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작열감증후군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초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임상 특징에 따른 심박변이도 분석 (Heart Rate Variability Analysis According to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 이현진;하나연;고석재;박재우;김진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3-67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index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BMS) and to evaluate the predictive value of HRV for Korean medical treatment responsiveness to tongue pain in BMS. Methods: Among BMS patients who visited the Oral Diseases Clinic of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January 1, 2018, to May 31, 2021,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217 women aged 50 years and over. HRV and unstimulated saliva flow rate (USFR)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and all patients were asked to indicate their degree of tongue pain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hyposalivation and VAS improvement, and each subgroup was compared using the HRV index.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cause-effect relationships were present betw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s. Results: BMS patients had lower LF and HF than healthy people. Subgroup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RV index according to salivation rate and degree of pain. In addition, as the LF/HF ratio increased, the pain improvement rate decreased after treatment. Conclusion: The autonomic nerve activity of BMS patients was lower than that of healthy people; however, autonomic balance was not impaired. In addition, tongue pain in BMS patients responded more favorably to Korean medical treatment when patients fell within a normal range of the LF/HF ratio, suggesting that autonomic imbalance could be used as one of the predictable factors in clinical practice.

구강작열감증후군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최근 국내외 임상 연구 동향 (Research Trend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s for Burning Mouth Syndrome)

  • 최지민;홍석훈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88-112
    • /
    • 202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s of burning mouth syndrome, understand the tendency of treatment, and apply it to clinical settings. Methods : We collected case reports, retrospective cohort studies and RCT studies related to oriental medical treatments of burning mouth syndrome using domestic and Chinese databases(CNKI, KISS, RISS, OASIS, KCI). Search terms include 'Burning Mouth Syndrome', 'BMS', 'Burning Tongue', '灼口综合征', and 'oriental medicine', 'oriental medical treatment', 'Korean medicine' and '中医'. A search was conduct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keywords. Results : A total of 27 pape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mong them, 9 are case studies, 1 i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1 is a before and after study and 16 are RCT studies. Treatments for burning mouth syndrome included herbal medicine,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acupoint injection, auricular acupuncture treatment, external use herbal medicine and gargling. In all studies, symptoms of burning mouth syndrome were alleviated after oriental medical treatments. In 14 RCT studies comparing western medical treatments,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group that included oriental medical treatments were found to be more significant, except for one. Conclusions : As a result of the study, oriental medical treatments are effective in treating burning mouth syndrome. In the future, we hope that clinical research related to oriental medical treatments of burning mouth syndrome will be actively conducted so that evidence-based treatment can be implemented.

구강작열감 증후군 환자에서 Nd-YAG 레이저 조사에 대한 구강점막 부위의 통증 인지도와 점막세포 각화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Perception Scale and Keratinization Rate of Oral Mucosa to Nd-YAG Laser Stimulation in Burning Mouth Syndrome Patients)

  • 김지연;김병국;정성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2호
    • /
    • pp.161-171
    • /
    • 2001
  • In order to determine how oral mucosal change relates to inducing factors of burning mouth syndrome, the difference in pain perception scale and keratinization rate between burning mouth syndrome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were investigated. Twenty patients (13 female, 7 male, mean age: 59 years), presenting in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had been complaining of constant oral burning pain for more than a year, none took any strong analgesics, and none had oral mucosal lesions. Twenty volunteers (11 females, 9 males, mean age: 25 years) were als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control group. The control subjects had never had any symptoms of oral burning pain. A thermal stimulation using a Nd-YAG laser and cytological smear were carried out to anterodorsal part of tongue, tip of tongue, the left buccal mucosa, the lower lip mucosa and the chief complaint site. Stimulation of the dorsum of left hand was also carried out to contrast the mucosal area of burning mouth syndrome subjects and the control subjects. The laser output power could be adjusted from 0.75W to 4W. The pain perception scale of the burning mouth syndrome subjects were lower than in control subjects in the chief complaint area, the anterodorsal part of tongue and the buccal mucosa(p<0.01). The keratinization rate of burning mouth syndrome subjects, however, was higher keratinization rate than in normal subjects in the same area and lower lip mucosa(p<0.001). From above results, the anterodorsal part of tongue is the most appropriate site to use diagnostic laser stimulation. The higher level of keratinization and the lower level of thermal pain perception of the burning mouth syndrome subjects are explained as a protective mechanism against xerostomia and burning sensations. The application of Nd-YAG laser stimuli and cytological smear to oral mucosal surface could therefore be usefully employed as appropriate and standardized diagnostic tools for chronic orofacial pain subjects.

