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건강증상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3초

양산시 거주 청소년의 치과치료 필요도에 대한 조사연구 (An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Dental Treatment Needs of Adolescents in Yangsan)

  • 권민석;신종현;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54-364
    • /
    • 2016
  • 청소년기 구강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치과치료 필요도를 평가할 목적으로, 양산시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4-17세 청소년 2,062명을 대상으로 임상검사 및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아우식증의 치료필요도는 66.7%, 치아침식증의 치료필요도는 27.8%, Molar incisor hypomineralization(MIH)의 치료필요도는 14.7%였다. 부정교합은 양호한 교합 군 67.8, 치료 불필요 군 19.7%, 약간의 치료가 필요한 군 6.8%,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군 4.5%, 가장 심한 부정교합 군 1.1%로 나타났고, 치료필요도는 12.5%였다. 치주질환은 71.2%의 유병률을 보였고, 치료 필요도도 이와 동일한 71.2%였다. 측두하악장애는 무증상 군 67.1%, 경미한 증상 군 13.4%, 심한 증상 군 19.5%의 분포를 보였으며, 치료필요도는 20.6%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치료 필요도를 보인 질환은 치주질환이었고, 뒤를 이어 치아우식증, 치아침식증, MIH, 측두하악장애, 부정교합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전반적 구강건강상태 및 치과치료 필요도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는 우리나라 청소년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계획수립에 있어서 기초자료로서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되는 바이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신체적 증상 및 턱관절증상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tress on Physical and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in Health-Related Majoring students)

  • 김진욱;홍민희;김윤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919-4926
    • /
    • 2013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신체적 증상 및 턱관절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충남지역의 대학생 283명을 대상으로 2012. 9. 1부터 11.30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18.0(SPSS 18.0 K for window, SPSS Inc,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령, 학년, 흡연, 간식섭취량은 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성별, 학년, 음주, 간식섭취량 변화는 모두 소화증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턱관절 장애는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스트레스, 신체적 증상 및 턱관절 증상 변수들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스트레스는 신체적 증상 및 턱관절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를 건전하게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대학생들의 신체 정신 건강과 구강건강을 예방하여 건전한 대학생활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한국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구강질환 증상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ours of smartphone use and oral disease symptoms in Korean adolescents)

  • 김선숙;윤혜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29-536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rs of smartphone use and oral disease symptoms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In this study, data from the 2022 Youth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were used.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have used a smartphone (N=50,375). Chi-squared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disease symptoms and smartphone use time (p<0.05). Results: Consequent to examining the effect of smartphone use on oral disease symptoms, it was found that oral symptoms, such as pain during chewing and tingling throbbing, increased as smartphones were used for >4 h (p<0.05). Additionally, oral symptoms, such as gingivalgia bleeding and bad breath, appeared to increase as smartphones were used for >6 h (p<0.05). However, using smartphones for <0-2 h or 2-4 h had no effect on oral disease symptoms. Conclusions: In adolescents, oral disease symptom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hours of smartphone use. Therefore, adolescents should be guided so that they use smartphones for <2 h or >4 h. Moreover, guidance on forming the habit of tooth brushing after eating food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oral disease symptoms.

일부 당뇨병환자의 구강건강 및 관련실태 - 2006국민구강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Oral Health and Status in Diabetic Patients - Based on Data of 2006 National Oral Health Survey -)

  • 정미희;권미영;김윤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71-577
    • /
    • 2009
  • 본 연구는 2006 국민구강건강실태 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당뇨병 환자의 구강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당뇨병 환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과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으며, SPSS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에 따른 당뇨병 유무에 결과에서는 70세 이상이 39.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 < 0.05). 2.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당뇨병 유무의 결과에서는 여자가 60.8%로 남자 39.2%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p < 0.05). 3. 주관적 구강건강수준 인식의 결과에서는 당뇨환자와 대조군 모두 '건강하지 않다'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 < 0.05). 4. 당뇨환자의 영구치우식경험율은 92.0%를 타나냈다(p < 0.05). 5. 당뇨환자의 치주조직 상태는 출혈치주조직 이상의 증상이 있다라는 응답이 88.9%를 나타냈다(p < 0.05). 6. 당뇨환자의 저작불편감에 따른 충치 및 치주치료 요구도에 대한 결과는 저작불편감은 있지만, 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실천행위에 대한 결과는 간식을 섭취한다는 것이 높게 나타났고, 최근 치과방문의 기간은 1년 이상이 지났으며, 하루 잇솔질의 횟수는 3회 미만으로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지식도 및 예방행태에 관한조사 (Survey on the Knowledge Level of Oral Health and Prevention Behaviors of some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 박홍련;문선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85-490
    • /
    • 2009
  •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들이 구강건강지식도 및 예방행태를 파악하여, 대학생들의 위한 가장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구강보건교육의 방향 설정 및 내용과 방법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6월 한 달 동안 편의로 선정한 대구시에 소재하는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332부를 최종부석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충치 발생 원인은 남녀 모두 88.3%로 '양치질 부족'으로, 불소의 충치 예방효과는 85.5%가 '있다'로 나타났다. 잇몸병 발생원인은 남자는 '잇몸이 약한'이 39.2%로 높았고, 여자는 '양치질 부족'이 50.5%로 높았다. 2. 정기적 치과 검진기간에 대하 성별에 따라서는 '6개월에 1회 이상'이 남자는 52.5%, 여자는 66.5%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3. 치과내원 이유는 전체적으로 '치료 목적'이 72.0%였다. 치아 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에서 '아주 중요하다'는 응답이 82.5%였다(p < .05). 4. 잇솔질 소요 시간은 '3분 이하'가 남자는 46.7%, 여자는 52.4%로 여자가 약간 높았고, 잇솔질을 하는 횟수는 '하루 2번'이 44.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재 사용 중인 구강위생 보조 용품은 '치실'이 남자가 각각 15.2%, 여자는 16.6%로 나타났다. 5. 구강건강지식이 높아질수록 구강보건태도와 구강건강인식이 높아지며, 보건태도가 높아질수록 구강 내 이상증상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p<.01$).

