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신념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5초

앤더슨 뉴만모형을 이용한 아동의 치과의료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CHILDREN'S DENTAL UTILIZATION: AN APPLICATION OF THE ANDERSEN MODEL)

  • 김수남;이흥수;김경회;김대업;박득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62-170
    • /
    • 1998
  • 아동의 치과의료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아동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이해를 증진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전라북도 익산시에 거주하는 아동과 그들의 모친 1907쌍을 대상으로 앤더슨-뉴만 모형을 적용하여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사방법은 자기개별 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법이었다. 모형에 의한 종속변수는 아동의 치과의료이용횟수였고, 독립변수는 소인성 요소, 가능성 요소 필요성 요소로 구분 된 39개 요인이었다. 소인성 요소는 인구 및 사회 경제학적 요소, 모친의 영향 요소, 아동 자신의 요 소로 세분된 32개 요인이었고 가능성 요소는 월 평균 세대소득 등 6개 요인, 필요성 요소는 구강병으로 인한 활동제약 및 활동불능일수였다. 아동의 치과의료이용행태에 대한 앤더슨-뉴만 모형의 설명력은 25%였다. 소인성 요소가 가능성 및 필요성 요소보다 아동의 치과의료용회수에 대한 설명력이 더 컸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변수는 치 의사에 대한 가치, 모친의 구강건강신념 중 감수 성, 아동의 구강건강신념 중 감수성과 유익성 및 장애도, 아동의 학년, 출생순위, 진료비에 대한 부담, 단골구강진료기관유무, 구강병으로 인한 활동제약 및 활동불능일수였다. 모친의 교육수준, 사회경제적지위, 가족수 등 12개 요인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모친의 치과의료이용횟수였고, 아동의 구강병으로 인한 활동제약 및 활동불능일수, 아동의 구강건강신념 중 감수성, 단골구강진료기관유무 등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이 아동의 치과의료이용에는 모친의 영 향이 매우 크며 다른 연령층과는 달리 소인성 요소에 속하는 요인들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아동의 적절한 치과의료이용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모친의 행동이 중시되어야 하며, 모친과 아동을 함께 고려하는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다문화가정 모친의 자녀 구강건강관리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to oral health management for child in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 김미;조영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807-819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behavior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oral health management of children. Methods: The subjects were 303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having children in childhoo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outcome, a factori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outcom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one-way ANOVA was used,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severity, self-efficacy,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disability that show attitudes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mother's oral health behavior. Moreover,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sensitivity, and the mother's oral health behavior that show attitudes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children's oral health manageme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interest in mother-and-child oral health, developing a mother-and-chil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argeted toward the oral health of the mothers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oreover, it is essential to educate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increase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 their children's oral health management, aiming to promote knowledge and to change attitudes and behavior.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구강상태의 변화 (The Change of the Oral Health Status after Applying the D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 최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06-213
    • /
    • 2013
  • 본 연구는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신념의 형성을 위해서 결혼이주여성들은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구강보건교육 실시 전과 실시 후가 구강건강 지식 및 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진단해보고 실제적으로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구강건강증진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한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2년 3월 26일에서 2012년 6월 30일까지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51명으로 구성되었고, 구강지식과 인식을 사전-사후 조사했으며 인식에 변화가 있어 치과를 방문한 사람을 추후 조사하여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대응표본t검증,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강보건 인식에서는 구강상식,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질 영역에서 향상 나타났고 구강보건지식에서는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질, 불소, 구취영역에서 구강보건인식에서 향상 나타났다. 우식경험영구지수(DMFT index)변화 즉 우식경험 미처치 치아수 (DT index)가 줄어들고 우식경험 처치치아수 (FT index) 늘어났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국제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들의 구강보건인식. 지식 등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지식의 변화는 행동의 영향을 주어 치주상태, 우식경험 영구치지수의 변화도 있었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추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예방과 치료를 병행할 수 있게 되어야할 것이다.

청소년의 구강건강신념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의 구강건강관리행동의 조절효과 (Effect of Oral Health Belief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Oral Health Behavior o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Adolescents)

  • 박현민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3-144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predisposing factors which influence the adolescent oral health enhancement behavior by analyzing controlling effects depending on the parents' oral health care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sposing factors and adolescent behavior improvements which enhance oral health. Methods :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given from July 6 through July 24,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 Parents' oral health behaviors in terms of discipline and guidance showed a controlling effect in terms of importance (${\beta}$=.116) and benefits (${\beta}$=.133). In addi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arents' oral health care behavior had a controlling effect in terms of benefits (${\beta}$=.164) and susceptibility (${\beta}$=-.116). Conclusions :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and education courses to lead to behavior changes are thought to be necessary in order to enhance the importance and benefits of the factors of oral health beliefs and to reduce psychological discomfort. Moreover, the role of parents with regard to desirable habits and beliefs to maintain oral health in their children is essential.