  • PDF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노인 환자들의 임상 역학 연구 (Clinical Epidemiology for Elderly Patients of Oral Medicine Clinic)

  • 오현선;김혜경;박좋은;김기석;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1호
    • /
    • pp.19-28
    • /
    • 2013
  • 우리 사회의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노인 인구는 이미 사회적으로나 의료계에 중요 연령집단으로 자리매김했으며 그 중요도는 향후 더욱 증가할 것이다. 특히 만성의 비치성 구강안면통증질환과 구강건조증, 하악운동이상증, 구강연조직질환 등을 주로 다루는 구강내과의 특성상 노인 환자들의 비중이 증가할 것이나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노인 환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난 10년 사이 치과대학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의 연령별 분포의 변화를 조사하고 특히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노인 환자의 다양한 임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2001년과 2011년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의 초진환자에 대한 병원전산자료와 2011년 구강내과 환자의 챠트와 설문지 자료를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지난 10년 사이에 치과병원과 구강내과의 노인환자 비율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구강내과의 노인환자는 2배 이상 증가하여 전체 치과병원 환자의 증가 (1.6배) 보다 뚜렷하였다 (p=0.000).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의 13.5%는 노인환자였으며(남:녀=1:2.1), 이들 중 약 83%가 하나 이상의 전신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진단별로 볼 때 노인 환자들도 18~64세 사이의 일반 성인 환자들과 마찬가지로 턱관절장애의 비율이 가장 높았지만, 구강연조직질환, 구강건조증, 구강작열감증후군, 하악운동이상증의 발생이 성인 환자에 비해 많았다(0=0.000). 통증과 일상생활제한, 우울과 불안 역시 노인 환자들이 높았다 (p<0.05).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노인환자들은 재발성 혹은 만성의 질환이 많고, 다양한 전신질환과 다수의 약물복용 등, 의사소통의 제한 등으로 인해 질병의 평가와 치료가 더욱 복잡해지고 제한되기 때문에 증가하는 노인환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평가법의 개선이나 특화된 관리가 필요하다.

구강내과에 내원한 신환에 관한 분석 연구 (The Analysis and Study of First Visit Outpatients in Oral Medicine)

  • 고명연;허준영;옥수민;김경희;정성희;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137-142
    • /
    • 2013
  • 구강내과는 측두하악관절장애 및 신경병성통증 등과 같은 구강안면 통증, 연조직 질환, 구취, 레이저 치료,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 법치의학적인 감정 분야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의 질환은 비교적 흔하게 발생되며 환자에게 큰 불편과 고통을 안겨주며 때로는 건강에 치명적인 위협을 초래하기도 한다. 구강내과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현대 사회로 갈수록 생활 패턴의 변화와 스트레스 증가 등의 원인으로 턱관절 장애를 포함한 구강 안면 통증 환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또한 연조직 질환,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 법치의학적인 감정 등과 같은 구강내과적인 전문성을 요구하는 분야의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치과학 중에서 구강내과의 역할과 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증가되고 있다. 연간 구강내과에 내원한 신환의 질병명에 따른 분포도와 증상의 이환 기간, 내원 경로 등을 분석하는 것은 향후 구강내과의 역할과 비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며 환자를 위한 원활한 진단과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1년간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신환을 분석하여 향후 구강내과의 역할과 전문성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신환은 주로 측두하악장애, 연조직 질환, 신경병성 통증 환자로 나타났다. 2. 측두하악장애 환자는 신환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세부 진단순은 복합 장애 환자, 근육통 환 자, 관절원판 내장증 환자 순이었다. 3. 연조직 질환 환자 중 구강건조증 환자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그다음 편평태선 환자,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 순이었다. 4. 신경병성 통증 환자에서 구강 작열감 증후군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구강안면 운동장애의 임상적 증상 발현 (Clinical Manifestations in Orofacial Movement Disorders)

