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궤양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5초

전신질환과 치과질환

  • 이승우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9권7호통권266호
    • /
    • pp.543-549
    • /
    • 1991
  • 구강질병의 합리적인 관리는 질병의 원인규명을 바탕으로 예방과 치료가 이루어 져야 한다. 구강의 발생학적, 생리학적인 복합성 때문에, 구강질병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어려우므로 치과진료실에서의 진료행위는 상당한 제한된 것이었고 불완전한 것이었다. 치아의 지지경조직, 연조직, 기타 구강에 영향을 주는 제반질병의 합리적인 관리가 구강내과학적으로 우선되야 할 것이다. 치과의사는 백혈구나 적혈구에 이상이 있는 환자는 치료하는 경우에 주의하여야 할 점이 많으므로 환자의 병력, 임상검사 및 예비검사등에 의하여 이러한 질병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환자에서는 비정상 출혈, 치유지연, 감염 혹은 점막 궤양이 나타나기 쉽다. 더구나 이들 중 어떤 질환은 치명적으로 이런 환자를 찾아내어 치과처치를 하기전에 내과의사에 보내어 진단, 치료를 받게 해야 한다. 환자자신이 질환에 대해 알고 있고 내과적 처치를 받고 있는 경우라도 의사와 협의가 없이는 어떠한 치과적 처치라도 피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이에 이러한 혈액질환들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등을 간단히 소개하여 수차에 걸쳐 연재하도록 하겠다. 여기에 연재된 내용들은 어떤부분에서는 너무 자세하게 기술된 내용도 없지 않으나 조금이나마 환자 치료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PDF

베체트 병에 대한 동서의학적 고찰 (A Literature study of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Beçet's disease)

  • 유금룡;장규태;김장현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91-204
    • /
    • 1999
  • 만성적이며 재발성 질환인 베체트 병에 대한 한의학적인 진단과 치료의 개념을 도입하고 동서협진의 연구기반을 정립하기 위하여 동서의학적 고찰을 하였다. 서의학적으로는 터키의 피부과 의사인 베체트가 1937년 처음으로 하나의 증후군으로 베체트 병을 제시한 이래로 여러 가지 원인과 치료들이 제시되었으나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치료제가 개발되지 못한 상태이며 진단에 있어서 보조적 진단방법이나 질병의 진행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검사방법이 없어 치료에 대한 반응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의학적인 많은 임상치료가 시행되었고, 한의학적 임상례를 통하여 볼 때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내복약 외에도 침구요법, 외용방, 광선요법 등이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홍순에 발생한 출혈성 궤양 병소의 증례보고 및 감별진단 (Case Report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Hemorrhagic Ulcerative Lesions on the Vermilion Zone)

  • 이경은;정원;조남표;서봉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2호
    • /
    • pp.99-105
    • /
    • 2011
  • 홍순(red zone 또는 vermilion zone)은 해부학적으로 입술의 피부부위에서 구강점막으로 이행되는 부위로 선 구순염, 접촉구순염, 구각 구순염, 형질세포성 구순염, 박탈성 구순염, 광선 구순염, 육아종성 구순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으로 알려진 다양한 구순염과 감염성 질환, 양성 및 악성 종양, 다른 전신질환의 피부증상과 관련된 병소들이 나타난다. 본 증례에서는 홍순에 발생한 궤양성, 출혈성, 가피를 형성한 병소들에 대해 형질세포 구순염과 Stevens-Johnson syndrome(SJS)과 관련된 홍순 병소를 경험한 바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다형홍반과 스티븐스-존슨 신드롬의 증례보고 (Erythema Multiforme and Stevens-Johnson Syndrome : Case Reports)

  • 정원;이경은;변진석;서봉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4호
    • /
    • pp.207-213
    • /
    • 2011
  • 구강 점막에 발생하는 동통성 궤양은 다양한 질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구강내 병소가 발생한 후 피부병소가 발생하는 질환 또는 구강과 피부 동시에 병소가 발생하는 질환의 경우, 구강내만 국한하여 검사를 시행하고 피부 병소를 간과할 때는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구강 및 전신에 발생한 통증성, 미란성 병소가 나타나는 다형홍반 및 Stevens-Johnson syndrome(SJS) 환자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 피부병소가 동반되는 구강점막 질환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SCL-90-R을 이용한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궤양 환자의 심리학적 분석 (Psychological Analysis of Recurrent aphthous ulcer Patients with SCL-90-R)

  • 고명연;김창용;전혜미;옥수민;안용우;정성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1호
    • /
    • pp.19-25
    • /
    • 2012
  •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양산부산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초진 내원한 외래환자 중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궤양(RAU)으로 임상 진단된 환자 20명과 구강편평태선으로 임상진단 된 환자 33명,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생 59명을 대조군으로 정하고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RAU 환자군과 편평태선 환자군, 대조군은 9개 증상차원 기본척도의 T 점수 평균값은 모두 65 이하로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2. RAU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SOM 지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DEP 지수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RAU의 여성 환자군은 여성 대조군에 비하여 SOM, DEP, HOS 지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P<0.05), ANX 지수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RAU 환자군은 편평태선 환자군에 비하여 HOS 지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O-C, I-S, DEP 지수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구강궤양 환자의 타액내 면역 글로블린 A의 농도 (Salivary Immunoglobulin A Concentrations in Patients with Oral Ulcer)

  • Geun-Chun Ryu;Chang-Lyuk Yoo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9권1호
    • /
    • pp.117-124
    • /
    • 1994
  • Parotid and whole saliva were collected from 27 healthy adults, from 25 years of age to 30, and from 27 patients with oral ulcer, from 23 years of age to 61. The amount of each Salivary immunoglobulin A was measured by single radial immunodiffusion (SRID) techniqu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disease group in the concentration of immunoglobulin A in whole saliva. 2. The concentration of immunoglobulin A in parotid saliva of the normal group was higher than the diseas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p<0.01) 3. The concentration of immunoglobulin A of the parotid saliva in both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hole saliva.

