerce System: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Quasi Social Relations

  • Ying, Y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89-196
    • /
    • 2020
  • 2020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은 다시 한번 중국 경제의 구조 전환을 촉진했고 중국의 "인터넷+"업계의 경제 발전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패션 네트워크+플랫폼 마케팅"의 새로운 온라인 마케팅 모델이 주목받고 있다. 본문은 인지 모형에 기초하여 인지, 감정, 그리고 행위의 세 단계로부터 왕홍 경제 환경에서 소비자의 중복 구매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438부의 설문지는 SPSS V 22.0와 AMOS V 22.0를 사용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에서 가정된 검증은 신형 전자상 거래 사업자에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대한 흡인력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실증 분석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경제 환경에서 소비자의 중복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자상 거래의 서비스 품질 중 전문성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된 상호작용성이 소비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외에 모든 요소가 사회적 관계와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와 소비자 만족도가 중복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전자상거래가 진행될 때에는 인터넷 판매 전문 능력과 가치관, 제품 특징의 적절성을 중시해야 한다.

전기 렌터카 이용 만족도가 전기차 구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tisfaction with the EV Rent-a-car on the Purchase of the EV)

  • 고영규;김수완;손상훈;임철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93-208
    • /
    • 2022
  • 본 연구는 전기차를 렌트한 이용자의 만족도가 전기차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전기 렌터카 이용 후 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요인으로 성별, 연령, 정숙성 및 승차감, 충전 인프라가 확인되었으며, 연령, 정숙성 및 승차감, 충전 인프라 요인은 전기 렌터카 이용 후 만족도를 통해 전기차 구매 관심 및 의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차별성은 전기차 체험을 통한 전기차 보급 견인의 주요 수단으로서 전기 렌터카에 초점을 맞추어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했다는 측면과 전기 렌터카를 통해 전기차를 처음 경험한 이용자들을 분석 대상으로 한정했다는 측면을 들 수 있다.

홈쇼핑으로 의류제품을 구매한 여성 소비자의 특성과 구매실태 및 만족도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urchase Practices and Satisfaction Degree of Women Consumers Purchased Apparel Products via Home Shopping)

  • 손부현;최종명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97-508
    • /
    • 200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ctivate the horne shopping by providing the basic data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urchase practices and satisfaction degree of women consumers. The subjects were 328 women consumers residing in Cheongju who had purchased apparel products through home shopp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using SP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purchasing formal wears, casual wear and furnishing textile products through home shopping, respondents considered the design and fiber content seriously, and when purchasing underwear, the fiber content and size. 2) When purchasing apparel products, most of respondents confirmed apparel labels, and married women confirmed more than single women did. Among apparel labels, fiber content, care symbol, and size were the items that respondents considered most. 3) The single women managed internet and knew the value of internet in searching information or purchasing apparel products better than married ones. 4) When purchasing apparel products via home shopping, respondents used TV, catalog, and internet in order. 5) Degree of satisfaction for clothing purchased via home shopping was in ordinary level, high for furnishing textile products and low for formal wears.

  • PDF

소셜커머스에서 패션제품 구매시 이용동기에 따른 구매만족도와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ding to Usage Motivation whe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in Social Commerce)

  • 이현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96-60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ffecting consumer's usage motivation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sion whe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in social commerce. The data were collected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239 male and female who living in Busan with experience in social commerce purchasing fashion products. Using SPSS 20.0 and AMOS 20.0 package, Cronbach's ${\alpha}$, a confirmotory factor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Hedonic, economical efficiency and interaction without information provide subjective norm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urchase satisfaction. And aforementioned subjective norms significantly influenced repurchase intension, too. The purchase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repurchase intension. Therefore, social commerce sellers of fashion products ought to offer variety price benift and promotion to raise the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sion. To offer variety price benift, they should respond sensitively to the price set by comparing prices with other sellers. And promotion to raise the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sion need to consider such variety of missions, discount coupons or event and mileage. In addition, they should develop customer service system for interaction with customer and connect to the repurchase increases the purchass satisfaction through faster customer response to the product information or sales,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