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호효과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6초

소프트웨어의 선택적 교호작용 테스팅 (Selective interaction testing for software)

  • 고병각;이상용;장중순;최경희;박승규;정기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382-384
    • /
    • 2005
  • 소프트웨어 테스팅에서 테스트 스위트(suite)의 수를 줄이면서도 테스트 커버리지나 오류검출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을 찾기 위한 많은 연구가 시도되어 왔다. 안정성이 높은 설계가 되도록 설계 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어인자들의 직교 배열을 사용하는 시험방법인 교호작용 테스팅 기법이 소프트웨어의 테스트에서도 효과가 매우 높다는 것이 실험으로 증명되고 있다. 소프트웨어는 상대적으로 몇 안 되는 조건들의 조합들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파라미터 간 교호작용 강도 t를 갖는 t-way 테스팅을 통해 효과적으로 테스트 스위트를 줄이면서 많은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t값을 증가시키면 테스트 스위트의 수가 늘어난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어떠한 파라미터들이 서로 교호작용을 일으키는 것인지 알수 없는 상황을 가정한 단순한 교호작용 테스팅은 자칫 서로 관련 없는 파라미터들도 교호작용 테스팅에 참여하기 때문에 테스트의 낭비가 있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입력과 출력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시스템 I-O관계도를 작성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각 출력에 대한 교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파라미터를 중심으로 테스트 스위트를 생성하는 Selective Covering Array를 제안한다.

  • PDF

파라미터 설계법에서 교호작용효과의 검출방법 (Detection of Influential Interaction Effects in Parameter Design)

  • Sang Ik Kim
    • 응용통계연구
    • /
    • 제7권2호
    • /
    • pp.201-211
    • /
    • 1994
  • 다구찌에 의해서 개발된 파라미터 설계법에서는 교호작용효과를 무시하고 직교배열을 이용하여 실험을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교배열과 거의 유사한 통계적 성질을 가지면서 최소의 실험횟수로 2인자 교호작용까지 분석할 수 있는 실험계획을 제시하고, 이러한 계획법에 의해 파라미터 설계법을 분석하고 유의적인 2인자 교호작용까지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기고 - 살충제 저항성관리를 위한 원칙 - 연속세대에 걸친 연용살포 저항성발현 가능성 높여 -

  • 박웅
    • 자연과 농업
    • /
    • 통권258호
    • /
    • pp.38-40
    • /
    • 2010
  • 서로 다른 계통의 살충제 교호살포를 추천한다. 그 이유로는 한 개체군내에서 저항성이 일반적으로 일정하게 발현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계통의 살충제를 교호살포하여 예견된 저항성을 사전에 효과적으로 지연 또는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라맥품종의 개화유기에 관한 암흑처리와 춘화처리의 효과 (Effects of Vernalization and Preceding Dark Treatment on Floral Induction of Naked Barley)

  • 송융남;김이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1-55
    • /
    • 1979
  • 암흑처리가 라맥의 개화유기에 대한 일연의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과 암흑처리의 효과 저온효과에 대하여 반응이 뚜렷한 4가지 라맥품종에 대한 암흑처리의 효과는 모두 저온효과와 동일하고 $5^{\circ}C$하에서 80~90%의 개화유기를 보였으며 추파형이며 단일춘화에 민감한 Kobinkadagi 품종을 제외하고 나머지 3 품종은 고온($25^{\circ}C$)에서도 저온효과에는 미치지 못하나 71~80%의 개화유기를 보였다. 2. 암흑처리기간의 효과 Hashinhadaka 품종의 암흑처리기간에 따른 개화효과는 45일처리가 제일 높았고, $5^{\circ}C$인 경우에는 30일과 45일사이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25^{\circ}C$인 경우에는 3가지 수준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3. 암흑처리전의 묘령에 의한 효과 2가지 온도수준에 있어서 개화효과는 5$^{\circ}C$인 경우에는 묘령에 관계없이 모두 개화하였으나 $25^{\circ}C$인 처리구에서는 묘령이 증가할수록 개화율이 감소하였다. 4. 저온암흑 교호처리효과 저온과 암흑의 전기간(45일) 처리에 의한 개화율은 100%와 60%로써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고 초기와 후기의 15일간씩의 교호처리효과는 91%, 중기 15일간의 교호효과는 92%의 개화율을 보였으므로 저온과 암흑의 작용기구는 상이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보 상류 교호사주의 거동에 따른 하류 지형변화에 대한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geomorphic changes in weir downstream by behavior of alternate bar upstream)

