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건강 증진 행위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7초

노인의 구강보건행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al Health Activities and Oral Health Conditions of the Elderly)

  • 권미영;양진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71-276
    • /
    • 2006
  • 본 연구는 수도권 치과병 의원에 내원한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행위와 구강건강상태를 파악한 후 보다 나은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 노인의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은 남자 40.8%, 여자 59.2%로 여자가 남자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연령별로는 65세에서 69세가 58.5%로 가장 많았다. 2. 우식경험미처치치아와 우식경험처치치아는 3개 이하가 각각 82.4%, 50.7%로 가장 많았으며, 현존치아는 3개 이하가 28.2%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3. 여자가 남자보다 구강보건행위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 = 0.00), 생활비 조달방법에서 정부보조금으로 생활을 하는 대상자보다 본인이 급여를 받거나 수입이 있는 대상자가 구강보건행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2). 4.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우식경험 미처치치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식경험미처치치아와 우식경험상실치아, 우식경험처치치아와 현존치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본인이 직접 생활비를 조달하는 노인들이 우식경험처치치아를 5.4개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p = 0.02)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잇솔질 방법에서 본인 마음대로 닦고 의 경우 상실치아가 11.8개(p = 0.05)로 다른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잇솔질을 하고 있는 노인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윗니와 아랫니를 따로 닦고 있다는 응답자에서 현존치아가 17.3개(p = 0.00)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또한 보건소를 자주 이용하는 노인들의 처치치아는 4.3개로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0).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65세 이상의 노인들은 대체적으로 구강건강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잇솔질방법 등 올바른 구강건강행위를 하는 노인의 구강건강상태가 훨씬 양호하게 조사되었으며, 경제수준도 구강건강상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우리 치과위생사들은 노인들에게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노인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자치단체에서는 노령인구를 위한 보건의료를 확장하여 보건소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예방업무와 치료업무가 이루어지도록 치과의료서비스 접근도를 높이는 정책전환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수도권 일부지역 치과병 의원에 내원한 환자들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였기에 조사기간 동안에 내원하지 않았거나 다른 진료기관을 이용한 노인들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어 우리나라 전체 노인의 구강건강실태를 대변하였다고 할수 없고, 구강검사시 치과병의원의 치과의사의 협조를 얻어 시행하였기에 평가자간의 오차가 다소 발생하여, 향후 검사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 PDF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부모의 지식, 태도 및 실천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Infant Oral Health, and Related Health Behavior among Parents)

  • 조해련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96-204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의 구강건강 관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구강건강에 대한 부모의 지식, 태도 및 실천을 분석하여 영유아 구강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서울시의 행정 5개 권역별 1세 아동의 수에 따라 비례표집하여 5개 소아청소년과와 2개 보건소에 방문한 생후 11개월부터 16개월 사이의 영유아 부모 380명을 대상으로 한국 영유아 구강건강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2010년 10월 11일부터 29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영유아 부모는 주로 인터넷, 육아서적, 지인을 통해 자녀의 구강 건강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영유아 부모는 자녀의 구강건강에 대해 올바른 태도를 가지고 있지만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실천 정도가 낮았다. 영유아 구강건강 지식과 태도는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영유아 구강건강 지식은 부모의 연령, 학력, 수입, 영유아 월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태도는 부모의 학력과 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실천은 부모의 나이, 수입, 주 돌봄자, 영유아 월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영유아 구강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서 영유아 부모와 주 돌봄자를 대상으로 지식 함양과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구강건강 실천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구강 건강관리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방법을 교육하는 중재가 필요하다.

전남 지역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in some university students in Jeonnam)

  • 정은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3-113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in the university students in Jeonnam. Methods: A self-reported survey was completed by 480 university students in Jeonnam from June 1 to 15, 2016 based on convenience sampling.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ng others. Results: The average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was 3.36 and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2.87. It was shown to have influence upon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more the use of oral care products, in the better the oral health condition, in the more dental visit experience, in the more you do not drink, and in the more experience in oral health education. Conclusions: To improve the oral health in the university students, interest,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in the oral health should be changed through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lso, efforts to develop curriculum and establish the university policies will be necessary so as for the university students to have responsibility for general health care including oral health in the universities.