임산부의 임신 전과 임신 중의 구강건강관리 행태 비교 (Comparison of Oral Care Patterns Before and During the Pregnancy)

  • 박지현;이경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3-278
    • /
    • 2011
  • 이 연구는 임산부의 임신 전과 임신기간 중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실태와 지식, 실천행위, 구강건강신념 및 치과의료이용 양상을 비교분석하여 임산부의 구강질환 예방과 건강한 구강건강관리 행태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그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으며, 2010년 4월 1일부터 4월 29일까지 대구광역시와 경상남도 창원시에 소재한 9개 산후조리원에서 출산 후 산후조리를 하고 있는 산모 291명을 최종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잇몸출혈 경험여부에서 임신 전 잇몸출혈이 있는 경우가 45.0%이었고, 임신 중의 잇몸출혈 경험률이 55.7%였다. 2. 대상자의 평균 잇솔질 횟수는 임신 전은 3.05회이고, 임신 중에는 2.99회 였다. 3. 연구대상자 중에서 임신기간 중 치과치료 경험이 있는 사람이 17.5%였다. 4. 구강건강지식 점수는 10점 만점에 7.82점 이었고, 구강건강 실천행위점수는 10점 만점에 임신 전은 5.38점, 임신 중에는 5.14점 이었다. 5. 치과의료이용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임신 전 사전구강관리(p<0.01), 구강질환에 의한 활동제약 경험(p<0.01), 구강건강관심도(p<0.05), 단골치과 유무(p<0.01)등이 치과의료이용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임신기간 중의 구강건강관리 행태는 임신 전보다 구강건강관리 실천율이 낮았음을 알 수 있다.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교정하고, 임신 중 구강보건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학생의 구강건강신념 및 구강건강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 practice)

  • 지민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65-180
    • /
    • 2008
  • The present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on factors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 practice. In order to find methods for forming right beliefs and inducing desirable behavioral pattern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470 students at two middle schools in Cheongju and drew conclusions as follows. Of the 470 questionnaires, 457 were recovered. With 10 inappropriately answered ones excluded, 44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1. As to oral health belief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sceptibility was 2.63 points (p=0.035) in male students, 2.68 (p=0.016) in 3rd year students, and 2.92 (p=0.002) in only child students. Seriousness was 2.57 (p=0.017) in male students, 2.67 (p=0.001) in 3rd?year students, and 2.92 (p=0.001) in only child students. barrier was 2.62 (p=0.009) in 3rd year students, and 2.95 (p=0.002) in only child students. Benefit was 3.40 (p=0.011) in female students, and 3.43 (p=0.003) in 1st year students. salience was 3.21 (p=0.006) in female students, and 3.24 (p=0.009) in 1st year students. 2. As to oral health belief according to oral?health?related factors, susceptibility and seriousness were 2.69 (p=0.003) and 2.72 (p=0.000), respectively, in the lower?middle class group, 2.83 (p=0.001) and 2.80 (p=0.003), respectively, in the drink taking group, and 2.80 (p=0.000) and 2.75 (p=0.000), respectively, in the low conversation group. barrier was 2.63 (p=0.018) in the lower?middle class group, 2.67 (p=0.021) in the low conversation group, and 2.77 (p=0.000) in the group fearing the visit to the dental clinic. Benefit was 3.36 (p=0.000) in the high conversation group, and 3.37 (p=0.0l5) in the group visiting the dental clinic for prevention. salience was 3.26 for beverage and 3.20 (p=0.003) for fruit and vegetable. 3. As to oral health practi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core of oral health practice was 3.21 (p=0.000) in female students, 3.30 (p=0.000) in those aged 12 or below, and 3.27 (p=0.000) in 1st?year students. 4. As to oral health practice according to factors related to oral health, the point was 3.17 (p=0.002) in the middle upper class group, 3.24 (p=0.001) in the group eating mainly fruit or vegetable, and 3.18 (p=0.030) in those with experience in education. 5. Oral health practice was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usceptibility (r=-0.143), and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enefit (r=0.229) and salience (r=0.286).

