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궤양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5초

궤양성 질환의 증상과 처치 (Symptoms & Treatment of Ulcerative Conditions)

  • 박준봉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1권6호통권169호
    • /
    • pp.449-452
    • /
    • 1983
  • 구강내에서 발생하는 연조직 질환중 궤양을 수반하여 환자로 하여금 통증을 호소하게 하는 질환으로는 급성 괴사성 궤양성 치간염 (Acute Necrotizing Ulcerative Gingivitis), 급성 수포성 구내염(Acute Herpetic Gingivo Stomatitis), 재발성 구순포진(Recurrent Herpes Labialis),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대상성 포진(Herpes Zoster) 등이 있으며, 다른 질환보다도 그 발생빈도가 높아 임상에서 접하게 되며 그 치유속도가 늦어 가끔 당혹감을 느끼는 수가 있다. 이들 질환의 임상적 소견과 그 질환에 대한 치료법의 예를 간략하게 생각해 보고져 한다.

  • PDF

교정장치에 의해 유발된 구내궤양 치료에 대한 Polyvinylpyrrolidone-sodium hyaluronate (Aloclair$^{TM}$)의 임상적 효과 (Efficacy of Aloclair$^{TM}$ for Treatment of Intraoral Ulcer Caused by Orthodontic Appliance)

  • 이주희;이상민;박인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109-118
    • /
    • 2012
  • 본 연구는 교정장치에 의해 자극되어 나타나는 구강내 통증을 감소시키는 Polyvinylpyrrolidone-sodium hyaluronate의 효과를 평가해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100명의 환자에게 Aloclair$^{TM}$를 용법에 맞게 사용하도록 지시하였고 총 3개의 군으로 나누어 통증과 불편감을 조사하였다. 각 설문지에서 1.신환으로 bracket bonding을 처음 한 경우로 교정용 왁스 사용과 비교하여 조사한 군, 2.부가적인 장치 (미니스크류, 제 2 대구치 장치 부착 등)를 장착한 경우, 3.교정장치로 인해 구강내 궤양이 생겨 내원한 경우로 사용 전, 후의 통증과 불편감을 비교하였다. Aloclair$^{TM}$사용 후 통증이 줄어들기 시작한 시간은 평균 3.5분 후이며 효과 지속시간은 평균 2.7시간이었다. 모든 군에서 Aloclair$^{TM}$를 사용한 직후부터 시간에 따라 통증 정도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1군에서 Aloclair$^{TM}$가 교정용 왁스에 비해 평균 통증의 정도가 높게 나왔지만 Aloclair$^{TM}$역시 시간에 따라 통증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3군의 경우 이미 궤양이 존재하는 환자이기 때문에 Aloclair$^{TM}$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고 통증도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Aloclair$^{TM}$는 적용하기도 비교적 쉽고 구내 궤양에 대한 통증완화에 효과적이어서 교정치료 중인 환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종양성 병변으로 인한 구강점막질환

  • 기우천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6권11호통권234호
    • /
    • pp.1008-1012
    • /
    • 1988
  • 구강점막에 발생하는 종양성 병변으로는 대표적으로 구강점막암(oral mucous membrane cancer), 유두종(papilloma),혈관종(hemangioma), 임파관종(lymphangioma),섬유종(fibroma)등이 있는데 이들 병변들은 구강내 협점막, 치은, 경구개, 연구개, 구강저, 혀 등에 궤양이나 증식성 병소로 나타나서 동통, 출혈, 치아동요, 종창 등의 증상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병변들에 대한 명확한 치료와 예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들 병변들에 대한 정확한 소견에 근거한 진단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이들 병변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스텐트를 이용한 만성 궤양성 치은 병소의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 (Topical Steroid Therapy using Stent on Chronic Ulcerative Gingival Lesions)