  • PDF

구강내 다형홍반의 증례보고 (Oral Erythema Multiforme: Case Report)

  • 노병윤;안종모;윤창륙;유지원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1호
    • /
    • pp.1-5
    • /
    • 2013
  • 다형 홍반은 피부 혹은 점막에 영향을 미치는 수포성, 궤양성의 염증성 질환이다. 이는 단순포진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이나, 항생제나 진통제와 같은 약물에 의해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으로는 피부에 과녁모양의 전형적인 병소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강 내에 증상이 발현 될 경우, 입술, 볼, 혀에 미란성의 병소가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다른 구강내 병소와의 감별을 필요로 한다. 본 증례에서 트리코모나스 감염 또는 메트로니다졸 투여로 인해 유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구강에 발생한 다형홍반의 사례를 소개하고, 다형홍반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전기미각측정기를 이용한 구강점막질환 환자의 미각평가 (Evaluation of Taste in The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 by Electrogustomter)

  • 이용한;태일호;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2호
    • /
    • pp.133-14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 미각 측정기를 사용하여 구강점막질환(구강편평태선,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을 지닌 환자의 미각 감수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173명의 환자가 100명의 대조군과 73명의 실험군으로 구성되었으며 73명의 환자는 부산대학 병원 구강내과에 2005년 4월부터 2007년 1월까지 내원하였다. 대조군은 2006년 2월부터 8월까지 청주 및 인천 소재 치과의원에 내원한 치과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기미각측정기(electrogustometer)를 사용하여, 오른쪽 혀끝, 측방 중앙부위, 유곽유두 근처부위, 연구개부위에 미각측정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에서의 전기 미각 역치는 대조군에서 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01). 2. 실험군에서 만성도와 병소의 개수에 따른 전기 미각 역치의 주목할 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Dexan을 단독 사용했을 때와 Dexan과 Prednisolone을 함께 투여한 환자들에서, 전기 미각 역치의 주목할 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4. 치료 경과(반응없음 vs 1/2 개선 vs 완전개선)에 따른 전기 미각 역치의 주목할만한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NAS에 의해 측정된 증상의 개인적 지표는 미반응 군에서는 주목할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완전 개선 군에서는 눈에 띄게 감소하였다(p<0.001)

Kostmann 증후군과 골수이형성 증후군 환아의 증례보고 (KOSTMANN SYNDROME AND MYELODYSPLASTIC SYNDROME WITH DENTAL PROBLEM : A CASE REPORT)

  • 현홍근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2-36
    • /
    • 2008
  • 본 증례에서 나타난 Kostmann 증후군 및 MDS의 치과적 소견을 정리해 보면, 전반적인 치주염(GPP), 고도의 치조골 소실 및 치아동요도, 협점막의 궤양, 편도염, 구강내 동통, 하순의 점상 출혈 등을 들 수 있다. 적극적인 항생제 투여와 G-CSF 피하 주사가 환자의 전신적 상태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완치가 어렵기에 치과 치료시 주의가 필요하며, 구강위생관리를 철저히 잘 할 수 있도록 환자 및 보호자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교육해야 할 것이다.

  • PDF

Paraneoplastic Autoimmune Multiorgan Syndrome으로 인하여 구강 내 국소적으로 발생한 과다혈관성 궤양의 방사선 근접치료 시 자체 제작한 Mold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after Applicated a Mold to a Paraneoplastic Autoimmune Multiorgan Syndrome Patient with Hypervascular Ulcer in the Oral Cavity during Treatment with Mold Brachytherapy)

  • 박주경;이선영;임석건;곽근탁;이승훈;김양수;황호인;차석용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5-31
    • /
    • 2009
  • 목 적: Paraneoplastic autoimmune multiorgan syndrome으로 인하여 구강 내의 혀와 경구개에 국소적으로 발생한 과다혈관성 궤양의 방사선 근접치료 시, 인접한 정상조직 보호 및 재현성 향상과 궤양 체적내의 선량 균등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mold을 자체 제작 한 후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Mold는 상악용, 하악용으로 분리하여 제작하였고, 치료 시 인접한 잇몸과 치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2 mm의 납을 mold에 삽입하였다. Simulation을 통하여 얻어진 orthogonal image를 바탕으로 치료계획을 하였고, 치료는 하루 200 cGy씩 총 3,000 cGy의 선량을 조사하였다. 차폐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직등가물질(bolus)을 이용하여 혀와 잇몸 phantom을 만들고, 납으로 차폐한 경우와 납을 제거 후 차폐하지 않은 경우 TLD를 이용하여 잇몸의 5개 지점 선량을 각각 3회씩 반복측정하였다. 결 과: Mold의 유용성 평가를 위한 선량측정 결과 평균값은 차폐하지 않은 경우 A: 33.9 cGy, B: 30.1 cGy, C: 31.8 cGy, D: 23.3 cGy, E: 24.1 cGy로 나타났고, 납으로 차폐한 경우의 선량 평균값은 A: 20.6 cGy, B: 18.8 cGy, C: 19.6 cGy, D: 14.7 cGy, E: 15.1 cGy로 측정되었다. 결 론: 구강 내 국소적으로 발생한 과다혈관성 궤양에 mold brachytherapy를 시행하여 치료 시 높은 정확성과 재현성을 유지할 수 있었고, 궤양 체적내의 선량 분포도의 균등성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또한 인접한 잇몸과 치아의 선량을 약 7.35∼10.3%까지 감소시킴으로서 방사선 치료로 인하여 수반되는 부작용 발생 확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