저소득층 아동의 구강보건인식과 행위 및 치아우식실태 조사 (인천광역시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Oral Health Awareness, Oral Health Behavior and Dental Caries among low Socio-Economic Status Children: the cases of local children's center in Incheon)

  • 한수진;황윤숙;류정숙;김윤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7-153
    • /
    • 2008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구강건강행위 및 치아우식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저소득층 아동의 구강건강 유지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아동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구강검사를 실시하여 저소득층 아동의 구강보건지식, 구강건강행위 및 치아우식실태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치아건강지식 수준은 평균 5.74점이었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지식도는 상승하였다(p < 0.01). 문항 별 정답율은 '충치는 저절로 낫는다'(95.7%), '올바른 잇솔질은 충치를 예방한다(91.4%)', '초콜릿, 과자, 사탕은 충치를 많이 발생시킨다(90.7%)'의 순이었다. 2. 구강보건인식에 대해서 조사대상자의 47.1%가 올바른 잇솔질이 충치예방을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응답하였으며, 학년별로 3-4학년과 5-6학년은 동일하였으나, 1-2학년에서는 충치를 발생시키는 음식을 먹지 않는다는 응답이 31.5%로 가장 많았다(p < 0.001). 3. 1일 평균 잇솔질 횟수는 3회 이상 잇솔질 한다(45.1%), 잇솔질 방법은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닦는 아동(45.5%)이 가장 많았으며, 각 시기별 잇솔질 실천율 분포는 저녁식사 후(62.3%), 아침식사 후(61.9%), 자기전(53.3%)의 순이었다. 최근 1년간 치과의료기관을 방문한 횟수는 3회 이상(21.4%)이 가장 많았으며, 3-4학년과 5-6학년은 3회 이상 방문한 율이 가장 많았고, 1-2학년은 1회 방문했다는 율이 가장 많았다(p < 0.05). 불소도포는 경험해보지 못했다(33.1%), 3회 이상(31.5%)가 많았으며, 구강보건교육은 경험해보지 못했다(30.4%), 1회(26.1%)의 순이었다. 4. 유치우식경험자율은 1-2학년에서 86.1%이었고, 우식경험유치수(dft index)는 4.61개였다. 영구치우식경험자율은 5-6학년에서 78.3%, 우식유병율은 33.7%이었으며, 우식경험영구치수(DMFT index)는 5-6학년 3.27개, 3-4학년 1.47개, 1-2학년 1.19개이었다. 5.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는 3.59이었으며, 학년별 차이는 없었다(p > 0.05). 6. 분석결과 구강건강을 위한 예방법에 대한 인식과 구강보건지식 정도는 구강건강행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 > 0.05). 7. 저소득층 아동의 구강건강을 유지증진하고 구강보건실태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강위생관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방법과 구강건강행위를 습관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PDF

청소년의 BMI와 건강 및 구강건강증진행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BMI and health &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highschool)

  • 한지형;황지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41-156
    • /
    • 2010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health &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BMI.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04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and Chi-squar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Results : Man is normal weight group accounted for 65.9%, and women is 69.7%(p<0.001). Health &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utrition(p<0.01) and exercise(p<0.001) that men were higher than women. But health responsibility was higher to women(p<0.001). As to the relationship for the BMI to health promotion behavior, nutrition is over weight group accounted for 3.45, obesity group 3.43, normal weight group 3.26 and under weight group 3.16(p<0.05). Exercise is over weight group accounted for 2.70(p<0.05), and nutrition for oral health is obesity group accounted for 3.47(p<0.05). As for correlation among the BMI, stronger social support, more exercise, better nutrition for oral heal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MI. As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BMI,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exercise, nutrition for oral health, life appreciation, stress management for oral health.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ed that health &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in an effort to help improve policy setting on health projects and determine how to teach teens to promote their health throughout their lives.

한국 노인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구강보건행위가 구강보건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Oral Health Index in Korean Elderly)

  • 박명호;박미영;이희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989-4995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인구사회적인 특성과 구강보건행위가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노인대상의 구강건강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료는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 자료'를 활용 구강검사 까지 완료한 65세 이상 노인 1419명중 검사가 미흡한 노인 707명을 제외한 712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잔존치아 수에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 남성일수록, 나이가 적을수록, 거주지가 동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흡연량이 적을수록, 구강건강용품 사용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DMFT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나이가 적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DMFT 지수가 낮게 나타났고, CPI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 남성일수록, 나이가 적을수록, 거주지가 동일수록, 흡연량이 적을수록, 구강건강용품 사용이 많을수록 CPI지수가 낮게 나타났고, FS-T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 여성일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잇솔질 횟수가 많을수록 FS-T 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T-Health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 남성일수록, 나이가 적을수록, 거주지가 동일수록, 흡연량이 적을수록, 구강건강용품 사용이 많을수록 T-Health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구강보건행위는 구강보건지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향후 노인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구강건강교육과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일부 승무원의 구강건강 인식과 심미적 관심 (The Study on Oral Health Recognition and Aesthetic Interest of Flight Attendant)

