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동전류

Search Result 1,184, Processing Time 0.06 seconds

Spike Current Control Circuit for Two-stage Low Frequency Square wave Electric Ballast with Zero-Voltage Switching (ZVS를 이용한 2단 저주파 구형파 전자식 안정기의 스파이크 전류 제어)

  • Jung, Woo-Jin;Yoo, Chang-Gyu;Lee, Woo-Cheo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9-181
    • /
    • 2009
  • 고압 방전 램프는 점등 후부터 정상상태에 이르기까지 방전관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이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복잡한 동작 특성으로 모델링이 어렵다. 이러한 특성은 램프를 구동하는 안정기의 설계에 어려움이 따른다. 램프의 구동에는 초기 점화 시 높은 점화용 전압 펄스를 필요로 한다. 점화 후에 정상상태에 다다르면 램프 전극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 교류로 구동되어야 한다. 하지만 램프를 교류로 구동하게 되면 음향 공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음향 공진 현상은 램프 구동 전류의 맥동성분이 큰 경우에도 발생을 할 수 있으므로 구동 전류의 맥동 성분의 크기는 최소화 돼야 한다. 램프의 수명시간을 길게 하려면, 안정기는 램프를 정격전력으로 구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안정기에서는 정전력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램프 전류의 극성이 변화할 때, 램프 전류는 spike전류와 중첩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spike 전류를 저주파구형파 램프 전류의 포락범위 안에 유지하고, 고주파 스위칭시손실을 줄이기 위해 소프트 스위칭 기법을 이용한 회로 설계를 제안했다. 제안된 방법은 시뮬레이션 및 이론적 수식적 방법으로 검증 했다.

  • PDF

Influences of Operation Frequency and Excitation Current on Output Signal of Orthogonal Fluxgate Sensor Fabricated with an Amorphous Wire (아몰퍼스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한 직교 플럭스게이트 센서의 출력에 미치는 구동 주파수와 여자 전류의 영향)

  • Shin, Kwang-Ho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19 no.1
    • /
    • pp.17-21
    • /
    • 2009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at the excitation current and operation frequency dependences of the output properties of the orthogonal fluxgate sensor which was fabricated with a Co base amorphous wire and a pick-up coil. The output signal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e of the excitation current below 0.3 A, and decreased with increase of the excitation current over 0.6 A. It was also found that the output increased sensitively with increase of operation frequency below 1.3MHz. The output was 3.8 V at the frequency of 1.3MHz while 1.32 V at 1MHz.

Design of 2.5 Gbps CMOS LD driver (2.5 Gbps CMOS LD 구동기 설계)

  • Kim Kyung-Min;Choi Jin-Ho;Choi Young-Wan;Jo Won-Ji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37-4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0.35{\mu}m$ CMOS공정을 이용하여 2.5 Gbps로 동작하는 LD(Laser Diode) 구동기를 설계하였다.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레이저 다이오드(LD)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LD 구동기가 필요하게 되며, LD 구동기는 크게 LD 문턱전류 이상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바이어스부와 바이어스 전류를 기반으로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로 나뉘어 진다. 설계한 LD 구동기는 LD의 등가회로를 이용하여 모의실험 과정을 거쳤으며, MOSFET의 GATE단에 안정된 입력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안정된 바이어스 전류의 공급을 꾀하였다. 디자인된 LD 구동기는 11 mA 정도의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여 주었으며, 4 mA 정도의 변조전류를 공급한다.

  • PDF

Power control of high-speed single-phase BLDC motor (초고속 단상 영구자석 전동기의 전력 제어 방법)

  • Lee, Wook-Jin;Jung, Bum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143-14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단상 영구자석 전동기를 초고속으로 구동하면서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단상 영구자석 전동기의 제어는 전류 센서 및 홀 위치 센서를 기반으로 전류 제어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초고속 구동에서 위치 측정의 정밀도는 떨어지게 되고, 평균 전류의 측정 또한 어렵게 된다. 또한, 가정용 단상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전류 고조파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PFC회로의 추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홀 센서를 사용하여 위치를 추정하고, 전류 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전류 고조파를 억제할 수 있는 초고속 구동 방법을 제안한다.

  • PDF

High Efficient and Cost Effective Single Energy Recovery Sustaining Driver with Split Plasma Display Panel (AC-PDP를 위한 고성능 및 저가형 패널분할 단일 에너지 회수 서스테인 구동회로)

  • Choi Seong-Wook;Moon Gun-Woo;Park Jung-Pil;Jung Nam-S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6.06a
    • /
    • pp.390-392
    • /
    • 2006
  • 단일 서스테인 구동회로서 패널을 수평으로 이등 분할하고 직렬 연결하여 구동회로의 전류 스트레스를 저감하는 새로운 단일 에너지 회수 서스테인 구동회로를 제안한다. 기존의 단일 서스테인 구동회로는 +Vs 및 -Vs의 양극성 전원을 사용함에 따라 기존 구동회로에 비해 전류 스트레스는 그대로이면서 스위치 전압 스트레스가 두 배가 되어 회로 손실 및 발열이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하는 패널 분할 직렬 연결 단일 에너지 회수 서스테인 구동회로는 패널을 수평으로 이등 분할하고 하프 브리지 인버터를 각각 연결하여 구동 회로의 가스 방전 전류 및 패널 캐패시터의 변위 전류를 기존의 절반으로 줄여 스위치들의 전류 스트레스를 저감하게 된다. 또한 에너지 회수 회로는 능동소자로서 단 하나의 스위치와 단하나의 다이오드만을 사용하므로 그 구조가 단순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한다.

