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도

검색결과 41,079건 처리시간 0.072초

페르시아 카페트에 표현된 디자인 구도 및 패턴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ypes of Design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tterns Expressed in Persian Carpets)

  • 김희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3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types of design composition and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expressed in persian carpets. For this study, 188 works of Persian carpets were selected out in the book "Carpet & Rug" and contents in the internet sites of www. carpetwordwide.net/, www.jafarnet.com/. The types of design composition expressed in Persian carpet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1) Medallion design composition 2) Mihrab design composition 3) All over design composition 4) Vase design composition 5) Garden design composition 6) Moharamat design composition 7) Painting design composition 8) Tree of Life design composition 9) Plant Pattern design composition 10) Mosaic pattern design composition. Patterns expressed in Persian carpets were Mosk pattern, Tree of life pattern, Lotus pattern being related to their religion and Hunting picture patterns related to their real life. In particular, various patterns of beautiful flowers, plants, trees, animals such as birds, insects and stream, beauriful landscapes were expressed in Persian carpets.

  • PDF

경사 변화에 따른 나선식 유입구 방류 효율 검토 (Investigation on the Discharging Efficiency of Inclined Spiral Intakes by Changing Inclination)

  • 이동섭;조길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687-687
    • /
    • 2012
  • 최근 도입 필요성이 계속하여 높아지고 있는 지하유입시설 유입구로는 유입구 효율과 성능으로 인하여 와류식 유입구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 중 나선식 유입구(spiral intake)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으로 초기에 활용되었던 원형 유입구(circular intake)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형식이다. 형상은 복잡하지만 구조물 내부에서 와류(vortex)를 안정적으로 형성시키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나선식 지하방수로 유입구가 사용되는 가장 큰 이유는 유입구 내부에서도 수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유입 유량에 따른 수위의 변화가 다른 유입구 형식에 비하여 비교적 안정적으로 예측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약 지하방수로 유입구 내부에서 수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도수 현상 등에 의한 수위 상승 현상 등이 발생할 경우 지하유입시설 내부로 안정적으로 유량을 배제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또한 도수 현상이 발생하는 동안 과도한 유량이 유입될 경우 다시 본류로 흐름이 역류할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 형상에 따른 수위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검토할 종경사형 나선식 유입구(inclined spiral intake)는 일정한 바닥 경사를 도입하여 사류 흐름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속시켜 유입구 내부에서의 도수 현상을 방지하는 형식으로 유입구 바닥의 외측 또는 중앙선을 따라서 일정한 경사를 주어 사류 유입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도함으로서 유량 배제 효율을 높인 형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입구 외측을 기준으로 일정한 경사를 가진 종경사형 나선식 유입구 모형을 이용하여 경사 변화에 따른 방류 효율을 검토하였다.

