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합 평면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1초

하악 제3대구치 발거 시기가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lower third molar on the treat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

  • 손명호;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94-40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 시에 하악 제3대구치의 존재가 하악 치열의 원심 치군 이동(distal en masse movement) 및 치료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을 받고, 이에 대한 교정 치료를 받은 36명(남자: 9명, 여자: 27명)을 선택하였다. 모든 환자는 제3대구치 이외의 다른 치아는 발거하지 않았다. 이를 하악 제 3대구치의 발거 시기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였는데. 제1군은 하악 제 3대구치를 발거하지 않고 MEAW를 사용하여 치료를 종료한 12명이며, 제 2군은 MEAW 적용 후에 하악 제 3대구치를 발거한 8명. 제 3군은 MEAW를 적용하기 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18명이다 각 환자들에 대하여, 전체 치료 기간 및 MEAW 적용 기간을 구하였으며, 치료 전 후의 측모 두부 계측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였다. 각 군에 대한 치료 기간 및 치료 전 후의 변화를 ANOVA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체 치료 기간은 각 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MEAW를 적용한 기간은 제 2군(MEAW 적용 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군)에서 가장 길었다. 제3군(MEAW를 적용하기 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군)에서, 치료 후에 형성된 overjet이 가장 컸다. 제3군(MEAW를 적용하기 전에 하악 제5대구치를 발거한 군)의 경우 치료 후에 IMPA가 감소하였으나, 제1군(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하지 않고 치료를 종료한 군)과 제 2군(MEAW 적용 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한 군)에서는 IMPA가 증가하였다 제2대구치의 원심 치체 이동량은 세 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원심 경사 이동량은 세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제 2군 제 3군 제 1군의 순이었다. 따라서, MEAW를 적용하기 이전에 하악 제3대구치를 발거하는 것이 III급 부정교합의 교정적 치료에 더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 2군의 경우, 하악골의 전방 회전 결과, 하악 평면각의 감소가 있었으며 이러한 골격 변화가 치료 기간의 연장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상악골 전방견인 후 경조직과 연조직의 재발에 관한 연구 (THE STDUY OF THE RELAPSE OF HARD AND SOFT TISSUE AFTER MAXILLARY PROTRACTION)

  • 양준호;박수병;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73-389
    • /
    • 1997
  • 본 연구는 성장기 아동 중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구외력을 이용한 상악골 전방견인시에 발생하는 경조직과 연조직의 변화와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제거 후 관찰되는 경조직과 연조직의 재발 양상 및 이들의 상관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하여 상악골 열성장을 동반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은 아동 중 안면 비대칭과 순구개열이 없고 상악골 전방견인 치료 전이나 후에 상하악에서 고정성 또는 가철성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29명 (남자 10명, 여자 19명 )을 대상으로 상악골 전방견인 전,후와 장치제거 후 1-3개월때 채득한 측모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계측,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에 의하여 상순부 연조직은 그 하방 경조직과 함께 전하방 이동되었고 하순부 연조직은 경조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수평적으로는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2.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제거 후 상하 전치의 재발양상에도 불구하고 상하순 모두 수평방향으로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수직방향으로는 전방견인 후보다 더 하방이동 하였다. 3. 상악골 전방견인에 의하여 상악골과 상악치열이 전방 이동되었고 구개평면은 전상방 회전되었으며 하악골과 하악치열은 하후방 회전되었다. 4.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제거 후 악골의 위치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상하 전치의 치축과 전상방 회전되었던 구개평면이 치료 전 위치로 재발되었다. 5. 경조직과 연조직의 상관성 검정에서 입술의 위치는 그 하방 경조직과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 PDF

브라켓의 수직적 위치변동에 따른 치관경사도변화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Variations i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Bracket on the Crown Inclination)