  • 유지원;윤창륙;조영곤;안종모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4호
    • /
    • pp.375-382
    • /
    • 2008
  • 구강안면 운동장애에 관한 진단 및 치료에 관한 기초를 수립하기 위하여 2007년 9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33명의 구강안면 운동장애 환자의 연령, 성별, 전신병력 및 주소에 관한 진단명, 자각여부, 구강안면 운동의 유형 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여자가(81.82%)가 남자(18.18%)보다 구강안면 운동장애에 많이 이환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72.78($56{\sim}87$)세였다. 2. 대부분 전신질환에 이환되어 있었고(81.82%),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전신질환은 고혈압(22.41%)이었으며, 당뇨(17,24%), 우울증(8.62%), 위염(8.62%)순이었다. 3. 임상증상을 분석한 결과, 측두하악장애가 17명(33.33%)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조직질환(11명, 21.57%), 구강작열감증후군(9명, 17.65%), 구강운동(8명, 15.69%), 광범위한 안면통증(6명, 11.76%) 순이었다. 4. 특정한 원인 없이 증상이 발현한 경우가 72.73%로 가장 많았으며, 보철치료 후 증상이 발현된 경우가 24.24%, 우울증약 복용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3.03%이었다. 5. 구강안면운동의 유형을 평가한 결과, 폐구형(close)이 가장 많았으며(9명, 50%), 측방형(6명, 33.33%), 개구형(3명, 16.67%) 순이었다. 6. 구강안면운동를 자각하고 있지 못하는 경우가(54.55%) 자각하고 있는 경우(45.45%)보다 더 많았다. 따라서 치과의사는 구강안면통증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구강안면 운동장애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정확한 진단 및 처치를 통해 불필요하고 비가역적인 치료를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항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에서 기울과 전중($CV_{17}$)압통의 상관성 - Algometer를 이용한 전중압통의 정량화 측면에서 - (Correlation between Qi-Stagnation and Pressure Pain Threshold on $CV_{17}$ (Danzhong : 膻中) in Burning Mouth Syndrome Patients - In the Perspective of Quantification of Pressure Pain Threshold on $CV_{17}$ by using Algometer -)

  • 강경;김진성;선종기;손지희;김주연;장승원;손지영;이현주;류봉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98-510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qi-stagnation score and pressure pain threshold (PPT) on acupuncture point $CV_{17}$ in burning mouth syndrome (BMS) patients. Methods : Thirty BMS patients who newly visited Oral Disease Clinic at the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were surveyed. The subjects were evaluated on age, illness duration, sex, self-assessed severity of BMS, qi-stagnation score, and PPT on 3 acupuncture points ($CV_{17}$, Rt. $SP_9$, Lt. $SP_9$). Results :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ge and PPT on $CV_{17}$ (p=0.005). Therefor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ith age as control variable was done, and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qi-stagnation score and PPT on $CV_{17}$ (p=0.001). Qi-stagnation diagnostic point by PPT on $CV_{17}$ was suggested as 3.8056 $kg/cm^2$ based on the fact that diagnostic score is 28.50 in the qi-stagnation questionnaire.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PPT is effected by age, we could attain qi-stagnation diagnostic equation of PPT on $CV_{17}$, that is suggested as $0.047{\times}(age)+0.848kg/cm^2$. PPT of 3 acupuncture points ($CV_{17}$, Rt. $SP_9$, Lt. $SP_9$) was compar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PPT was significantly lower on $CV_{17}$ (w/Rt $SP_9$: p=0.022, w/Lt. $SP_9$: p=0.012). Also, significanc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qi-stagnation were higher on $CV_{17}$ (p<0.001, r=-0.620) than Rt. $SP_9$ (p=0.023, r=-0.413) or Lt. $SP_9$ (p=0.014, r=-0.444). Conclusions :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PT on $CV_{17}$, measured quantitatively by algometer, had a strong correlation with qi-stagnation score in BMS patients. Therefore, the study showed that $CV_{17}$ can be a useful acupuncture point in diagnosing qi-stagnation by measuring PPT in BMS patients.