  • PDF

생봉독처리에 의한 비육돈의 사양성적

  • 조성구;최양일;조현정;박기수;임민혁;장경순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제36차 추계 학술발표대회
    • /
    • pp.111-114
    • /
    • 2005
  • 1. 증체량 이유자돈 시부터 비육돈 완성기간까지 비육 전체 기간동안의 증체량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처리별 암컷의 증체량은 생봉독처리 2구에서 99.08kg으로 가장 높았고, 생봉독처리 1구에서 99.08kg, 무처리구에서 95.88kg, 생봉독처리 3구에서 93.50kg 순으로 최고치와는 5.58kg의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대조구와는 3.2kg 증체량이 높아 3.3% 증체율이 높았다. 거세돈에서의 처리별 증체중은 생봉독 처리 2구에서 102.23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생봉독처리 1구에서 101.79kg, 무처리구에서는 88.96kg, 생봉독 3처리구에서는 95.76kg의 순으로 나타냈다. 따라서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는 6.47kg으로 유의한 수준차(p<0.05)로 나타났으며 대조구보다는 3.2kg의 증체량 차이로서 암컷과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 사료효율 비육 전체기간 동안의 처리별 암수간 평균 두당 사료섭취량과 사료효율은 다음과 같다. 암컷의 평균 사료효율은 생봉독 처리 1구에서 2.55로 처리구중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은 생봉독처리 2구와 대조구에서 2.56으로 동일하게 분석되었으며, 생봉독 3처리구에서 가장 저조한 2.62의 순으로 분석되어 사료효율 0.07 차이로 2.3%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발육성적이 가장 높은 생봉독 2처리구에서는 255kg의 사료를 섭취하여 2.54의 최적의 사료효율을 보여주어 사료 효율면에서도 생봉독 2처리구에서 가장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육성율 및 생산지수 폐사수는 생봉독 처리 3구에서 2두(자웅 각 1두)가 발생하여 육성율 95%로 처리구중에서 가장 저조하였고, 다음은 대조구 1두가 발생하여 육성율 97.5%를 보여주었는데 비하여 생봉독처리 1구와 2구에서는 폐사돈이 발생하지 않아 육성율 100%를 보여주었다. 생산지수는 대조구를 100으로 기준하였을 때 생봉독처리 2구에서 107.87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생봉독 처리 1구에서 106.22, 가장 저조한 처리구는 폐사수가 많은 생봉독 처리 3구에서 94.73으로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생봉독 처리 2구에서 가장 우수한 생산효과를 나타내었다. 4. 생산성 향상 효과 처리별 대조구(100) 대비 사료섭취량은 생봉독 처리 3구에서 97.22로 가장 낮았고, 기타 처리구는 1.19${\sim}$1.59의 처리를 보이고 있는데 비하여, 대조구(100) 대비 증체율에서는 생봉독 처리 2구에서 103.30으로 3.30%가 높았다.

  • PDF

Bisphenol A의 투여가 생쥐의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 박동헌;최영진;정희태;박춘근;김정익;양부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9
    • /
    • 2001
  • 내분비계 장애물질 중 관찰물질로 지정된 bisphenol A(BPA)의 투여가 생쥐의 번식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웅성 ICR 생쥐에 무처리구, corn oil, 0.05, 0.5 및 5.0mg BPA/kg b.w의 BPA을 3일 간격으로 5회 투여했으며, 자성 ICR 생쥐도 웅성생쥐와 동일하게 3일 간격으로 5회 투여한 후, 웅성은 투여후 2일, 자성은 7일후에 모든검사를 실시하였다. BPA의 투여가 웅성 생쥐의 번식기관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체중, 정소상체, 정낭선 및 응고선의 무게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며(P>0.05), 정소의 무게는 5.0mg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다소 낮은 무게를 나타냈다. BPA의 투여가 웅성 생쥐의 정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과 유효 정자수는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나 총정자수는 각각 35.50, 35.73, 36.33, 33.13 및 29.28$\times$$10^{7}$ 정자/$m\ell$로서 5.0mg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결과을 나타냈다(P<0.05). 기형율은 5.0mg 투여구가 23.15%로서 무처리구(18.13%), 대조구(18.58%) 및 0.05mg 투여구(19.68%)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기형율을 나타냈다(P<0.05). 웅성 생쥐에 BPA의 투여가 혈액의 일반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RBC, Hb, HT, MCV, MCH 및 MCHC는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WBC는 BPA 투여구가 무처리구 및 대조구보다 다소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PLT는 BPA 투여구가 무처리구 및 대조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BPA의 투여가 자성 생쥐의 번식기관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체중은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며 자궁의 무게는 BPA 투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다소 논은 무게를 나타냈다. 오른쪽 난소의 무게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가 각각 0.0059 및 0.0061g으로 대조구(0.0081g)와 0.05mg 투여구(0.0071g)보다 낮은 무게를 나타냈으며, 왼쪽 난소의 무게는 각각 0.0076, 0.0076, 0.0058 및 0.0061g으로 0.5mg 투여구가 대조구와 0.05mg 투여구보다 낮은 무게를 나타냈다(P<0.05). BPA의 투여가 자성 생쥐의 혈구화학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RBC, Hb, HT, MCV, MCH 및 MCHC는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WBC는 BPA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PLT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정소, 난소 및 자궁의 조직, 병리학적인 검사에서는 모든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