  • PDF

Current Limit Control for a Four-quadrant Operation of SRM Drive (SRM의 4상한 구동을 위한 전류제한 방식)

  • 안진우;강유정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8 no.3
    • /
    • pp.285-291
    • /
    • 2003
  • Switched reluctance machine has much attention as a traction drive because of high efficiency, high power and DC series torque characteristics. But the motor has to have a regenerative mode when it is adopted in electric vehicle and current divergence during the regeneration makes difficulties in the control. This paper proposes a reference current limitation strategy for a stable regeneration based on simulations and experimented tests. The motor is operated with conventional current limit and switching angle control method in motoring mode. Simulations and experiments are excu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Experimental Performance of Current-Controlled Driving Method for AC PDP (AC PDP를 위한 전류제어 구동 방식의 특성)

  • Kim, Jun-Yub;Lim, Jong-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11a
    • /
    • pp.43-45
    • /
    • 2002
  • 본 논문은 유지방전 구간에서 저전압, 고효율로 AC PDP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제어 구동방식을 소개하고 이 방식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소개한다. 본 구동방식은 기존 Weber의 에너지 회수회로의 구조를 개선한 구조로 전원을 패널에 직접 인가 하지 않고 외부의 충전 커패시터에 충전을 한 후 LC공진을 사용 하여 간접적으로 패널을 구동함으로 기존 구동방식 보다 낮은 전압으로 AC PDP를 구동 시킬 수 있으며, 패널 내에 흐르는 방전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방전에 사용되는 소비 전력을 줄이고 발광 효율 또한 향상 시킬 수 있다. 이 구동 방식을 사용한 실험결과 146V의 낮은 전압으로 4인치 패널을 안정되게 구동 시킬 수 있었으며 발광 효율은 1.33 lm/W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Multi-channel Current Balancing Single Swith LED driver for 3D TV (3D TV를 위한 다채널 전류평형 단일스위치 LED 구동회로)

  • Hwang, Sang-Soo;Kyun, Ryu Dong;Choi, Heung-Kyun;Kim, Hugh;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347-34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3D TV를 위한 다채널 전류평형 단일스위치 LED 구동회로를 제안한다. 제안된 구동회로는 각각의 LED 채널의 정전류 제어를 위해 별도의 전력단을 사용하는 대신에 2차 측에 단 1개의 switch를 추가하여 하나의 채널 전류를 정전류 제어하고 나머지 다른 채널의 전류를 캐패시터의 성질을 이용한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모든 채널 전류의 정전류 제어 및 전류평형이 가능한 회로이다. 추가된 switch는 ZCS(Zero Current Switching) 동작하므로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하여 고효율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 LED 채널의 정전류 제어를 별도의 LED Driver단을 사용하지 않고 캐패시터의 성질을 이용하여 구현하기 때문에 소형화 및 저가격화가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회로의 우수성과 이론적 분석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46" LED 3D-TV 구동회로를 위한 시작품을 제작하여 고찰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 PDF

Modular Current-Balancing circuit for Multi-channel LED driving (다중 채널 LED 구동을 위한 모듈형 전류 평형 회로)

  • Kim, Hyo-hun;Gu, Hyun-su;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393-394
    • /
    • 2015
  • 본 논문은 다중 채널 LED(Light Emitting Diode) 구동을 위한 모듈형 전류 평형 회로를 제안한다. 기존 방식은 DC/DC 컨버터단과 다중 채널 LED 전류제어를 위해 각 채널마다 일정한 전류 제어를 하는 LED 드라이버단의 직렬 연결로 구성된다. 하지만 제안회로는 캐패시터의 전하평형원리에 의해 단일 채널 전류 제어로 모든 채널의 LED 전류를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어 DC/DC 컨버터와 LED 드라이버단을 하나로 통합한 단일 전력단 LED 구동회로 구성이 가능하며, 이는 회로구성의 단일화로 소자수 및 사이즈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수동소자만으로 이루어진 모듈형 회로로써 모듈의 추가에 따라 요구되는 LED 채널 수 만큼 다채널 모듈로 확장할 수 있다. 제안회로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1kW급 LED 구동회로에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한다.

  • PDF

Current Control Circuit for Drive of Single Phase Permanent Magnet Motor Using H-Bridge (단상 영구자석 모타 구동을 위한 H-Bridge 의 전류제어회로)

  • Woo, Kyung-Il;Kwon, Byung-Il;Kim, Ki-B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b
    • /
    • pp.939-942
    • /
    • 2002
  • 본문의 내용은 영구자석을 사용한 단상 브러시리스 모타의 구동을 위한 H-Brdige 구동회로에 적용된 전류제어 회로에 관한 실험결과이다. 부하전류가 목표치 이상인 경우 enable 를 차단하면 순간적으로 센서저항의 전위가 0 으로 되고 이로인해 다시 순간적으로 스위칭이 이루어 지므로 매우 빠른 주기로 스위칭을 반복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래칭회로를 필요로 하는데, 본 제안에서는 두 개의 NAND GATE 와 하나의 NOT GATE, 그리고 RC network 를 조합하여 LIP-FLOP 과 시지연을 이루는 방법을 실현하였다. 이와 같은 전류제어회로는 constant off time 의 특성을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WM 제어회로에 비하여 매우 단순하면서도, 저항부하 및 모타부하에 대해 공히 능동적으로 작동함을 입증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제안된 전류제한회로의 구조와 H-bridge 구동모드, 그리고 전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설명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