  • PD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통한 노인(老人)의 구강건강(口腔健康) 관련요인(關聯要因) 분석(分析) (Oral Health and Related Factors for the Elderly)

  • 성정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91-95
    • /
    • 2004
  • 본 연구는 구강보건실태와 관련요인을 분석하고 관련요인의 인자구조모델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실시한 지역가입자 건강검진(1차)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 9,340명이다. 대상자는 구강검진을 포함한 모든 검진을 받고 문진표를 작성한 노인들이다. 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성개념타당성에 대한 검토체위검사, 요 검사, 혈액검사, 식 습관, 음주 흡연, 치료 예방, 구강증상, 구강건강상태 등 인자구조모델의 구성개념타당성은 적합도 지수 GFI, CFI, TLI, RMSE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두 적합한 범위에 있었으므로 구성개념타당성은 인정되었다. 2. 각 요인과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보기 위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분석한 결과 요 검사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설명할 종합적인 구조모델을 구축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치과 방문과 치면세마 경험이 적은 농촌지역이 도시지역에 비해 치아우식증, 치아 결손을, 의치필요자율이 높았으며, 음주 흡연이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치아결손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치주질환은 전체의 3.2%에서 관찰되었으며 낮은 연령에서 많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구강질환은 올바른 구강건강행동의 실천으로 예방 가능하므로 전국 각 지역 보건소를 중심으로 구강보건전문가에 의해 바른 식 습관과 구강건강관리에 관한 노인구강보건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경제적, 지리적인 장애로 인해 치과기관을 방문하지 못하거나 치면세마, 의치장착 등의 구강 건강행위를 소홀히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치과 의료서비스 접근도를 높히는 정책전환이 요구된다. 또한, 구강건강상태와 전신건강과의 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해 구조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검사방법과 효과적인 지표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개발한 항목을 그대로 적용하였기 때문에 모델 구성에 한계점이 있었다. 향후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일부 전신질환자에서 구강건조증의 관련요인 분석 (The Associated Factors with Xerostomia in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s)

  • 김선주;최준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86-392
    • /
    • 2013
  • 본 연구는 전신질환자를 대상으로 구강건조감 인식도의 관련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경기도에서 소재하는 의원 중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선정된 3곳에 2013년 1월 16일부터 2013년 4월 15일까지 방문한 전신질환에 이환된 환자 1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반적인 구강건조감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평상시 구강건조 증상이 있다고 응답한 자는 62명(56.9%)이었고, 없다는 47명(43.1%)이었으며, 구강건조가 심한 계절은 겨울이 29명(46.8%)으로 가장 높았다. 2. 전신건강상태 인식도, 건강행동과 구강건조감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이환된 전신질환과 매일 복용 약물 수가 2개 이상인 집단에서 구강건조감이 더 높았다. 또한 절망감 인식 경험이 있고 구강 외 신체건조감이 높으며 코골이가 심할수록 구강건조감을 더 많이 인식하였다(p<0.05). 3. 구강건강상태 인식도와 구강건조감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구강이 건강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구내 점막 통증과 구취가 있는 집단에서 구강건조감을 더 많이 인식하였다(p<0.05). 4. 삶의 질과 구강건조감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일상생활 장애도와 스트레스 수준이 높으며, 구취로 인해 남의 시선을 의식하고 신경을 쓰는 집단에서 구강건조감을 더 많이 인식하였다(p<0.05). 5. 구강건조감과 관련된 요인들의 연관성의 강도를 분석한 결과 구강건조감은 구취로 인한 타인의 시선의식(${\beta}=0.311$)과 가장 연관성이 높았고, 다음은 이환된 전신질환 수 (${\beta}=0.304$), 스트레스 수준(${\beta}=0.285$)의 순이었다(p<0.01).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구강건조감은 원만한 사회생활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구강건조감은 이환된 전신질환 수와 강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치과의료인력은 구강영역 뿐 아니라 전신질환과 치료제 등 전신에 대한 이해도를 더욱 높여야 한다. 또한 전신질환에 이환된 환자들의 구강진료시 구강건조 상태를 매회 평가하고 원인을 파악하는 등 구강건조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구강건조의 예방과 이로 인한 인한 구강 내외 합병증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건강증진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부산지역 65세 이상 노인의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OHIP-14) (Influence of oral health status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OHIP-14) among elderly people in Busan)