  • 김설희;이정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36-64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승무원의 구강건강과 심미적 관심도에 관한 연구로 A항공사에서 근무하는 승무원 314명을 대상으로 2014년 6~7월 동안 자기기입식 설문으로 조사되었다. 사용한 도구는 건강과 구강건강 인식, 구강건강관리, 외적이미지, 외적이미지가 직장생활에 미치는 영향이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령별, 경력별 구강건강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교육수준별 삶의 질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적이미지가 직장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외모관리 연간 지출비는 성별, 경력별, 소득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승무원은 구강건강이 전신건강보다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어, 외적이미지에 구강건강이 주요한 영향요인이며, 심미증진을 위한 주기적 예방처치 및 심미처치를 시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직무 특성상 구강관리 자가평가가 낮게 조사되어 구강관리 행위 실천을 위한 방안모색이 요구된다. 또한 구강관리가 전신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만큼 이에 대한 관심 증대가 요구된다.

임신부의 건강신념요인이 구강건강관련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Belief Factor on Oral Health Related Behavior in Pregnant Woman)

  • 김미나;임도선;김명희;김아름;김성임;안용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9-137
    • /
    • 2015
  • 본 연구는 개인의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인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을 적용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임신부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8개의 산부인과의원과 1개의 산모교실을 방문한 임신부 총 21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신부의 건강신념 수준은 총 3.61점이었으며 인지된 유익성이 4.37점으로 가장 높았고 자기 효능감 4.04점, 인지된 민감성 3.98점, 인지된 장애성 3.15점 순이었으며 인지된 심각성이 2.91점으로 가장 낮았다. 건강신념요인과 구강건강관련행위의 상관관계로 인지된 심각성은 치아에 좋은 식품섭취 노력,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인지된 유익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지된 장애성은 매 간식 후 칫솔질, 회전법 칫솔질, 임신 중 구강검진, 임신 전 구강검진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 효능감은 매 칫솔질 후 구강위생용품 사용,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신념요인으로 인지된 심각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 임신 중 치과치료에, 인지된 유익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에, 인지된 장애성은 매 간 식 후 칫솔질, 회전법 칫솔질, 임신 중 구강검진에, 자기 효능감은 매 칫솔질 후 구강위생용품 사용, 임신 중 구강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건강신념요인의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유익성, 인지된 장애성, 자기 효능감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제시하며, 임신부의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유익성,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인지된 장애성을 낮출 수 있는 임신부를 위한 구체적인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일부지역 고등학생의 구강건강행위에 관한 인식조사 (A Research on Perception of Oral Health Behavior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ome Areas)

  • 유지수;김한홍;한양금;김승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411-416
    • /
    • 2010
  • 본 연구는 청소년기인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 구강보건행동, 구강진료기관이용 및 구강건강행위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2009년 4월 3일부터 4월 30일까지 서울, 경기도, 충남의 인문계와 전문계 일부 고등학교 학생 1,2,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자료 600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루 잇솔질 횟수는 3회가 가장 많았으며(p<0.001), 잇솔질 1회 소요시간은 2~3분 미만이 많았다. 잇솔질 방법은 위 아래로 회전하는 방법이 많았으며(p<0.05), 인문계는 혀 닦이를 항상 닦는다가, 전문계는 생각날 때만 닦는다가 가장 많았다(p<0.05). 이는 고등학생 시절인 청소년기의 올바른 계속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구강보조용품을 사용하지 않는다가 인문계, 전문계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p<0.001),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모두 잘 알지 못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1). 이는 구강보조용품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해당 구강보조용품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하는 용품으로는 치실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사용하게 된 계기로 주변사람의 추천과 치과전문가의 추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전문가에게 잇솔질 교육을 받은 경험은 모두 없다가 높게 나타났고(p<0.001), 정기구강검진 경험(p<0.001)과 치석제거 경험 모두 없다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는 구강보건교육경험이 많지 않아 구강보건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하는 학교 구강보건교육 시행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학교유형에 따른 일부 고등학생들의 주관적인 인식의 차이와 행위에서 다소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예방프로그램과 구강보건교육을 교육과정 내에 체계적으로 프로그램화시킬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중학생들의 구강보건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증진행위의 영향 (Influences of oral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 조미숙;박민경;장경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39-644
    • /
    • 2013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301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ved in Gimhae and Jinhae.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Results : The group with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had higher scores in oral health knowledge(p<.01) than the group without oral health education. The group with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has higher scores in oral health behavior (p<.01) than the group without oral health education. The group with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has higher scores in self-efficiency (p<.01) than the group without oral health education. The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oral health knowledge(r=0.184), oral health behavior(r=0.199) and self-efficiency(r=0.199). There exis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self-efficiency(r=0.351).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provid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care is closely related to oral health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