  • 장연주;김태우;유관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01-411
    • /
    • 2002
  • 정교한 교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브라켓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많은 원인에 의해 브라켓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브라켓의 수직적 위치에 변화가 있을 때 이것이 치관경사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의 정상교합자 표본 중 상태가 양호한 10명(남자 6명, 여자 4명, 평균 연령 22.3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 이들의 치아모형을 laser scanner를 이용, 3차원적으로 스캔을 시행하였고, 컴퓨터 프로그램 상에서 스캔된 치아모형에 대한 계측을 실시하였다. 각 모형에 대하여 Bracket plane을 설정하였고, 각 치아에서 Bracket plane에 수직이며 치아의 장축을 지나는 Tooth plane을 순협면에서 결정한 뒤 Bracket plane상에서의 치관경사도를 계측하였다. 이로부터 Bracket plane을 상하로 0.5mm, 1.0mm, 1.5mm 변위시켰을 때의 치관경사도를 계측하였다. 각 계측 항목에 대해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과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시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중절치, 측절치, 견치, 대구치와 하악소구치, 대구치에 있어서 브라켓의 수직적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치관경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상악전치와 대구치, 하악소구치와 대구치에서는 기준평면으로부터 수직적으로 같은 양만큼 변위되었다 할지라도 보다 교합면쪽에 위치하는지, 보다 치은쪽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치관경사도의 변화량이 다르게 나타났다. 3. 브라켓의 수직적 위치변화가 있을 경우 상악전치부와 대구치, 하악구치부, 이 중 특히 하악구치부의 치관경사도는 임상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므로 브라켓을 위치시킬 때 주의를 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인 정상 교합자의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안모비율에 관한 연구 (A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Study on Craniofacial Proportions of Koreans with Normal Occlusion)

  • 백형선;유형석;이기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43-659
    • /
    • 1997
  • 두개 악안면 기형 환자의 종합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입체적인 평가와 진단이 중요하다. 그러나 흔히 전후방적인 골격 평가에는 많은 분석 방법을 시행하고 있으나, 안모 비대칭과 상 하악골 횡적인 부조화의 진단을 위해 필요한 횡적 평가방법은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횡적인 부조화의 적절한 진단과 치료는 안정된 기능교합의 형성에 있어서 전후방 또는 수직적인 부조화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기간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상하악의 횡적인 부조화에 따른 연조직의 변화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시진을 통한 임상적 방법으로는 간과되기 쉬우며 더욱이 특징적인 안모 소견을 보이는 전후방 또는 수직적인 부조화와 동반된 경우에는 감별되기 어렵다. 그로 인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정상 안모에 관한 정모두부 방사선 계측학적 안모 비율의 평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1996학년도 연세대학교 신입생중에서 협조 가능한 정상 안모와 거의 정상 교합을 갖은 남녀 76명을 선정하여 안모 비대칭과 횡적인 부조화가 있는 악안면 기형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에 도움을 주는 자료를 얻고자 정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을 이용하여 수평 및 수직 계측항목과 그 비율을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모의 수평 및 수직적인 계측항목과 그 비율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2. 정모의 폭경에 대한 고경의 비율은 0.837(남자: 0.836, 여자:841)이었다. 3. 상악골과 하악골간의 폭경비율은 0.747(남자: 0.745, 여자:0.752)이며,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4. 두개 안면부 폭경들간에는 서로 연관성이 나타났다. (두개폭경, 관골전두봉합폭경, 안면폭경, 상악폭경, 하악폭경, 상악과 하악 구치부폭경) 5. 정모의 폭경이 증가할수록 안모고경과 다른 길이 계측치도 연관되어 증가하였지만 각도 계측값 ($Bj\ddot{o}rk$의 합, 하악평면각)의 감소와, 후전 안면고경 비율 증가로 인하여, Brachycephalic facial type의 안모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악안면 기형 환자의 교정치료 및 악교정 수술치료의 계획에 기준치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수직고경이 감소된 환자의 디지털 진단 분석을 이용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for a patient with vertical dimension loss using digital diagnostic analysis: A clinical report)

