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동력 분석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Simulation Study of Arc Driving Force of DC High Speed Circuit Breaker (DC 고속도 차단기의 아크 구동력 향상을 위한 구동부 형상 시뮬레이션 연구)

  • Lim, Sung-Woo;Lee, Jong-Gun;Khan, Umer Amir;Lee, Ba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94-59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직류차단기 내부 아크 러너 구조에 따라 아크에 작용하는 구동력 차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아크 러너 기울기를 변화에 따라 아크 구동력을 계산하였으며, 결과 값들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아크 구동력 차이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구동력 차이의 발생 원리를 알아보고 아크구동력 향상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결과 방안을 차단시간 단축 요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마찰구동기구에 의한 초정밀위치 결정

  • 신영재;최대봉;이득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0a
    • /
    • pp.159-163
    • /
    • 2001
  • 마찰구동은 다른 구동방식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기계적인 정도를 얻기 쉬우며, 백래쉬 등에 기인하는 비선형 요소인 로스트모션이 없고 관성이 작아 구동력이 작은 이점이 있다. 그 반면에 접촉부에서 미끄럼이 발생하여 큰 구동력을 얻기 어렵고 마찰저항에 의하여 마멸이 생기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정밀가공기용 위치결정기구로 마찰구동기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위치 결정도에 관한 설계, 구동력의 설계 및 재료의 선택에 관하 여 분석하고 시작품을 제작하여 특성을 연구하였다.

A Study on Learning Driving Force of Flipped Learning for Learner Centered Education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플립러닝에서의 학습 구동력에 관한 연구)

  • Han, Soomin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2 no.2
    • /
    • pp.293-299
    • /
    • 2020
  • This study is intend to define learning driving force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o derive it's components(IDEA : degree of Interest, Dynamics of learning process, degree of self-Effectiveness, expectation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o validate the concept of driving force, we analyzed the instructional design techniques, operating procedures, result reports, professor's comments of flipped learning courses which were conducted systematically in K-university during last 4years. As a result, I suggest the directives and guidances required for effective flipped learning based on driving force.

Analysis of AGTL+ Driver Application (AGTL+ 구동기 분석)

  • Sim, W.S.;Hahn, J.S.;Hahn, W.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3 no.6 s.54
    • /
    • pp.46-55
    • /
    • 1998
  • 인텔사의 Xeon 프로세서 버스에 정합한 입출력 구동기를 선정하고자, Xeon 프로세서의 구동기술인 AGTL+를 조사하고 AGTL+와 GTL+ 구동기의 혼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GTL+(NTL)을 AGTL+와 함께 사용하고자 할 때 배선 토폴로지, 터미네이션, 댐핑저항 값에 따른 신호 및 시간 특성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결과로 80 MHz 이하의 버스속도에서는 Xeon 프로세서 네 개와 GTL+(NTL) 구동기를 혼용하여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Characteristic Analysis of Design and Development on 2kW Transverse Flux Linear Motor for Air Conditioner Compressor (2kW급 에어컨용 횡자속 선형전동기의 설계 및 제작 특성분석)

  • Hong, D.K.;Woo, B.C.;Kang, D.H.;Chang, J.W.;Kim, J.M.;Jeong, D.H.;Park, S.J.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881-882
    • /
    • 2006
  • 선형전동기(linear motor)는 일반 회전형 모터에 비해 직선 구동력을 직접 발생시키는 특유의 장점이 있으므로 직선 구동력이 필요한 시스템에서 회전형에 비해 절대적으로 우세하다. 선형전동기의 성능인 추력을 스테이터, 코어, 영구자석 등의 구성요소의 형상과 치수, 코어와 영구자석의 극간격, 공극, 코일의 권수에 따라서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2kW급 단상 구동형 횡자속 선형전동기는 압축기 제작에 필요한 직경 50mm, 구동 스트로크 18mm로 설계하였다. 또한 pole pitch가 20mm로 설계하였으며 요구되는 평균추력은 940N이다. 제작된 압축기의 특징은 고정자와 이동자가 맞닿는 flux path를 넓히기 위해서 최대한 경사진 각도의 형상으로 제작하였으며 경사의 각도가 커지면 커질수록 압축기로 구동하는 이동자와 고정된 부위사이에서 발생하는 흡인력이 상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진동의 원인으로 가장 크게 작용한다는 디텐트력이 작다는 것이 특징이며, 진동특성 등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vibr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operation method in IPM motor (IPM 전동기의 구동 방식에 따른 진동 특성 분석)