  • 이경수;장창래;김기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spc2호
    • /
    • pp.801-8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해 하천횡단 수리구조물인 보에 의하여 상류에서 형성된 사주가 하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수초기 수로의 유입구에서 흐름 교란에 의하여 강제효과가 발생하면서 상류에서부터 교호사주가 발달하고 일정한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하류로 이동하였다. 상류에서 발생한 사주가 보를 통과하는 순간, 보 하류에 세굴되었던 하상은 퇴적이 진행되고 사주의 위상이 변화되었다. 우안에서 발달한 세굴심은 하류로 이동하지만, 사주의 위상이 변화되면서 좌안으로 이동하였다. 상류에서 발생되는 교호사주의 형태가 뚜렷할수록 하류에서 발생한 교호사주의 위상변화는 빠르게 진행되었다. 또한 강제효과가 클수록, 상류에서 교호사주의 형태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사주의 위상이 바뀌면서 하류의 사주는 이동속도가 점차 감소하여 이동이 정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호사주의 발달이 빠를수록 하류에서 형성된 사주의 파고는 크고 파장은 짧았다. 이것은 사주의 강제효과가 클수록 사주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시간이 증가하면서 교호사주의 크기는 증가하지만 하류로 이동하지 않고 정지되어 고정사주가 형성되었다.

교호작용 효과를 고려한 수자원 전망의 불확실성 분해 (Uncertainty decomposition in water resources projection considering interaction effects)

  • 온일상;김용대;김영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spc1호
    • /
    • pp.1067-1078
    • /
    • 2018
  • 기후변화로 인한 수자원 전망은 배출 시나리오, 전지구적 순환모형, 상세화 기법, 수문 모형 등 여러 전망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며, 각 단계는 수자원 전망의 총 불확실성의 원천이 된다. 몇몇 연구를 통해 개별 전망 단계의 총 불확실성에 대한 상대적인 기여를 계량화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며, 이러한 분석을 불확실성 분해라고 한다. 불확실성 분해 분석은 큰 불확실성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진단하고, 이를 반영한 불확실성 저감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한다. 전망 단계 간의 교호작용은 불확실성 분해 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교호작용 효과로 인한 불확실성을 계량화하고 이를 불확실성 분해에 반영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전망 단계별 불확실성을 주효과와 교호작용 효과를 모두 고려하여 계량화함과 동시에 총 불확실성에서 개별 전망 단계가 차지하는 상대적인 비중을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안한 방법을 충주댐 유량 전망의 불확실성 분석에 적용하였다. 충주댐 유역의 불확실성 분석 결과 여름과 겨울 두 계절 모두에서 교호작용 효과의 불확실성은 주효과의 불확실성에 비해 그 크기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호작용 효과를 고려하여 불확실성을 분해한 결과 배출 시나리오, 전지구적 순환모형, 상세화 기법, 수문 모형의 네 단계 중 여름철은 전지구적 순환모형의 불확실성이, 겨울철은 상세화 기법의 불확실성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프트웨어 화이트박스 테스트의 교호 강도 수 기반 테스트 방법 (Computing Method for The Number of The Interaction Strength Based on Software Whitebox Testing)

  • 최형섭;박홍성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5호
    • /
    • pp.29-36
    • /
    • 2009
  • 소프트웨어가 복잡할수록 소프트웨어의 테스트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이 점점 증가되고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테스트에 사용되는 테스트 케이스의 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단위 테스트 케이스 수를 결정하는 것에는 교호강도의 수가 중요한데 교호강도 수는 소스에서 인자간의 조합에 의해 함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수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코드 상에서 인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특정 패턴이 되면 교호 강도 수를 늘리고 최종적으로 교호 강도수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효과를 커버리지 및 결함 발견 수의 항목으로 실험을 통해 증명한다.