  • 최예원;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김형섭;권긍록;배아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87-496
    • /
    • 2021
  • 완전 구강 회복이란 구강 내 잔존치아와 결손치아를 수복하여 구강의 건강, 기능 및 아름다움을 개선하고 구강악계의 다른 조직과 조화되도록 회복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다수 치아가 상실될 경우 환자의 교합평면은 점차 붕괴되어 가며 수직고경이 감소될 수 있다. 감소된 수직고경은 악관절 및 저작근에 잠재적인 병인이 될 수 있으므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보철수복이 요구된다. 본 증례 환자는 68세 여환으로, 현재 사용 중인 가철성 국소의치가 파절되어 식사가 불가능한 상태로 보철치료를 통해 저작기능 회복과 마모 치아의 심미적 개선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수직 고경의 상실을 디지털 치과 기술을 사용하였다. 디지털 분석 단계에서 C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교합면을 설정하고 여러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CBCT 영상을 사용하여 악안면계 해부학적 구조물과 치아의 위치를 정렬하여 환자의 상태를 3차원으로 시각화하여 가상으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가상으로 정렬한 가상 페이스보우를 실물 교합기로 옮겨와서 한번 더 진단 분석하였다. 평가 후,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여 환자가 이상 없이 적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 수직고경이 감소된 68세의 여성 환자에서 가철성 국소의치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으로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골격성 3급 부정교합 환자의 하악골 후퇴술 시행후 안모변화에 대한 3차원적 연구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 Park, Jae-Woo;Kim, Nam-Kug;Kim, Myung-Jin;Chang, Young-I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0-329
    • /
    • 2005
  • 하악 수술로 치료한 골격성 3급 부정교합 환자의 연조직 변화를 3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전과 수술후에 CT를 촬영하고, 연조직과 경조직을 각각의 임계값에 따라 segmentation였다. FH.평면, 정중시상면, PNS를 포함하는 전두면을 기준으로 공통 좌표계를 구성하고, 이 좌표계를 기준으로 술전, 술후 영상을 위치시켰다. 술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모형에 대해 전두면에 평행한 grid를 형성하였다. Grid내의 교점에서 골조직과 연조직 모형에 투사하여 만나는 점의 좌표값을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술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하악골 후퇴술시 안모의 변화는 하악골 부분에서만 발생한 것이 아니라, 구각부에서도 관찰되었다. 하악골 부위의 연조직 변화는 대응되는 골조직 이동량에 따른 상대적인 값으로 계산하였다. 정중시상면에서의 변화율은 $77\~102\%$로 나타났다. (p<0.05). 정중시상면 이외의 부분의 변화양상도 이와 유사하였다. 구각부에서의 변화는 하악골의 이동을 대표할 수 있는 점의 이동량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계산하였다. 정중시상면에서의 변화는 B점을 기준으로 $14\~29\%$이고, Pog점을 기준으로 $17\~37\%$, grid상 83번째 점을 기준으로 $11\~22\%$로 관찰되었다.(p<0.05)

아시아 성인 연조직 측모의 비교분석 (SOFT TISSUE PROFILES OF YOUNG ORIENTAL ADULTS)

  • 정규림;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81-889
    • /
    • 1997
  • 이 연구는 정상 교합과 양호한 안모를 가진 169명의 남자와 174명의 여자 아시아 각국 인을 대상으로 연조직 측모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100명의 한국인, 100명의 중국인, 72명의 월남인 및 71명의 일본인으로부터 촬영된 측모두부방사선사진 상에서 9개의 계측점을 설정하고 전산 입력한 뒤 6 개의 연조직 계측 항목에 대한 측정을 시행한 후 통계 처리하였다. 분산 분적에서 중국인의 총 측모(GI'-Pr-Pg')는 한국인이나 월남인에서 보다 적은 돌출도를 보였다(P<0.01). 중국인의 안면평면측모(GI'-Sn'-Pg') 역시 월남인 보다 적은 돌출각을 나타내었다(P<0.01). 홀더웨이의 하순각(Pg'-LS:N-B)은 월남인에서 가장 컸고 다음으로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월남인의 상순은 중국인에서보다 리???츠의 심미적 기준선에 더 많이 근접하였고 한국인과 일본인에서의 상순은 기준선보다 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하순은 심미적 기준선에 근접한 반면 중국인과 월남인의 하순은 기준선 보다 2 mm 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월남인의 비순각은 중국인과 일본인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간의 성차는 기본적으로 코의 높이에서 상이하였고 이로 인하여 여자에서의 총 측모각과 비순각이 남자보다 크게 나타났다(P<0.001). 이러한 결과는 아시아 각국인 들의 연조직 측모에 대하여 단일 표준치에 의한 분석 평가가 적절하지 않으며 각 인종별 표준치 설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PDF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에서 Delaire의 이상적 교합평면과 저작근 근활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DELAIRE'S IDEAL OCCLUSAL PLANE AND MASTICATORY MUSCLE ACTIVITY IN KOREAN NORMAL ANGLE CLASS I OCCLUSION INDIVIDUALS)