  • PDF

한국어 정보검색에서 위치관계에 기반한 통계적 구 색인 (Statistical Phrase Indexing Based on Positional Relation for Korean Information Retrieval)

  • 홍금원;김상범;이상주;임해창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1년도 제1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76-82
    • /
    • 2001
  • 최근 웹 문서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높은 정확도를 필요로하는 정보검색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구 색인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정보검색에서 사용하는 구는 크게 통계적인 구와 구문적인 구로 나눌 수 있다. 한국에서는 주최 복합명사를 처리하거나, 구문적인 구를 이용한 방법들만이 사용되어 왔고, 통계적인 구를 이용한 검색은 연구되지 않았다. 질의에 존재하는 구의 위치관계와 문서에 존재하는 구의 위치관계가 서로 동일하다면 그 문서는 그 질의와 더욱 유사할 것이라 판단하고,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인 구에서 구 구성요소간의 위치관계를 고려한 정보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명사구 이치의 유용한 구를 생성하기 위하여 내용어를 색인했으며 색인어간의 거리와 순서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명사구와 내용어에 기반한 구를 사용한 각각의 실험에서 거리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이 거리를 무시한 방법에 비해서 효과적이었고 구 구성요소간의 위치관계를 고려하는 것이 성능향상의 주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명사위주의 질의에서는 내용어보다는 명사만을 색인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최대 엔트로피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명사구 추출 (Korean Noun Phrase Identification Using Maximum Entropy Method)

  • 강인호;전수영;김길창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0년도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pp.127-13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격조사의 구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수식어까지 포함한 명사구 추출 방법을 연구한다. 명사구 판정을 위해 연속적인 형태소열을 문맥정보로 사용하던 기존의 방법과 달리, 명사구의 처음과 끝 그리고 명사구 주변의 형태소를 이용하여 명사구의 수식 부분과 중심 명사를 문맥정보로 사용한다. 다양한 형태의 문맥 정보들은 최대 엔트로피 원리(Maximum Entropy Principle)에 의해 하나의 확률 분포로 결합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명사구 추출 방법은 먼저 구문 트리 태깅된 코퍼스에서 품사열로 표현되는 명사구 문법 규칙을 얻어낸다. 이렇게 얻어낸 명사구 규칙을 이용하여 격조사와 인접한 명사구 후보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각 명사구 후보는 학습 코퍼스에서 얻어낸 확률 분포에 기반하여 명사구로 해석될 확률값을 부여받는다. 이 중 제일 확률값이 높은 것을 선택하는 형태로 각 격조사와 관계있는 명사구를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델로 시험을 한 결과 평균 4.5개의 구를 포함하는 명사구를 추출할 수 있었다.

  • PDF

유입구 경사 변화에 따른 나선식 종경사형 유입구 수위-유량 관계 검토 (Investigation on the Stage-Discharge Relation in Inclined Spiral Intake for the Various Inclination)