  • 박형욱;안형준;최종훈;권정승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4호
    • /
    • pp.259-264
    • /
    • 2010
  • 만성 궤양성 치은 병소는 편평태선, 양성점막유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코티코스테로이드 약물요법이 주된 치료로 이용된다. 코티코스테로이드를 복용하는 경우 위장장애, 체중증가 등의 부작뿐만 아니라 장기 복용 시 골다공증, 당뇨 및 고혈압 발생 또는 악화, 부신기능 저하, 쿠싱증후군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 할 수 있어 병소가 국소 부위에 제한되어 발생하거나 전신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 스테로이드 약물의 국소 도포가 만성 궤양성 치은 병소의 주된 치료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를 구강 내에 사용하는 경우 타액 분비, 혀, 입술, 협점막 등의 움직임에 의해 도포한 약제가 소실되어 효과가 감소되고 병소가 넓은 부위에 분포하거나 구강 내 깊숙한 부위에 발생하는 경우 환자 스스로 약물을 도포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질병에 이환 되지 않은 정상 점막에도 약제가 도포 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국소 스테로이드 적용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효과를 최대화함으로써 스테로이드 복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스텐트를 이용한 스테로이드 밀폐 요법이 보고된 바 있으나 실제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만성 궤양성 치은 병소가 발생한 환자에게 스텐트를 이용한 국소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하여 양호한 치료 효과를 보인 증례를 통해 그 효용성과 임상적 활용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자가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Employment Stress and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in University Students)

  • 김민아;김효진;이연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27-133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자가구강상태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생 361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 2일부터 27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취업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자가구강건강상태의 비교 위험도는 잇몸부종 1.7배, 궤양 1.46배, 지각과민 1.53배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성별,나이,학년,전공)을 보정한 후 비교위험도는 잇몸부종 1.56배, 궤양 1.42배, 지각과민은 1.44배로 나타났다. 이에 취업스트레스는 구강건강에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취업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상담지원이나 스트레스 조절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여 구강건강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베체트병의 조기 진단 (EARLY DETECTION OF BEHCET'S DISEASE)

  • 김승혜;송제선;최형준;손흥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75-579
    • /
    • 2009
  • 베체트병은 전신적 혈관염으로 여러 장기에 걸쳐 나타날 수 있으며, 현재로선 확진을 위한 검사 방법이 없으므로 병의 진단은 임상적 증상에 기초하여 내려진다. 구강 및 외음부의 재발성 궤양, 피부 병소, 안구 병소, 및 이상초과민검사(pathergy test)에 대한 반응을 기초로 진단을 내리며, 이 외에도 위장관과 중추신경계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중 재발성 구강 궤양은 대부분의 베체트병 환자에서 나타나며, 많은 경우 베체트병의 첫번째 임상 증상으로 발현되기 때문에 치과 영역은 베체트병의 조기 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본 증례에서 6세 여환은 반복되어 나타나는 재발성 구강 궤양으로 인한 동통 및 섭식 장애를 주소로 본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문진 및 병력 채취, 그리고 임상 검사를 통해 치과 영역에서 베체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었고, 추후 환자는 소아과, 피부과, 소화기내과, 안과와의 협의 진료 하에 베체트병으로 확진되었다. 치과에선 환자의 동통을 완화시키고 섭식을 돕기 위해 도포마취제를 처방하였으며, 추후 베체트병의 확진 하에 그에 따른 적절한 의과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구강궤양 및 수포성 질환 (Oral ulcerative and vesicular diseases)

  • 변진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9호
    • /
    • pp.634-639
    • /
    • 2017
  • Oral ulcerative and/or vesicular disease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of clinical phenotypes. Detailed and careful history taking is the cornerstone of the diagnosis of oral mucosal disease. Moreover, complete screening of review of system for patient is important. Through this article, the simple ulcerative, recurrent ulcerative, acute multiple ulcer, chronic multiple ulcerative diseases will be discussed. Clinicians have to keep in mind it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 PDF

SRRS를 이용한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궤양 환자의 생활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on Patients with Recurrent Ahthous Ulcer.)