타액분비저하에 따른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임상적 특징 비교 (Comparison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due to Hyposalivation)

  • 이하늘;김동윤;백소영;정해인;이현진;조윤재;하나연;김진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838-847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BMS) due to hyposalivation (HS).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39 BMS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Digestive Diseases of Kyunghee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March 1st, 2020 to July 31st, 2020.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hyposalivation and both groups were compared for the proportion of coated tongue, heart rate variability (HRV), Ryodoraku, and the numeral rating scale (NRS) score of tongue pain results. Results: The BMS with Hyposalivation (HS group) and the BMS without Hyposalivation (Non-HS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coated tongue and the NRS score for tongue pain. The NRS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HS group and the proportion of coated tongue was lower.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several HRV parameters between the two groups. The most frequent accompanying symptoms were xerostomia and dyspepsia.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yposalivation might be one of the main causes of tongue pain, the key complaint in BMS patients. Sympathetic/parasympathetic imbalance might not be a main contribution of hyposalivation in BMS. Instead,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medications taken seem to correlate with hyposalivation in BMS. This results could be useful in the management of BMS patients with hyposalivation in clinical practice.

전기미각측정기를 이용한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 환자의 미각평가 (Evaluation of Taste in the Patients with Recurrent Aphthous Ulceration by Electrogustometer)

  • 전진용;안용우;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7
  • 1. 서론 : 미각 장애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유지에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으며 국소적 병소나 전신적 질환의 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질병의 진단에 좋은 참고 자료를 제공하기도 한다. 미각역치검사는 검사방법에 따라 화학용액법과 전기미각측정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전기미각측정법이 자주 사용된다. 전기미각측정법을 이용하여 전신적,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구강내 병소와 관련된 미각의 연구는 불충분 하였다. 이에 구강내 질환중 가장 자주 발생하는 RAU와 미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에 구강검사를 통해 재발성 구내궤양으로 진단된 환자 27명을 실험군으로 선택하고, 인천 소재 00치과의원에 내원한 치과환자 중에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신질환, 약물복용, 구강내 연조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는 환자 70명을 대조군으로 선택하였다. 전기미각측정기(Electrogustometer, Model EG-2B, Nagashima Medical Instrument Co., Nagashima, Japan)를 사용하여 오른쪽 혀끝, 측방 중앙부위, 유곽유두 근처부위, 연구개 부위에서 미각역치 측정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왼손에 전기 미각측정기의 부저를, 오른손에 음극을 잡도록 하였다. 검사자는 양전극을 피검자의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위치시킨 후 전류강도를 낮은 수치에서부터 점점 증가시켰다. 각 부위에서 5분 간격으로 2회 측정한 다음, 평균치를 구하여 그 부위에 대한 전기미각역치로 정하였고, 측정단위는 dB로 하였다.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들은 진단이 되었을 때 미각역치를 측정하고, 1회 치료 후 한 번 더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34dB에서 느끼지 못하는 연구대상자들의 전기미각역치는 34dB로 기록하였고,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인 실험군에서는 구강증상의 변화를 Numerical Analougue Scale(NAS)로 평가하였다. 3. 결론 : 1.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전기미각역치는 매우 낮았다. 2. 여성에서는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에서 전기미각역치가 매우 낮았으며, 남성에서는 연구개를 제외한 전 부위에서 낮았다. 3.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의 구내병소가 단일병소일 경우보다 복수 병소일 경우에 미각역치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의 만성도에 따른 비교에서는 만성환자군에서 혀끝, 유곽유두부위, 연구개 부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급성환자군에서는 혀 측방중앙부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의 치료에 따른 전기미각역치는 혀끝, 혀 측방중앙부위, 유곽유두부위에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연구개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NAS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