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점막질환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9초

Lesch-Nyhan syndrome: 증례보고 (LESCH-NYHAN SYNDROME: A CASE REPORT)

  • 김명국;양규호;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84-289
    • /
    • 2011
  • Lesch-Nyhan syndrome은 purine 대사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질환이다. 유아기부터 전신근육의 강직, 발육 저하가 나타나고 손발의 불수의적 운동이나 불규칙적인 운동이 보이며 정신지체, 강박적 자해행위가 나타난다. 자해행위는 대개 1세 전후에 나타나지만 간혹 10대 후반에 나타나기도 한다. 입술, 특히 아랫입술과 혀, 협점막, 손, 손가락 등을 깨물고 입술, 혀, 협점막 등이 손상되거나 심할 경우 절단되기도 한다. 나이가 들면서 자해 행위가 점점 심해지고 상처 부위를 통한 2차 감염 가능성이 있다. 자해행위로 인한 주기적인 연조직 손상은 심할 경우 구강암으로 이행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자해행위를 억제하기 위해 약물치료, 장치치료, 발치, 외과적 수술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본 증례는 자해행위로 인한 입술손상을 주소로 내원한 Lesch-Nyhan syndrome 환자들을 대상으로 발치 대신 보존적 치료를 위해 가철성, 고정성 장치를 사용한 결과 입술외상의 빈도를 줄이고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구강 캔디다증 알비칸스에 대한 프로 폴리스의 항균 활동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미생물 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opolis against Oral Candidiasis by Candida Albicans -Effect of Microbial Inhibition Using Propolis-)

  • 권현숙;남설희;박민경;조미숙;천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644-5651
    • /
    • 2014
  • 본 연구는 칸디다 알비칸스(C. albicans)에 대한 프로폴리스의 억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프로폴리스는 양봉 꿀벌에서 채취하여 C. albicans는 $37^{\circ}C$에서 액체 배지에서 2시간 배양 하였다. 항균 활성검삼를 위해서 생리식염수 (PBS), 3% 차아염소산나트륨 (NaOCl에), 0.1% 클로로헥시딘 (CHX), 프로 폴리스 추출물 ($5{\mu}L/m{\ell}$, $10{\mu}L/m{\ell}$)에서 평가하였다. C. albicans는 3%의 NaOCl, 0.1% CHX, 프로 폴리스($5{\mu}L/m{\ell}$, $10{\mu}{\ell}/m{\ell}$)에서 15, 14.5, 16, 17mm의 억제구간을 확인하였다.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집락형성을 분석한 결과, 3%의 NaOCl, 0.1 % CHX, $5{\mu}L/m{\ell}$$10{\mu}L/m{\ell}$의 프로 폴리스가 7, 7, 5, 7 로그지수가 감소를 보였다. C. albicans서는 $10{\mu}L/m{\ell}$의 프로폴리스에서 유의하게 억제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프로폴리스는 구강 점막 질환에서 새로운 향균 약제가 될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체 신기법을 적용한 구치부 교의치 pontic ridge lap 제작방법 (Applying the New Technology for Making Pontic Ridge Lap in Posterior Bridge Restoration)

  • 김욱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3호
    • /
    • pp.308-316
    • /
    • 2013
  • 구강점막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유지, 보지 및 치간유두를 보존시켜 치간공극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심미적이며, 발음에도 이상이 없는 최종보철물을 제작과정에서 교의치 pontic base 하방에 염증의 발생을 방지하고, self-cleasing이 될 수 있는 구치부 교의치 pontic ridge lap 제작방법을 연구하였다. 교의치 pontic base 하방에 염증의 발생을 방지하고, self-cleasing이 될 수 있는 제작기술을 부산, 경남지역의 치과 10군데를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구치부 3unit 교의치 pontic base를 제작할 때 대체 신기법을 적용한 ridge lap 형성방법을 제시하고, 임상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기존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것과 대체 신기법을 적용한 것을 비교분석 하였다. 염증, 기타 치주질환은 기존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작한 pontic base에서 9.6%, 대체 신기법을 적용한 방법으로 제작된 것은 0.3%이 나타났다. 음식물 잔류에서는 통상적인 방법은 100%, 대체 신기법을 적용한 방법 9.1%으로 유이한 차이를 보여지만, 가글 후의 검사 결과는 대체 신기법을 적용한 방법이 0.8%로 낮은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self-cleasing면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작한 pontic base에서 9.0%, 대체 신기법을 적용한 방법 0.8%으로 나타났다.

구강점막질환 환자의 행동패턴 연구 (Behavior patterns of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

  • 옥수민;김경희;전혜미;허준영;안용우;정성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2권12호
    • /
    • pp.744-752
    • /
    • 2014
  • There are many causes of oral mucosal diseases, so accordingly, there are various treatments available. The most commonly used agents include adrenocortical hormones, antifungals, antivirals, antibacterials, and immunosuppressants. However, it must also be noted that improving oral hygiene and nutrition, and reducing stress are effective in symptom relief. Furthermore, patients with existing diseases of the oral mucosa should avoid behavior that may cause an increase in pain. Unfortunately, many patients are unaware of the activities that may lead to increased pain and therefore do not avoid these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behavior of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 with regard to activities that led to increase pain.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on a sample of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 selected from the Oral Medicine Clinic of the Pusan National Hospital during March to August 2013. These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 total of 479 patients, 116 patients with mucosal disease were selected and 73 fully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lf-complet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ean score of Question 13 (Not smoking) is $2.47{\pm}1.11$. Mean score of Question 11 (Not drinking alcohol or not using mouthwash containing alcohol) is $2.22{\pm}1.15$. The other questions resulted in scores lower than 1.5.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were sco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assigned numerical values: not keeping = score of 0; little keeping = score of 1; often keeping = score of 2; always keeping = score of 3. In conclusion,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s unknowingly engage in activities that result in an increase in pain. Therefore, they need to be educated about how to behave to protect oral mucosal lesion.

