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간통행시간

Search Result 22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valuating Value-of-Time for Travel Based on The Linear Logit Choice Model ("로-짓" 모형에 의한 교통시간가치 산정에 관한 연구)

  • Yu, 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 no.1
    • /
    • pp.69-88
    • /
    • 1984
  • 통행시간가치에 대한 연구는 독립변수를 이용한 통행시간과 비용에 의한 선택모형 을 대개 사용하여 왔다. 통행시간과 비용에 대한 매개함수를 추정한 후에 통행시간가치를 교통시간과 비용의 $\ulcorner$파라메타$\lrcorner$비로써 얻고 있다. 그러나 통행시간가치에 관한 신뢰구간과 통계적 유의성을 설정하기 위한 적절한 과정은 아직 연구되지 않고 있으나 $\ulcorner$로-짓$\lrcorner$ 모형 자체에 대하여는 되어있다. 본 논문은 통행시간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존의 방향을 비평적 으로 검토하여 본 것으로 통행시간가치를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한 표준화 과정은 아직 이론적으로 정립 가능하다고 생각되지 않지만 통행시간가치평가의 간편식을 제시하여 보았 다. 간편식에 의하여 제시된 결과에 의하면 선택모형에 입각한 통행시간가치의 통계적신뢰 구간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는바 이에 대한 선택모형에 입각한 통행시간가치 측정을 위한 과정의 타당성에 대한 많은 의문이 아직도 남는다 하겠다.

  • PDF

GPS 구간 검지 방식 기반의 Network 설계를 통한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 김재민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5
    • /
    • pp.70-79
    • /
    • 2004
  • 최적 경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구간 통행속도, 구간 통행시간, 회전 정보, 혼잡도 등과 같은 교통정보가 필요하다. 또한, 고객에게 신뢰성 있는 최적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교통정보 수집은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실시간 교통정보 수집 방법들에 대한 고찰과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의 교통정보 수집방법을 살펴보면 지점검지 방식의 경우, 수집되는 정보가 검지기 설치 지점의 지점속도(Spot Speed)이므로 해당 링크를 주행한 통행속도(통행시간)의 대표값으로 채택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구간검지 방식의 경우, 일반적으로 급격한 교통류 변동에 따른 대기행렬 검지가 늦다는 단점이 있다.(중략)

A study on Link Travel Time Estimating Methodology for Traffic Information Service (Determination of an Adequate Sample Size) (교통정보제공을 위한 구간통행시간 산출 방법론 연구 (적정표본수 결정방법을 중심으로))

  • 이영인;이정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55-67
    • /
    • 2002
  • 구간검지체계를 기반으로 한 첨단교통정보제공시스템(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은 그 기능 수행시 다음의 중요 고려사항을 지닌다. 첫째는 제공 정보의 신뢰성이며, 둘째는 정보수집비용에 관련한 수집자료수의 한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성 극복을 위해 보다 대표성 있는 교통정보 형태의 설정 및 통계적으로 신뢰성 있는 정보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적정표본수의 결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도시고속도로(올림픽대로)와 도시간선도로(천호대로)의 실측 구간통행시간분포 분석결과 단일교차로 구간의 경우 다른 구간들의 단일봉(unimodal)의 정규분포형태와는 다른 두 개의 봉우리를 지닌 분포형태(bimodal)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구간은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교통정보 형태가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모든 통과차량들의 평균통행시간으로 정의되는 한 개의 대표치가 아닌 신호주기에 의한 정지여부에 따라 분리되는 주행시간과 지체시간 또는 주행속도와 통행속도 개념의 세분화된 정보형태를 설정하였다. 또한 중심극한정리를 기초로 한 통계적인 표본수 결정식을 이용하여 설정된 신뢰수준 하에서의 정보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적정 표본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교통이 혼잡할수록 요구되는 표본수는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적정 표본수 만큼의 표본추출을 하고 제안된 정보산출 방법에 의해 교통정보를 산출한 후 실측치와의 오차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산출된 교통정보는 신뢰수준 95%와 허용오차 5㎞/h를 만족하였다. 다음으로 구간검지체계를 이용하여 정보를 산출하는 타시스템 교통정보와의 오차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측치와 본 연구의 산출방법에 의한 교통정보, 로티스교통정보 및 차량번호판 인식시스템의 교통정보와의 비교 결과 제안된 교통정보형태의 타당성을 볼 수 있었다.

