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 내 스캔법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서로 다른 두 가지 스캔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지르코니아 보철물의 적합도에 대한 비교 (Assessment of the fit of zirconia-based prostheses fabricated with two different scan methods)

  • 최현석;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35-143
    • /
    • 2017
  • 목적: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지대치에서 각각 모델스캔 방법과 구강 내 스캔 방법으로 제작된 지르코니아 보철물의 변연 및 내면적합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발거된 사람의 하악 제1대구치 20개에 대해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위한 지대치 형성이 이루어졌다. 첫 번째 그룹에서는 모델 스캔법으로 10개의 지대치를 스캔하였고, 두 번째 그룹에서는 나머지 10개에 대해 구강 내 스캔법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데이터들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전송되었고 Ceramill CAD/CAM system을 이용하여 20개의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먼저 weight technique을 사용하여 내면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replica technique에서는 광학현미경을 통해 변연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통계처리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먼저 weight technique에서 모델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서 구강 내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 비해 평균적인 무게 값이 낮게 나타났고, 이는 유의성이 있었다(P < .05). 또한, replica technique에서도 측정된 5개의 영역 모두에서 구강 내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 비해 모델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서 변연 및 내면의 gap에 대한 거리 값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 < .05). 결론: 두 그룹의 방법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보철물은 모두 임상적으로 받아들여질 만한 변연 및 내면 적합성을 보였다. 하지만 모델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서 구강 내 스캔법으로 제작한 그룹에 비해 높은 변연 및 내면 적합성을 보였다.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한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 수복 증례 (Posterior single implant prosthesis using scannable healing abutment)

  • 김성민;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32-438
    • /
    • 2019
  • 임플란트 보철 치료의 성공에 정확한 인상 채득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보철의 인상을 채득하는 방법에는 임프레션 코핑과 인상재를 이용한 전통적인 방법과 구강 스캐너와 디지털 인상 코핑(scanbody)을 이용한 디지털 인상채득법이 있다. 하지만 인상용 코핑과 scanbody는 모두 구강 내 치유 지대주(healing abutment)를 제거하고 장착해야 한다. 때문에 술자는 치유 지대주와 임프레션 코핑 또는 scanbody를 여러 번 체결하고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임프레션 코핑 또는 scanbody는 교합면보다 높게 솟아 있어 환자는 지속적으로 개구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치유 지대주에 scanbody의 스캔 가능 부분(scannable part)을 부여하여 치유 지대주를 제거할 필요 없이 구강 내에서 직접 구강 스캐너로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scannable healing abutment)가 소개되었다. 스캔이 가능한 치유지대주를 이용하여 구치부 단일 임플란트를 수복한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디지털 인상법과 전통적 인상법의 정확도 비교: 체계적 고찰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digital impressions and traditional impressions: Systematic review)

  • 김경록;서권수;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58-268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보철물의 적합 및 인상의 정확성에 관한 문헌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구강 내 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법이 전통적인 인상법을 대체할 만한 정확도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997년 8월 1일부터 2017년 7월 31일까지 출판된 영어로 쓰여진 연구를 대상으로 디지털 인상법의 정확성에 대한 문헌을 MEDLINE/PubMed 전자 검색 및 수기탐색을 시행하였다. 조건에 따라 선택된 연구의 데이터를 스프레드 시트에 2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총 35개의 연구가 선택되었고, 26개의 연구는 보철물의 적합성을 비교하였고 9개의 연구는 보철물 없이 스캔 데이터를 통해 인상의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대부분의 연구가 보철물을 이용해 인상법의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결론: 본 고찰에 따르면 자연치열에서 디지털 인상법으로 단일관이나 근원심으로 길이가 짧은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충분히 신뢰할만한 하다. 그러나 디지털 인상법으로 길이가 긴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은 연구가 적어 아직 한계가 있다.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에 있어서 구내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법으로 전통적인 인상법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아직 어렵다.