댄디워커 증후군 환아의 치아우식 치료 증례 보고 (DENTAL CARIES TREATMENT IN A PATIENT WITH DANDY-WALKER SYNDROME : A CASE REPORT)

  • 류지연;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이상훈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7-81
    • /
    • 2016
  • 저자는 9번 염색체 장완의 부분 세염색체증을 동반한 댄디워커 증후군 환아의 다발성 치아우식 치료를 전신마취 하 안전하게 시행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발달장애, 심장 질환, 오목가슴, 양안격리증, 콧등 함몰, 저위이(低位耳, low set ears), 점막하 구개열 등의 안면 기형, 양손 세번째 손가락의 굴지증(Camptodactyly) 등의 전신적 소견을 보였으며, 하악골의 저성장 및 비중격만곡과 같은 해부학적 결함으로 늦은 시기까지 우유병을 사용하고 있었고 이로 인한 다발성 치아우식이 관찰되었다. 협조도 부족 및 광범위한 치료 내용, 시술시 안정적 기도확보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전신마취 하 치료가 계획되었으며 치과치료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이후 정기적인 치과 검진 및 불소도포 등의 예방적 치료, 구강위생 관리를 위한 보호자의 교육 등을 통해 양호한 구강 건강을 유지하고 있다.

스티븐 존슨 증후군 : 증례보고 (Stevens-Johnson Syndrome : A Case Report)

  • 송용호;이난영;이상호;지명관;임유진;윤영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55-460
    • /
    • 2017
  • 스티븐 존슨 증후군(Stevens-Johnson syndrome, SJS)은 피부와 점막에 광범위한 괴사를 초래하는 매우 심각한 급성 과민반응이다. SJS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 원인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대부분 약물 알레르기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세균감염에 의해 유발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체 표피면적의 10% 이하에서 병변이 발생한 경우를 SJS라 하며 30% 이상에서 발생한 경우를 독성 표피 괴사융해라 정의한다. SJS는 1년에 100만명 인구 당 1 - 2명 미만에서 드물게 발생하나, 성장기 어린아이에게 발생할 경우 치아발육 등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게 된다. 6 - 7세경 상하악 제1대구치와 하악중절치의 맹출이 시작되고 이 시기에 치근의 발육이 함께 일어난다. 이 케이스의 환아의 경우 6세경 SJS이 발병하였다. 현재 완치된 상태이나 몇몇 후유증이 남아있는 상태이다. 환아는 이 시기에 발육이 완성되는 치아에 국한되어 발육이상이 관찰되었다. 구강내 특징으로 이러한 전신질환을 진단하고 이로 인한 치아 발육에 대한 영향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하고자 이 보고서를 쓰는 바이다.

구강내 연조직 질환과 구강점막 각화도와의 관계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eratinization of Oral Mucosa and Intraoral Soft Tissue Disease)

  • 송주종;김병국;최홍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01
  •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ral intraoral soft tissue lesions(hairy tongue, lichen planus,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oral candidiasis, glossitis and oral herpetic lesion) and oral mucosal keratinization, exfoliative cytological smear on intraoral mucosal surfaces were performed on each number of patients and 25 controls keratinization cell (yellow-stained cell) ratio was then measured. In hairy tongu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all kind of cells. Only blue cell ratio of women was more than of men in patient group. In lichen planu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atient and control group in yellow cell ratio. Red cell ratio in the control group was more than in the patient group. Blue cell ratio in the patient group was more than that in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ex predilection between both groups in the ratio of all kind of cells. In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Yellow cell ratio in the control group was more than that in the patient group. Red cell ratio in the control group was more than that in control group. Blue cell ratio in the patient group was more than that in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ex predilection between both groups in the ratio of all kind of cells. In oral candidiasis, Yellow cell ratio in the control group was more than that in the patient group. Red cell ratio in the control group was more than that in control group. Blue cell ratio in the patient group was more than that in control group. There was no sex predilection between both groups in yellow cell ratio. Red cell ratio of women was more than of men in patient group. Blue cell ratio of men was more than of women in patient group. In herpetic lesion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atient and control group in yellow cell ratio. Red cell ratio in the control group was more than in the patient group. Blue cell ratio in the patient group was more than that in control group. Yellow cell ratio of women was more than of men in control group. Red cell ratio of men was more than of women in control group. Blue cell ratio of men was more than of women in patient group. In glossitis, Yellow cell ratio in the control group was more than in the patient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atient and control group in red cell ratio. Blue cell ratio in the patient group was more than that in control group. Yellow cell ratio of women was more than of men in control group. Red cell ratio and blue cell ratio of men were more than of women in control group. According to above results, the ratio of keratinized cell in atrophic, ulcerated, or pseudomembranous lesions was lowered than in control, but the ratio of keratinized cell in keratotic, vesicular or lesions on keratinized surface lesions had no difference to control group. Thus, keratotic, vesicular or lesions on keratinized surface lesions have not closely relation to mucosal keratinization. And, there was a little sex predilection between men and wemen in mucosal keratin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