  • Lee, Gyeong-Deuk;Lee, Won-Sik;Kim, Gyu-Ta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835-83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PM type 전동기의 구동 방식에 따른 진동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BLDC 구동 방식은 2상에만 전원이 인가되므로 Commutation torque ripple 및 가진력의 불평형이 발생하여 기계손이 증가하고 진동, 소음이 크게 되어 효율이 떨어지므로 3상 구동 방식과 BLDC 구동방식에 따른 진동 및 출력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 PDF

The Effect of Parastic Elements on Gate Driver of Bridge-Type Converter (브릿지형 컨버터의 게이트 구동회로 노이즈 분석 및 모델링)

  • Ahn, Jung-Hoon;Kim, Yun-Sung;Koo, Keun-Wan;Lee, B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11a
    • /
    • pp.73-74
    • /
    • 2012
  • 본 논문은 브릿지형 컨버터에 존재하는 기생성분이 게이트 구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다양한 기생성분과 입출력 사양에 따라 게이트 구동을 저해하는 EMI의 크기가 어떻게 변하는지 그 관계를 밝힌다.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실험을 통하여 타당성을 증명한다.

  • PDF

A study of Control of the Transverse Flux Linear Motor for OHS System (OHS 시스템에 적용한 횡자속형 선형전동기 제어에 관한 연구)

  • Kim, Won-Gon;Whang, Gye-Ho;Yun, Jong-Bo;Lee, Geun-S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960-96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직선 및 곡선구간에서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LCD 패널 생산라인의 이송장비인 OHS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한 횡자속 선형전동기의 제어에 관하여 기술한다. OHS 시스템은 클린룸 내에서 이송대차가 천장에 레일과 함께 설치되어 장거리의 직선 및 곡선 이송경로를 가지는 LCD 패널 물류 이송장치이다. 기존 선형전동기들은 그 구조상 곡선구간 구동원으로 적용하기 어렵고, 장거리 이송용으로 사용하기에 상당한 가격적인 부담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대적으로 다른 선형전동기와 비교하여 가격적인 부담이 적고, 곡선구간에서 구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횡자속 선형전동기를 OHS 시스템에 적용하고, 선형전동기의 곡선구간에서의 출력특성을 분석하며, 이동자의 위치검출 방법 및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실제 제작된 OHS 실험장치를 통하여 제어특성을 검증한다.

  • PDF

A Study on Variable Speed Limit Considering Wind Resistance on Off-Shore Bridge (해상교량의 풍하중을 고려한 제한 속도 도출 방안)

  • Lee, Seon-Ha;Kang, Hee-C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5
    • /
    • pp.75-87
    • /
    • 2004
  • Along the seashore regions in Korea, though strong winds with very large strength are frequently witnessed, no system which can provide appropriate speed information for driving vehicle has been introduced. The driving against strong winds could be very dangerous because of the high possibility of accidents such as rollover and collision. These accidents usually resulted from driver's forced driving try even in difficult situation for steering vehicle, and sometimes overspeed without consideration of wind impact to the vehicles. To reduce accident caused by strong winds, it is important to inform drivers of appropriate driving speeds by perceiving strong winds. By setting up WIS at the main points where strong winds frequently appear and using the variable message sign(VMS) connected to the on-line whether information system, it tis possible to provide desired speed information, which can maintain vehicles' tractive force and maximum running resistance. The case study is conducted on the case of Mokpo-Big-Bridge, which is under construction at Mokpo city. The result show that in case the annual average direction of wind is South and the wind speed is over 8m/hr, the desired speed, which is required in order for vehicles running to South direction to maintain the marginal driving power, is 60km/hr. In addition, for the case of a typhoon such as Memi generated in 2003 year, if wind speed had been 18m/sec in Mokpo city at that time, the running resistance at the speed of 40km/hr is calculated as 1131N. This resistance can not be overcome at the 4th gear(1054N) level, therefore, the gear of vehicles should be reduced down to the 3rd level. In this case, the appropriate speed is 40km/h, and at this point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running resistance and tractive force is generated.

Method of data processing through polling and interrupt driven I/O on device data (디바이스 데이터 입출력에 있어서 폴링 방식과 인터럽트 구동 방식의 데이터 처리 방법)

  • Koo, Cheol-He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3 no.9
    • /
    • pp.113-119
    • /
    • 2005
  • The methods that are used for receiving data from attached devices under real-time preemptive multi-task operating system (OS) by general processors can be categorized as polling and interrupt driven. The technical approach to these methods may be different due to the application specific scheduling policy of the OS and the programming architecture of the flight software.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on the development of the flight software to process the data received from satellite subsystems or components with the exact timeliness and accuracy.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of the I/O method of device related scheduling mechanism and the reliable data I/O methods between processor and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