  • 윤현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59-767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status of elderly people and thei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 The subjects were the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in Busan. A total of 479 elderly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general hospital, two research institutes, eight dental clinics, six welfare institutions, sixteen senior centers, and three nursing homes.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14 (OHIP-14) was used in the routine dental checkups of the elderly people. Results : Those who had no oral symptoms had a bette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OHIP-14,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functional limitation(p=0.001), physical pain(p<0.001), emotional discomfort(p<0.001), physical disability(p=0.001), emotional disability (p=0.001), social disability(p=0.005), physical handicap(p=0.003) and total OHIP-14(p<0.001). Those who had 18 sound teeth(natural teeth) or more had a bette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OHIP-14,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functional limitation(p<0.001), physical pain(p=0.007), emotional discomfort(p=0.019), physical disability(p=0.018), Emotional disability(p=.032) and total OHIP-14 (p=0.006). Conclusions : The results reveal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number of sound teeth(natural teeth) and frequency of toothbrushing had a more positive influence. Therefore oral health programs for the elderly people can preserve remaining teeth. Toothbrushing is the best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구강 및 전신 건강 기반 고령자용 식품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서울 일부 지역 복지관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Demand for Elderly Food Development: Relation to Oral and Overall Health -Focused on the Elderly Who Are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 이금룡;한정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70-378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식 개발에 앞서 노인들의 구강 및 전신 건강 상태에 기반을 둔 노인식 개발 요구도를 조사하고 그 상관관계를 통해 노인들에게 필요한 제품 개발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본인의 전신건강에 관한 평가로는 보통이다(35.2%), 건강하다(30.7%), 건강하지 않다(19.9%), 매우 건강하지 않다(8.5%), 매우 건강하다(5.7%) 순으로 응답하였으며, 구강건강에 관해서는 보통이다(31%), 건강하지 않다(28.2%), 대체로 건강하다(17.8%), 매우 건강하지 않다(17.8%), 매우 건강하다(5.2%)의 순으로 대답하여 구강건강과 전신건강 간에 유의적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노인들이 좋아하는 맛은 담백한 맛(51.5%), 짭짤한 맛(25.7%), 달콤한 맛(12.0%), 새콤한 맛(6.6%)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죽이나 국 종류 개발 시 원하는 국물 맛으로는 남성은 멸치 국물과 된장 국물, 여성은 멸치 국물, 된장 국물, 소고기 국물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반찬류로 남성은 생선류, 고기류, 나물류의 순으로, 여성은 나물류, 생선류, 김치류의 순으로 요구하였다. 남녀 고령자 모두가 개발을 원하는 간식 품목은 빵 떡류와 음료류였으며 대체로 자신의 저작능력을 고려하여 식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인들은 본인들의 질병상태와 관련하여 증상 완화 및 회복을 위한 질병맞춤형 식이의 개발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식품 구입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은 영양균형이었고 고령자용 식품의 적정구입가는 3,000원 미만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자용 식품을 개발할 때 고령자들의 저작능력을 고려하여 물성을 다양화한 생선류와 나물류의 개발이 필요하며, 또한 고혈압과 당뇨를 앓고 있는 고령자의 비율이 높은 것을 고려하여 물성이 조절된 저염 및 항당뇨식의 개발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도시 일부지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of influencing subject oral health perception for the elderly in an urban area)

  • 임현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7-55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 among the subjective oral symptom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 oral health perception of aged people residing in some regions of a large city, ultimatel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needed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oral health project an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those people. Methods : For the above purpose, this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people aged 65 or over from July 10th to 28th, 2011. Among the copies of the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the subjects, 318 were recollected. Out the recollected forms, 18 which were deemed as inappropriately filled in were excluded, and the remaining 300 were finally analyzed. Result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Subjective oral symptoms have correlation(p<0.001) with aged people's subject oral health perception. Factors of influencing subject oral health perception were indicated to be age(p=0.021) and trouble chewing(p<0.001). Conclusions : A sustainable oral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aims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aged people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is study may have some limitations to be generalized because it was conducted by focusing on aged people of some regions on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