A Study on Travel time Platoon Formation using the data from Toll Collection System (고속도로 통행료수납자료를 이용한 통행시간 군집현상에 관한 연구)

  • Park, Won-Sik;Choi, Jin-Woo;Yang, You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95-20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와 같은 연속류 에서의 통행시간 군집화 현상을 연구하여 신뢰성 있는 단위 시간 당 구간 대표 통행시간을 구하는 전처리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까지는 단위시간 당 구간의 통행시간 대푯값으로 하나의 평균값(Mean), 최빈값(Mode), 또는 중앙값(Median)이 사용되었다. 이의 문제점은 운전자의 주행 습관(빠른 주행, 느린 주행), 휴게소 이용, 도로 정체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차량일 구간 주행 속도 간 편차가 많아 현재 사용하는 1개의 대푯값으로는 전체 차량의 운행 특징을 정확히 표현하기가 곤란하다는 점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군집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군을 복수의 비슷한 군집으로 나누고 나누어진 그룹별로 통행시간 대푯값을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험하여 이 방법이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 PDF

Determination Method of Signal Timing Plan Using Travel Time Data (통행시간 자료를 이용한 신호시간계획의 결정 방법)

  • Jeong, Young-J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3
    • /
    • pp.52-61
    • /
    • 2018
  • This research suggested the traffic signal timing calculation model for signal intersections based on sectional travel time. A detection system that collects sectional travel time data such as Urban Transport Information System(UTIS) is applied. This research developed the model to calculate saturation flow rate and demand volume from travel time information using a deterministic delay model. Moreover, this model could determine the traffic signal timings to minimize a delay based on Webster model using traffic demand volume. In micro simulation analysis using VISSIM and its API ComInterface, it checked the saturation conditions and determined the traffic signal timings to minimize the intersection delay. Recently, sectional vehicle detection systems are being installed in various projects, such as Urban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UTIS) and Advanced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ATMS) in Korea. This research has important contribution to apply the traffic information system to traffic signal operation sector.

Development of Work Zone Traffic Control Algorithm for Two Lane Road (공사구간 교대통행 동적제어 알고리즘 개발)

  • Park, Hyunjin;Oh, Cheol;Moon, JaePi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6 no.2
    • /
    • pp.23-35
    • /
    • 2017
  • Work zone traffic control is of keen interest because both traffic operations and safety performances are directly affected by traffic management methods. In particular, work zone traffic on two-lane roads needs to be managed in more efficient and safer manners due to its unique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right-of-way assignment. This study developed a dynamic control algorithm that can be used for real-time operations of two-lane work zone traffic.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algorithm was evaluated by VISSIM microscopic traffic simulator. An applied programming interface (API) based program was developed to plug-in the control algorithm onto the simulator.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control algorithm for two-lane work zone.

Development of Travel Time Estimation Algorithm for National Highway by using Self-Organizing Neural Networks (자기조직형 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국도 통행시간 추정 알고리즘)

  • Do, Myungsik;Bae, Hyuneso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D
    • /
    • pp.307-315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ravel time estimation model by using Self-Organized Neural network(in brief, SON) algorithm. Travel time data based on vehicles equipped with GPS and number-plate matching collected from National road number 3 (between Jangji-IC and Gonjiam-IC), which is pilot section of National Highway Traffic Management System were employed. We found that the accuracies of travel time are related to location of detector, the length of road section and land-use properties. In this paper, we try to develop travel time estimation using SON to remedy defects of existing neural network method, which could not additional learning and efficient structure modification. Furthermore, we knew that the estimation accuracy of travel time is superior to optimum located detectors than based on existing located detectors. We can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make use of location allocation of detectors in highway.

A Study for Optimized Detecter Location Considering the Traffic Characteristics in National Highway (일반국도 통행특성을 고려한 지점검지기의 적정설치지점 선정에 관한 연구)

  • Byeon, Sang-Cheol;Lee, Seung-J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4 no.2 s.88
    • /
    • pp.19-30
    • /
    • 2006
  • This study deals with the optimized detector location considering the traffic characteristics in National Highway. Although there ave many construction works for ITS in National Highway, there is not specific criteria for detector location which can effect the accuracy of traffic information.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Provide the optimized detector location criteria which can represent the traffic characteristics of National Highway. It collects traffic factors of study area by GPS Probe-car and defector, and Presents the optimized detector location b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pot-speed and link-travel-tim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ot-speed and link-travel-time Presents the opposite bell shape of the graph (U-type owe) which is increased it?on the upstream then, declined through some unspecified Point of the link. Second, the optimized detector location usually distributes around midstream of link, even though it does not have a consistency. Third, therefore, the optimized detector location generally should be located between $55{\sim}60%$ of total link length. Forth. high level of vertical slop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detector location, so it should be excluded for determination of optimized detector location. Finally, expecting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improve the accuracy of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