  • 이동섭;김창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903-1907
    • /
    • 2009
  • 최근 도입 필요성이 계속하여 높아지고 있는 지하방수로 유입구로는 유입구 효율과 성능으로 인하여 와류식 유입구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 중 나선식 유입구(spiral intake)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으로 초기에 활용되었던 원형 유입구(circular intake)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형식이다. 형태적인 복잡성에 도 불구하고 형식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와류(vortex)를 안정적으로 형성시키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나선식 지하방수로 유입구가 사용되는 가장 큰 이유는 유입구 내부에서도 수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유입 유량에 따른 수위의 변화가 다른 유입구 형식에 비하여 비교적 안정적으로 예측 가능하기 때문이며, 만약 지하방수로 유입구 내부에서 수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도수 현상 등에 의한 수위 상승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경우 지하방수로 내부로 안정적으로 유량을 배제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또한 도수 현상이 발생하는 동안 과도한 유량이 유입될 경우 다시 본류로 흐름이 역류할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 형상에 따른 수위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 진다. 본 연구에서 검토될 나선식 종경사형 유입구(inclined spiral intake)는 일정한 바닥 경사를 도입하여 사류 흐름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속시켜 유입구 내부에서의 도수 현상을 방지하는 형식으로 유입구 바닥의 외측 또는 중앙선을 따라서 일정한 경사를 주어 사류 유입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도함으로서 유량 배제 효율을 높인 형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입구 외측을 기준으로 일정한 경사(5.0 %, 7.5 %, 10.0%, 12.5%)를 가진 나선식 종경사형 유입구 모형을 제작하여 유입 유량 변화에 따른 유입구 내부에서 수위-유량관계를 확인하였다

  • PDF

무항생제 돈육 생산을 위한 생균제 급여 효과

  • 하지희;박기훈;강석모;하경희;이창우;김일석;송영민;진상근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제35차 춘계 학술 발표대회
    • /
    • pp.164-168
    • /
    • 2005
  • 복합생균제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 복합생균제 KBC1144 0.1% 급여구(T1), YC2000 0.1% + KBC1144 0.1% 급여구(T2)로 실험한 결과 일반성분에서 수분과 조회분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조단백질은 T2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조지방은 T2 처리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H는 대조구가 처리구들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보수력은 대조구가 가장 높고, T1 처리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가지 미생물제재를 활용한 T2 처리구가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 T2 처리구가 육색의 적색도는 높고, 지방색의 명도는 높고 황색도는 낮았다. 조직감은 T1 처리구가 높고, T2 처리구가 낮았으며 가열육의 관능검사에서 다즙성은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높았다. 필수지방산인 리놀산과 아라키돈산은 T1 처리구가 다른 두 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불포화지방산, 필수지방산 및 필수지방산/불포화지방산 비율은 T1 처리구가 가장 높고 T2 처리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아미노산 함량은 T2 처리구가 다른 두 구에 비하여 높았다. 종합적으로 두 복합미생물제재를 혼합 사용한 T2 처리구가 무항생제 돈육 생산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육질 특성면에서도 가장 좋은 결과였다.

  • PDF

메밀가루를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buckwheat powder)

  • 이선호;배종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4-210
    • /
    • 2015
  • 메밀가루의 첨가농도를 0~30%로 달리하여 스펀지 케이크를 제조하고 케이크의 기호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제과적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비중은 메밀가루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케이크 crumb의 L값은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a값은 증가, 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대조구에 비해 밝기는 어두워지고 적색은 강하게 그리고 황색을 약하게 띄었다. Crust의 L값은 대조구에 비해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a값은 유의적으로 낮은 값으로,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케이크의 부피지수는 메밀가루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20%와 30% 첨가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케이크의 부피가 작아짐을 볼 수 있었다. 대칭성지수는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균일성지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메밀가루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케이크의 부피는 메밀가루 10% 첨가구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작은 부피를 나타내었다. 케이크의 무게는 대조구가 가장 가볍게 나타났고 메밀가루를 첨가한 모든구에서는 첨가량과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무겁게 나타났다. 굽기손실율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비용적은 대조구와 메밀가루 10% 첨가구와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케이크의 경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은 경도값을 보였고 메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경도 값을 보였다. 관능검사에서 색상은 대조구에 비해 메밀가루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메밀가루 30% 첨가구를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맛은 메밀가루 30%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고 나머지 메밀가루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향미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메밀가루 모든 첨가구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케이크의 조직감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메밀가루 20% 첨가구까지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0%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얻었다. 스펀지 케이크의 관능적 품질과 건강 기능성 효과를 등을 고려할 때 20% 이하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