  • 고명연;김영애;옥수민;허준영;정성희;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195-203
    • /
    • 2012
  •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궤양은 5~60%의 유병률을 가진 가장 흔한 형태의 구강 궤양이다. 가장 흔히 발병하는 나이는 10세~19세이며 환자의 성인기 및 평생 동안 지속될 수 있고, 성별의 차이는 없으며 소아프타, 대아프타 및 포진성 궤양의 세가지 형태로 나누어진다.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다양한 유발인자 혹은 기여요인들이 있다. 이러한 기여요인에는 가족력 혹은 유전적 소인, Allergy 반응, 약물, 호르몬, 스트레스 또는 불안 및 면역계 이상 등을 들 수 있다. 구강 질환의 발병과정에 있어서 정신적 요인에 대한 고려의 필요성이 지난 몇 십 년 동안 점점 더 인정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들이 구강질환에 있어서 정신사회적 요소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도 정서적 스트레스가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궤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임상검사 결과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궤양으로 진단된 환자 30명과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 중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의 증상 및 병력이 없는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스트레스 상황의 평가를 위해서는 한국적 문화에 맞게 적절하게 변형한 Holmes와 Rahe의 사회적 재적응 평정척도 설문지(SRRS)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 환자들이 대조군에 비해 내원 전 7개월에서 12개월 사이 기간 및 내원 전 1년 동안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빈도 및 스트레스의 정도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신질환과 치과질환

  • 이승우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9권6호통권265호
    • /
    • pp.467-474
    • /
    • 1991
  • 구강질병의 합리적인 관리는 질병의 원인규명을 바탕으로 예방과 치료가 이루어 져야 한다. 구강의 발생학적, 생리학적인 복합성 때문에, 구강질병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어려우므로 치과진료실에서의 진료행위는 상당한 제한된 것이었고 불완전한 것이었다. 치아의 지지경조직, 연조직, 기타 구강에 영향을 주는 제반질병의 합리적인 관리가 구강내과학적으로 우선되야 할 것이다. 치과의사는 백혈구나 적혈구에 이상이 있는 환자는 치료하는 경우에 주의하여야 할 점이 많으므로 환자의 병력, 임상검사 및 예비검사등에 의하여 이러한 질병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환자에서는 비정상 출혈, 치유지연, 감염 혹은 점막 궤양이 나타나기 쉽다. 더구나 이들 중 어떤 질환은 치명적으로 이런 환자를 찾아내어 치과처치를 하기전에 내과의사에 보내어 진단, 치료를 받게 해야 한다. 환자자신이 질환에 대해 알고 있고 내과적 처치를 받고 있는 경우라도 의사와 협의가 없이는 어떠한 치과적 처치라도 피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이에 이러한 혈액질환들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등을 간단히 소개하여 수차에 걸쳐 연재하도록 하겠다. 여기에 연재된 내용들은 어떤부분에서는 너무 자세하게 기술된 내용도 없지 않으나 조금이나마 환자 치료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PDF

전신질환과 치과질환

  • 이승우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0권7호통권278호
    • /
    • pp.543-552
    • /
    • 1992
  • 구강질병의 합리적인 관리는 질병의 원인규명을 바탕으로 예방과 치료가 이루어 져야 한다. 구강의 발생학적, 생리학적인 복합성 때문에, 구강질병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어려우므로 치과진료실에서의 진료행위는 상당한 제한된 것이었고 불완전한 것이었다. 치아의 지지경조직, 연조직, 기타 구강에 영향을 주는 제반질병의 합리적인 관리가 구강내과학적으로 우선되야 할 것이다. 치과의사는 백혈구나 적혈구에 이상이 있는 환자느느 치료하는 경우에 주의하여야 할 점이 많으므로 환자의 병력, 임상검사 및 예비검사등에 의하여 이러한 질병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환자에서는 비정상 출혈, 치유지연, 감염 혹은 점막 궤양이 나타나기 쉽다. 더구나 이들 중 어떤 질환은 치명적으로 이런 환자를 찾아내어 치과처치를 하기전에 내과의사에 보내어 진단, 치료를 받게 해야 한다. 환자자신이 질환에 대해 알고 있고 내과적 처치를 받고 있는 경우라도 의사와 협의가 없이는 어떠한 치과적 처치라도 피하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이에 이러한 혈액질환들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등을 간단히 소개하여 수차에 걸쳐 연재하도록 하겠다. 여기에 연재된 내용들은 어떤부분에서는 너무 자세하게 기술된 내용도 없지 않으나 조금이나마 환자 치료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