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점막질환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초

Sturge-Weber Syndrome 환아의 치험례 (STURGE-WEBER SYNDROME : A CASE REPORT)

  • 신혜성;양규호;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45-149
    • /
    • 2009
  • Sturge-Weber Syndrome은 드문 선천성 질환으로 안면의 삼차신경 분포영역에 포도주양 반점(port wine nevus)을 나타내고, 녹내장 등의 안구 증상과 간질, 편측마비 등의 신경학적 증상 등을 동반한다. 또한 구강 내 증상으로 구강 점막의 편측성 혈관 증식, 치은의 혈관 증식, 치은 비대, 거대치, 편측성 거대설, 상악 또는 하악의 혈관 이상, 치아 맹출 이상 등을 나타낸다. 본 증례는 Sturge-Weber Syndrome으로 진단된 8세 남아의 구강 내 증상과 설강직증의 치료를 위해 설소대 절제술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뇌성마비 환아의 자해 방지를 위한 변형된 마우스가드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MODIFIED-MOUTHGUARD TO PREVENT SELF-INJURIOUS BEHAVIORS IN A CHILD WITH CEREBRAL PALSY : A CASE REPORT)

  • 박은경;김광철;최성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51-356
    • /
    • 2008
  • 뇌성마비(cerebral palsy)는 비진행성의 정신, 운동 장애를 총칭하는 용어로, 소아 장애의 흔한 원인이 된다. 자해 행위란(self-injurious behavior) 자살 의도없이 자신의 신체 일부를 고의적으로 손상시키는 것으로, 종종 반복적인 행동으로 나타난다. 소아에서의 이러한 자해 습관은 정상적인 어린이에서는 드물며, 증후군, 유전질환, 정신지체 어린이 등에서 그 발생률이 높게 보고된다. 구강 내 자해 행위의 가장 흔한 유형은 혀나 입술 혹은 구강 점막을 물어뜯는 것이다. 이러한 자해 행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행동 수정법, 약물 치료, 신체 속박술, 치과적 장치의 적용, 외과적 수술 또는 치아 발치술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이 중 마우스가드 등의 치과적 장치를 이용한 방법은 구강 내 자해 행위의 감소와 조직의 보호를 위해 가장 보존적이며 적합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본 증례에서는 자해 습관에 의해 하순과 협점막에 궤양성 병소를 가진 뇌성마비 환아에 있어서, 변형된 마우스가드를 이용하여 자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만족할 만한 치유 양상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폐경기 여성에서 폐경 및 불안 증상과 구강자각 증상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e, Anxiety Symptoms and Perceived Oral Symptoms in Menopausal Woman)

  • 유현주;오진영;강지원;김보미;김세희;이은지;이지연;최민정;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61
    • /
    • 2013
  • 폐경 전후의 만 45세 이상부터 60세 이하의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 및 불안 증상, 구강자각 증상을 파악하고 관련성을 검토하며, 구강자각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경 증상은 10.61점, 불안 증상은 9.13점, 구강자각 증상은 6.60점이었다. 2. 구강자각 증상 하위요인인 점막염증 증상, 치주질환 증상, 구강건조 증상은 폐경 증상(p<0.001)과 불안 증상(p<0.001)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고, 이들 요인들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01). 3. 구강자각 증상 관련요인은 폐경 증상(odd ratio [OR]=3.72), 불안 증상(OR=2.14), 음주(OR=1.37), 배우자 동거(OR=0.83)이었다(p<0.05). 폐경기 여성들의 폐경 증상과 불안 증상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건강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때 구강건강관리와 절주 프로그램도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강편평태선에 대한 스테로이드 가글의 효과비교 연구 (The Effects of Corticosteroid Solutions in OLP Patients)