  • PDF

직장인들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al-health belief and oral-health care of company employees)

  • 임미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5-21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an oral-health promotion program geared toward office work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0 employees at the headquarters of S construction company.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and August 2008, the answer sheets from 208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191 answer sheets were analyzed except 17 unanalyzabl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regard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largest number of the participants that accounted for 37.2% found their mouth to be neither healthy nor unhealthy. The greatest number of them that represented 58.1% had never visited a dentist's office to receive preventive treatment. 2. Regarding relationship between toothbrushing education experience and toothbrushing frequency, the most common toothbrushing frequency was three times a day( 46.5%) among the company employees who had ever received that education. In the event of the office workers without that experience, the most prevalent frequency was three times(63.6%). The toothbrushing frequ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oothbrushing education experience(p<0.05). As to the relationship of toothbrushing education experience to tooth- brushing method, the largest number(48.2%) of those who had ever received that education brushed their upper and lower teeth along with the gums by rotating the toothbrush downward from the top and upward from the bottom respectively. In the event of the office workers without that experience, 49.4 percent brushed their teeth and gums by rotating the toothbrush up and down. Thus, whether they had ever received education about toothbrushing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toothbrushing method(p<0.05). 3.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ir oral health belief by utilizing a five-point scale, they got a mean of 2.95. In each area of oral health belief, they got the best marks in benefit(3.66), salience(3.42), barrier(2.84), susceptility(2.58) and seriousness(2.23). Given the above-mentioned finding of the study, two sorts of oral health beliefs, which are benefit and salience, should be stressed in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cater to company employees. And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actual oral health care.

  • PDF

일부 대학생의 흡연실태와 흡연신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the State of Smoking to Smoking Beliefs among College Students)

  • 이현옥;송지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69-377
    • /
    • 2013
  •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의 흡연실태와 흡연실태에 따른 흡연신념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흡연 예방 및 금연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2012년 5월 1일부터 6월 1일까지 전라북도에 위치하고 있는 10개 대학교 학생 중 1,696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흡연실태는 흡연경험이 있는 학생은 23.7%였고, 처음 흡연한 시기는 고등학교가 42.1%로 가장 높았고, 흡연기간은 4년 이상이 46.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흡연신념은 한 달 용돈이 30만원~39만원과, 40만원 이상에서 1.91점으로 가장 높았고(p<0.001), 흡연과 구강건강 관련성은 '전혀 그렇지 않다'가 2.0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3. 흡연실태에 따른 흡연신념은 처음 흡연한 시기에서 초등학교가 2.66점으로 가장 높았고, 친한 친구 5명 중 흡연하는 친구는 4명이 2.6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4. 흡연의존도와 금연의도에 따른 흡연신념은 흡연의존도에서 '매우 그렇다'가 2.75점으로 가장 높았고(p<0.001), 금연의도는 '금연하지 않음'이 2.6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학교 내 구강건강관리행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s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in School)

  • 이선미;하정은;김민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96-702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칫솔 휴대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를 파악하여, 대학생이 학교에서 구강건강관리를 수행하지 않는 이유를 탐색하고, 대학생들의 바람직한 구강건강관리활동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부산 소재 K대학 재학생 2,788명이었다. 남성은 1,536명(48.7%), 여성은 1,252명(51.3%)이었고, 전공별로는 보건계열이 670명(24.0%), 비보건계열이 2,118명(76.0%)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칫솔 휴대 비율은 보건계열 670명 중 473명(70.6%)였고, 비보건계열 2,118명 중 770명(36.4%)로 보건계열 학생이 칫솔을 휴대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칫솔을 휴대한 1,243명의 학생 중에서 외부에서 식사 후 칫솔질을 꼭 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해야 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보건계열이 74.8%로 비보건계열보다 높았고, 칫솔 휴대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 관리행태는 칫솔을 휴대하고 있는 그룹에서 학교 내 칫솔질 실천율과 치실이나 치간솔의 사용율, 음주 후 칫솔질 실천율이 칫솔을 휴대하지 않는 그룹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내에서 칫솔질 실천율을 조사한 결과, 학교에서 이를 닦는 비율은 42.8%로 나타나, 학생들의 절반 이상이 학교에서 이를 닦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귀찮아서 이를 닦지 않는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대학생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신념과 태도 및 지식을 올바르게 형성시키려면, 현 시점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시급하며, 칫솔 배분이나 칫솔 교체 사업 등과 같은 실질적인 대학생 대상 건강증진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구강건강신념이 구강병 예방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n Oral Disease Prevention and Quality of Life)

  • 최유진;박재성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13-122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oral health belief, prevention of oral diseases, and quality of life subject in adults over 20 years of age. Methods : This study enrolled 237 participants who visited Y hospital located in the Gyeongnam district as the final subjects for the analysis. From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oral health belief on each parameter using SPSS 18.0. Results :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in oral health belief with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prevent oral disease was importance. The behavior for prevention of oral disease was influenced by sensitivity, and the quality of life was affected by self-efficacy.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oral health in adults, continuous support from oral health professionals is required to make pati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the sensitivity of oral health and reduce sensi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