살균제 감량을 위한 인삼 점무늬병 방제체계의 개발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ontrolling Ginseng Alternaria Leaf Blight (Alternaria panax) to Reduce Fungicide Application and Use)

  • 리상국;최재을
    • 식물병연구
    • /
    • 제15권1호
    • /
    • pp.17-22
    • /
    • 2009
  • 본 연구는 미생물제의 이용에 의한 농약잔류 및 안정성문제 확보, 농약 살포량 및 살포횟수를 줄이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미생물제와 살균제를 2회씩 14일 간격으로 교호 살포한 처리구에서 인삼 점무늬병 방제가는 68.34%$\sim$73.56%이 었고, 살균제를 교호 살포한 처리구에서 방제가는 87.00%$\sim$89.42%이었다. 미생물제와 살균제를 28일 간격으로 3회 혼합 교호 살포한 처리구에서는 2종류의 처리구(Com-12, Com-17)를 제외하고는 방제가가 74.53%$\sim$87.23%로 조합에 따라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이상과 같이 미생물제와 살균제를 교호 또는 혼합 교호 처리하면 75.00%$\sim$83.33%의 농약 감량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딸기 반엽병균의 분생포자형성과 균사생장에 미치는 광선과 온도의 영향 (Effect of Light and Temperature on the Sporulation and Mycelial Growth of Mycosphaerella fragariae)

  • 조종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05-208
    • /
    • 1975
  • 딸기 반엽병균의 균주별 분생포자 형성과 균계생장에 미치는 광선과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었다. 1. 분생포자 형서엥 미치는 광선과 온도의 영향은 모든 균주가 다 같이 선광과 온도간의 교호작용에 유의성이 있었다. 즉 저온에서는 광선이 분생포자 형성을 촉진하나 고온에서는 광선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22^{\circ}C$에서는 모든 균주의 분새포자 형성에 광암교호의 효과가 높았고 $15^{\circ}C$에서는 균주 $Su_1$을 제외하고는 광암교호처리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2)균계생장량은 광선과 온도간의 교호작용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균주별로는 $S_3$$K_2,\;S_4,\;Su_1$에 비하여 생장량이 가장 많았고 온도별로는 $22^{\circ}C$에서 균계생장량이 가장 많았다.

  • PDF

경혈식별 파라메터의 개선에 의한 혈위식별시스템 DM96A-2의 설계 (Design of the Acupoint Discriminator(DM96A-2) by Improvement of Meridian Point Discrimination Parameter)

  • 이후학;어윤기고수복정동명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25-828
    • /
    • 1998
  • 경혈을 대상으로 인체를 진단하는 의료기기들은 경혈점에 미세한 직류전류를 인가하고, 이 점에서의 전기저항과 세포의 분극에 의해 반응하는 경락체계의 균형상태를 측정하여 인체를 종합적으로 진단한다. 따라서 전 과정이 정확한 경혈의 위치에서 이루어져야만 치료효과와 진단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락관련 치료기들이 정확한 혈위식별에 어려움이 있고 사용자의 전문적 숙련을 요구한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일정한 주파수로 교호되는 자극패턴(SPAC) 방식을 사용하여 식별률을 높인 혈위식별기 DM96A-1를 개발하였다. DM96A-1은 단일전원이 양방향으로 교호되는 전류로 자극펄스를 출력하고 측정범위가 0.5∼50㎂인 전류메터와 레벨메터를 이용하여 혈위의 전류량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방향전환 소자의 두 채널 제어신호가 교호되는 과도기에서 두 자극패턴의 중첩 도통에 의해서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정밀한 조정을 필요로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들을 보완하여 신뢰성 있는 출력 파라메터를 얻을 수 있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 i80c196kc를 사용하여 DM96A-2를 재 설계하였으며 임상실험에 의하여 개선된 최적 파라메터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