  • 정성희;박수현;옥수민;허준영;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1호
    • /
    • pp.27-33
    • /
    • 2012
  • 피부와 구강점막에서 발견되는 편평태선은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주로 언급되고 있으나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완전한 치료법은 아직 없으며 증상의 완화를 치료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편평태선의 일차적인 치료법으로 사용되는 corticosteroid의 두 가지 가글용액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서 구강편평태선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corticosteroid 가글용액을 처방받은 환자들 총 180명의 환자기록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두 종류의 가글용액은 각각 dexamethasone(dexamethasone disodium phosphate, 0.05%)과 prednisolone($solondo^{(R)}$)을 포함하는 용액이었으며 약물 사용 후 증상의 완화 및 재발의 시기를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Dexamethasone gargle(dexa gargle) 처방군은 33명(여성 25명, 남성 8명), prednisolone gargle(solon gargle)처방군은 147명(여성 114명, 남성 33명)이었으며 환자군의 평균연령대는 50대였다. 약물투여 후 초기 2주이내에 증상이 호전된 경우는 dexa gargle을 사용한 환자군에서 유의성 있게 나타났으나 증상재발의 경우는 두가지 가글용액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구강편평태선 환자에 대한 도포용 스테로이드 가글을 이용한 치료에서 증상의 빠른 호전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solon gargle보다는 dexa gargl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재발율에 있어서는 두 약물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상피내암종으로 발전한 Plummer - Vinson 증후군의 수술적 치험 - 1례 - (Surgical Treatment of Plummer - Vinson Syndrome with Carcinoma in Situ - One case report -)

  • 최주원;장운하;박찬필;오태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6호
    • /
    • pp.495-499
    • /
    • 2002
  • Plummer-Vinson(Paterson-Kelly) 증후군은 임상적으로 상부식도 혹은 하인두의 막양구조(web)와 이로 인한 연하곤란, 철분결핍성 빈혈, 그리고 구강점막의 위축성 변화를 동반하는 질환으로, 식도암을 유발하는 전암성 병변으로, 일반적으로 경구 철분 투여만으로 증상을 호전시키거나 내시경을 이용한 풍선확장술이나 전기소작술 치료가 주로 시행되고 있다. 본 병원에서는 63 세 여자환자에게서 나타난 상부식도의 협착을 유발한 병변에 대하여 공장 이식편을 이용한 유리이식술 치료한 후, 병리조직학적인 검사에서 상피내암종으로 진행한 Plummer-Vinson 증후군으로 판명되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주기성 호중구 감소증 환자의 구강 내 소견과 치료에 대한 증례 보고 (ORAL FINDINGS AND TREATMENT OF A PATIENT WITH CYCLIC NEUTROPENIA)

  • 강은주;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33-140
    • /
    • 2013
  • 주기성 호중구 감소증은 호중구의 수가 감소하였다가 다시 정상으로 회복되는 반응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혈액질환이다. 임상적 증상으로 발열, 실신, 두통 등이 있으며 구강 내 증상으로 동통성 연조직 궤양이 특징적인데 특히 입술, 혀, 협점막, 치은이 흔하게 이환 된다. 또한, 치조골 파괴를 동반한 급진성 치주조직 상실을 보이기도 한다. 본 증례의 환아는 4세 1개월의 남아로서 잇몸이 붓고 이가 흔들린다는 것을 주소로 본과에 내원하였다. 환아는 주기성 호중구 감소증 환자로서 하악 전치부 5개 치아를 제외한 모든 유치에 우식이 있었으며 동요를 보이는 하악 좌 우 제1유구치의 국소적 치조골 소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아는 주기성 호중구 감소증에 기인한 광범위한 치아우식증, 치은염, 국소적 치주염으로 진단되었고 치료를 시행하였다. 주기성 호중구 감소증 환자에게는 정기적인 구강위생관리와 함께 치아우식, 치은염에 대한 시기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며 특히 어린 환자들에 있어서 영구치열 형성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기에 개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인의 임플란트 주위 질환에서 real time PCR법을 이용한 치주세균 평가: pilot study (Evaluation of periopathogenic bacteria of peri-implantitis using real-time PCR in Koreans: pilot study)

  • 이문영;권은영;김현주;이주연;주지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3호
    • /
    • pp.186-195
    • /
    • 2018
  • 목적: 한국인에서 임플란트 주위 질환의 심도에 따른 미생물학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real-time PCR)법을 이용하여 5종의 치주세균의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임플란트가 식립된 총 60명의 환자를 치근단 방사선 사진 및 임상지수 검사를 통해 3군(건강군,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군, 임플란트 주위염군)으로 나누었다. 멸균된 curette기구를 이용해 치은연하에서 미생물 샘플을 채취한 후 치주세균 5종에 관해 real time PCR을 시행하였고 comparative delta-CT method를 이용하여 분석한 후 미생물의 상대적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결과: Eikenella corrodens, Treponema denticola의 상대적 발현량은 임플란트 주위염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017). 반면 Fusobacterium nucleatum, Porphyromonas gingivalis의 상대적 발현량은 질환의 심도와는 관련 없이 건강한 임플란트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revotella intermedia의 상대적 발현량은 건강한 임플란트 그룹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 < 0.017). 결론: 한국인의 임플란트 주위질환에서 대표적인 치주염 세균이 검출되었으나 치주염과 유사한 미생물학적 분포를 보이지는 않았다.