  • 변성규;이충국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3호
    • /
    • pp.229-237
    • /
    • 2000
  • According to the functional matrix theory, Delaire proposes that individual occlusal plane was determined by variable effects of teeth, maxilla, mandible, cranium, cranial base and soft tissue matrix including the orofacial musculature. and that there is the ideal occlusal plane determined by the most proper spatial position of maxilla and mandible,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Delaire's ideal occlusal plane and muscle activity of masticatory muscles in individuals who have normal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s.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and his/her individual occlusal plane and ideal occlusal plane were analyzed with Delaire's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craniofacial analytic method. For evaluation of muscle activities of masticatory muscles, electromyography of anterior temporal muscle, superficial masseter muscle, and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was recorded in fifty Korean normal Angle class I occlusion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average value of ideal occlusal plane, fifty normal Angle class I occlusion individua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Ideal occlusal plane group(I group), hyperrotation group(I+ group) and hyporotation group(I-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 results of Delaire's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craniofacial analysis of lateral cephalography of the fifty Korean normal Angle class I occlusion individuals are that twelve persons(24%) have consistent or parallel with ideal occlusal plane and the average of angular difference was $1.22^{\circ}{\pm}3.69^{\circ}$. 2.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ies of masticatory muscles during resting(p<0.05), but significant increases of muscle activity of ipsilateral anterior temporal and masseter muscle, contralateral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during unilateral chewing and of anterior temporal and masseter muscle during bilateral clenching(p<0.05). 3.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angular difference between Delaire's ideal occlusal plane and real occlusal plane to muscle activity, muscle activities of masticatory muscles were compared with three groups in each other; I group, I+ group and I- group. The result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resting, unilateral chewing and bilateral clenching.(p>0.05) 4. Al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masticatory muscle activities among the three groups, the fact that increasing tendency of masseter muscle activity of ideal occlusal plane group(I+) than those of any other groups(I+ and I-) during bilateral clenching was noted. There is only the implication that occlusal plane makes some effects on masticatory muscle activities, espacially that of masseter muscle during bilateral clenching. In conclusion, the hypothesis that occlusal plane is one of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muscle activities of masticatory muscles and that anyone whose occlusal plane consistent with Delaire's ideal occlusal plane has an extraordinary functional advantage in masticatory muscle function cannot be proven with electromyography methods.

  • PDF

치열 안면 비대칭 환자의 비수술적 절충치료의 전략적 접근 (The Treatment Strategies of Non-surgical Approach for Dentofacial Asymmetry Patient)

  • 이경민;이상민;양병호;윤민성;이주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1호
    • /
    • pp.77-87
    • /
    • 2010
  • 비대칭은 두개안면증후군 같은 선천적 요인과 외상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골격성 비대칭에서부터 경미한 치열 비대칭에 이르기까지 그 정도는 매우 다양하며 이에 대한 환자의 인지 또한 주관적이다. 심한 비대칭의 경우 악교정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으나 비대칭이 심하지 않고 환자가 수술을 원하지 않을 경우 교정치료 만으로 비대칭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하지만 비대칭 고무줄을 사용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장기간 치료하면 교합평면이 기울어지거나 치아가 경사이동이 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여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초진 시부터 주의 깊은 진단과 충분한 역학적 고려를 포함한 철저한 치료 계획이 필요하다. 이에 하악의 편위가 발생한 안면 비대칭 환자에서 수술 없이 비대칭을 악화시키지 않는 조절된 교정력을 적용하여 만족스런 비대칭 절충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성장기 아동에서 Cervical Headgear사용시 골격적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OF SKELETAL CHANCE FOLLOWING CERVICAL HEADGEAR THERAPY IN GROWING CHILDREN)

  • 현하영;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23-534
    • /
    • 1996
  • 성장기 아동의 ClassII 부정교합에서 과도한 성장의 억제, 미약한 성장의 촉진으로 성장 시기에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좋은 치료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중 가장 적절히 쓰이는 장치 중 Cervical headgear의 사용을 들수 있으며 악골에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장치의 부작용이라 할 수 있는 수직적 성장의 과잉을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많은 선학들의 연구가 시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Cervial headgear의 상하악골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Lover facial height를 기준으로 증가군(>0)과 증가하지 않은 군 (${\leq}0$)으로 나누어 골격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국대학교 부속 치과병원에 내원한 성장기 아동의 II급 부정교합환자 25명을 대상으로 cervical headgear를 사용한 결과 다음과 같이 다소의 지 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상악골의 전방 성분이 억제되었고, 구개 평면의 전방이 하방으로 tipping되었으며 상악 제 1대구치의 후방 이동이 있었다. 2. 하악골의 두개저에 대한 상대적인 전방 이동이 있었으며 상악에 대한 하악 제 1대구치의 상대적인 전방 이동이있었고 하악골의 alveolar growth에 의한 수직적인 증가가 있었다. 3. 전안면 고경과 후안면 고경이 각기 유의하게 증가했으나 안면 고경 비율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4. Lower facial height가 증가한 group이 증가하지 않은 group보다 ramus의 길이가 짧고 palatal plane angle이 더 작았으며 상악 제 1대구치의 후방 이동량이 더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