지연성 운동이상증 환자에서 functionally generated path 술식과 이중스캔법을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 제작: 증례 보고 (Fabrication of fixed prosthesis by employing functionally generated path technique and dual scan technique in a tardive dyskinesia patient: a case report)

  • 실파;이두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227-233
    • /
    • 2023
  • 지연성 운동이상증은 도파민 수용체 차단 약물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자발적 신경학적 운동 장애로 불수의적인 하악의 움직임과 이갈이를 초래하여 과도한 하중이 치아 및 보철물에 위해를 가할 수 있다. 지연성 운동이상증 병력이 있는 40대 남성이 상악 전치부 상실로 인한 보철치료를 위해 내원하였다. #13, 15, 23의 지대치 형성 후 실리콘으로 인상을 채득하고 레진 블록을 밀링하여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시적 과정에서 임시 보철물의 교합면 1/3을 제거하고 교합면에 자가중합 아크릴 레진을 도포하여 환자의 구강에 장착하였다. 레진이 경화되는 동안 하악의 불수의적 움직임으로 대합치에 의한 functionally generated path (FGP)가 레진 표면에서 기록되었다. 수정된 임시 보철물을 제거하여 구내 스캐너로 스캔 후 이중 스캔 방법을 사용하여 임시 보철물의 디자인을 수정하여 최종 보철물을 설계하였다. 최종 보철물은 단일구조 지르코니아로 제작하였다. 본 증례는 FGP 기술과 이중 스캔 방법 이 지연성 운동이상증 환자에서 조화로운 교합을 갖는 고정성 보철물의 제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절삭 및 적층 가공법으로 제작된 3본 고정성 국소의치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관한 연구 (Marginal and internal discrepancy of 3-unit fixed dental prostheses fabricated by subtractive and additive manufacturing)

  • 최재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7-13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절삭 가공법 및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작된 3본 고정성 국소의치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상악 좌측 제2소구치가 상실된 3본 고정성 국소의치 지대치를 제작하고(주모형),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 주모형 스캔 데이터를 얻었다. 3본 고정성 보철물은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Milled 3-unit fixed dental prostheses (FDP) (MIL군),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3D printed 3-unit FDP (D3P군), stereolithography apparatus (SLA) 3D printed 3-unit FDP (S3P군). 보철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와 내면 정밀도 평가하기 위해 각각 triple-scan protocol과 콤비네이션 수식을 사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중첩하였다. 3차원 분석 프로그램(Geomagic control X)을 사용하여 root mean square (RMS) 값과 color difference map 통해 정량 및 정성 분석 시행하였다. Kruskal-Wallis test (α = .05)와 Mann-Whitney U test 및 Bonferroni correction (α = .05/3 = .017)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S3P군의 변연 적합도는 MIL군과 D3P군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MIL군과 D3P군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D3P군과 S3P군은 MIL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내면 적합도를 보였으며, D3P군과 S3P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MIL군, S3P군, 그리고 D3P군 순으로 우수한 정밀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적층 가공법으로 제작된 3본 고정성 보철물은 절삭 가공법으로 제작된 3본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우수한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보인 반면 정밀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원 광학 스캐너와 콘빔CT에서 생성된 디지털 모형의 비교 (Comparison of digital models generated from three-dimensional optical scanner an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권혁진;김각균;이원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1호
    • /
    • pp.60-69
    • /
    • 201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실제 환자의 석고모형의 콘빔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이미지로 디지털 모델을 제작하고 이 디지털 모델을 동일한 석고모형을 3차원 광학 스캐너로 스캔 하여 얻은 디지털 모델과 비교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총 11쌍의 석고모형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다. 콘빔CT를 이용하여 CT 영상을 촬영하여 디지털 모델을 제작 하였고 3차원 광학 스캐너를 사용해 대조군이 되는 디지털 모델을 제작하였다. 이를 이용해 각 석고모형에 대하여 콘빔CT와 3차원 광학 스캐너를 이용하여 만든 디지털 모델을 한 쌍으로 묶어 상, 하악 11개의 비교 쌍을 구성하고 각 쌍에 대하여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조군과 비교 시 콘빔CT 영상으로부터 구성된 디지털 모델이 대조군 보다 과다 추정된 부분인 양의 오차의 평균은 0.059 - 0.117 mm, 과소 추정된 부분인 음의 오차의 평균은 0.066 - 0.146 mm의 범위 내에 존재했다. 또한 유의수준 0.05에서 양의 오차의 평균은 $70-100{\mu}m$, 음의 오차의 평균은 $100-120{\mu}m$ 내에 존재 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석고모형의 콘빔CT 영상으로부터 구성된 디지털 모델은 최종 수복물 제작에는 부적합하나 임시수복물 제작 및 교정 진단 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