소아 피부 경화증 환자의 치험례 (LOCALIZED SCLERODERMA IN A CHILD : CASE REPORT)

  • 김은영;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56-261
    • /
    • 2005
  • 피부 경화증(scleroderma)은 만성 결체조직 질환으로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자가 면역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30{\sim}50$세의 여성에서 호발하며 소아에서는 매우 드물다. 장기의 이환여부에 따라 국소성과 전신성 피부 경화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국소적 형태는 예후가 양호하고 피부에만, 또는 피하 근육까지 이환되며, 내부 장기에는 이환되지 않는다. 전신적인 형태는 피부와 구강점막 및 위장계, 호흡계, 심혈관계 등을 포함하늘 전신 다발적 발생 (multisystemic involvement)이 특징적이다. 안면피부 이환시 작고 예리한 코, 무표정한 응시 (expressionless stare), 좁아진 입모양(narrow oral aperture) 등이 특징적이다. 대개 레이노 현상(Raynaud's phenomenon)이 존재하며 질환이 진행되면서 개구장애와 혀, 치은의 경화가 나타나게 된다. 피부 석회증(calcinosis cutis), 레이노현상(Raynaud's phenomenon). 식도 기능부전(esophageal dysfunction), 공지증(sclerodactyly), 모세혈관 확장증(telangioectasia)이 복합된 질환을 크레스트 증후군(CREST syndrome)이라 부른다. 피부 경화증의 치료는 국소적 및 전신적 스테로이드 치료, collagen cross-link inhibitor (D-penicillamine), 면역억제제 등을 사용한다. 개구제한의 치료는 설압자를 이용한 mouth stretching exercise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국소성 피부 경화증으로 진단되고 개구제한이 있는 6세 남아에게 아산화질소와 enflurane을 이용한 깊은 진정요법을 이용하여 상하악 제 1, 2 유구치의 우식치료 치험례를 보고한다.

  • PDF

수포성 표피 박리증 환자의 치과적 관리 :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OF PEDIATRIC EPIDERMOLYSIS BULLOSA PATIENTS : CASE REPORTS)

  • 한은옥;김성희;김신;정태성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2-126
    • /
    • 2012
  • 수포성 표피 박리증을 가진 환자들은 구강내 수포 형성, 연조직 점막의 박리, 개구 제한 등의 이유로 치과치료를 시행하는데 있어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치과 치료시 많은 주의사항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치과 질환의 예방이 중요하다. 수포성 표피 박리증 환자에 있어 이른 시기부터의 구강 관리는 기능적 치열을 유지시켜 주어 저작 효율을 높여주고 영양 공급 면에서도 도움을 주어 성장 발육을 돕는다. 따라서 지속적인 식이 상담과 구강 위생 관리 교육, 불소 도포 등을 위한 정기 검진이 수포성 표피 박리증 환자에서는 필수적이다.

구강점막질환환자에서 치과재료를 이용한 첩포시험 결과에 대한 고찰 (Dental materials in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 based on the results of patch test study)

  • 정성희;김지수;김경희;옥수민;허준영;안용우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2권2호
    • /
    • pp.96-104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positive patch test reaction to dental materials in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s. Epicutaneous patch test was performed in 110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s; 41 patients with oral lichen planus(OLP), 44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BMS), 25 patients with other oral mucosal diseases including recurrent aphthous ulcer and mucous membrane pemphigoi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Oral gold restorations were most common in pat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s and porcelain fused metal crown, implant appeared in the order. 33 of 110 patients did not appear skin reactions (negative, 30%) and 77 patients (positive, 70%) had skin reactions including redness, rash, blisters. Dental materials causing positive reaction to patch test were mainly as gold-sodium-thiosulfate (26.7%), nickel sulfate(Ni) (22.7%), cobalt chloride(Co) (14.7%), palladium chloride(Pd) (11.9%), potassium dichromate (10.7%) in order, respectively. In conclusion, old metal restorations could be the cause of oral mucosal diseases and epicutaneous patch test could be used as a tool to improve the oral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