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합접촉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5초

다양한 물성을 혼용하여 제작된 구강보호장치가 치아 및 악골에 미치는 영향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effects of mouthguard produced by combination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n teeth and jaw)

  • 소웅섭;이현종;최우진;홍성진;류경희;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4-332
    • /
    • 2011
  • 연구 목적: 다양한 물성의 층으로 제작된 마우스가드를 장착하였을 때 치아와 악골에 가해지는 힘의 유한요소 분석을 시행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연구대상의 모형을 교합기에 장착한 뒤 Signature Mouthguard System (Dreve dentamid GmbH., Unna, Germany)을 이용하여 맞춤형 구강보호장치를 제작하여 장착한 후 두정부에서 경추까지 1.0 mm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영상을 Cantibio BIONI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생성한 뒤 HyperMesh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우스가드는 층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 연질(Bioplast)(SG) 2. 경질(Duran)(HG) 3. 중질(Drufomat)(MG) 4. 연질+중질(SG + HG) 5. 경질 + 연질(HG + SG) 6. 연질 + 경질 + 연질(SG + HG + SG) 7. 경질 + 연질 + 경질(HG + SG + HG) 하중위치는 하악골의 전방 이부(F1), 하악 좌측 제1대구치 하방의 하악체 중앙(F2), 하악각의 전연(F3) 세점으로 하였고 FH Plane에 45도 방향으로 800N, 0.1초의 힘을 가하였다. 통계방법으로는 반복분산분석과 사후분석(다중비교분석(Multiple comparison test) DUNCAN test)을 이용하였다. SPSS 소프트웨어 (Ver.13, 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치아와 상악골에서의 응력분포는 모든 하중위치에 대하여 연질층이 하악 치아에 접촉하는 구강보호장치가 적은 응력값을 나타냈으며, 과두에서의 응력분포는 모든 하중위치에 대하여 경질층이 하악 치아에 접촉하는 구강보호장치가 적은 응력값을 나타내었다. 두 연질층 사이에 경질층이 개재된 세층의 구강보호장치가 하중 시 상대적으로 고르게 응력이 분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상하악 치아에는 연질층이 접촉하고 두 연질층 사이에 경질층을 삽입하는 형태의 구강보호장치가 악안면 외상 시 상대적으로 하중을 분산시키는데 가장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Horseshoe Expander의 확장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Horseshoe Expander)

  • 정규림;박영국;이영준;김홍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53-563
    • /
    • 2000
  • 이 연구는 Horseshoe Expander를 이용하여 확장 전과 후의 악구강계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상악궁 확장이 필요한 것으로 진단된 33명을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완만 상악골 확장술(SME)을 적용한 19명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의 정모 및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과 모형을 확장 전과 후로 채득하였다. 또한, 급속 상악골 확장장치(RME)를 적용한 13명을 대상으로 확장 후의 치축각의 변화를Horseshoe Expander군과 비교하였다. 이 자료를 계측, 통계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서 양측 상악 중절치의 치근 및 절단연의 중앙점 사이의 거리, 상악 폭경, 비강 폭경이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고, 상하악 폭경은 감소를 보여 결국 삼각형 모양의 확장 양상을 나타냈다. 2.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서 McNamara line에 대한 상악 중절치의 거리, 상악깊이, 상악 높이 항목이 증가를 나타냈다. 또한, FH평면에 대한 상악 중절치, 구개평면, 교합평면, 하악 평면의 각도가 증가를 나타냈으나, McNamara line에 대한 하악 중절치의 거리항목은 유의성이 없었다. 3. 모형 분석에서, 구개용적, 상악 견치와 제1대구치의 폭경 및 상악궁 길이 항목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교합 접촉점의 감소가 유의성을 나타냈다. 4. 상악 제1대구치간 폭경변화(치성 변화)대 상악폭경변화(골격성 변화)가 약 2.2:1의 비율을 보였다. 5. Horseshoe Expander군과 급속 상악골 확장장치군(RME군)의 확장 전,후 치축각 비교에서는, Horseshoe Expander군이 급속 상악골 확장장치군(RME군)보다 상악 제2소구치, 제1대구치에서 더 큰 상관계수를 가짐으로써 협측 경사이동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Horseshoe Expander는 치성 변화가 적고, 급속 상악골 확장장치 (RME)에 비하여 협측 경사이동이 적으므로 상악궁 확장에 효과적인 장치로 사료된다.

  • PDF

유한요소모델에서 레버암을 이용한 상악 6전치 설측 견인 시 초기 이동 양상 (The Pattern of Initial Displacement in Lingual Lever Arm Traction of 6 Maxillary Anterior Teeth According to Different Material Properties: 3-D FEA)

  • 최인호;차경석;정동화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2호
    • /
    • pp.213-230
    • /
    • 2008
  • 최근 치료기간의 단축과 심미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6전치를 설측에서 견인하는 레버암을 이용한 견인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악골의 고전적인 2가지 물성으로 구성된 유한 요소 모델 (단순모델)과 새로이 개발된 24가지 물성으로 구성된 모델 (복합모델)을 생성하여 상악 6전치를 후방 견인 시, 각 치아와 치주인대에 나타나는 초기 이동량과 응력분포를 분석하였다. 23세 성인 남자의 CT 촬영으로 얻은 DICOM 영상정보를 3차원 리버스 엔지니어링 컴퓨터영상프로그램 Mimics를 이용하여 상악골 및 상악 전치부의 3차원 입체영상모델로 재구성하여 finite element analysis (FEA) 모델을 완성하였다. 모델은 상악골, 상악 전치부 각 치아의 치주인대, lingual traction arm의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상악 6전치의 저항중심 부위를 지나도록 교합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200g의 후방견인력을 적용한 후 나타나는 초기 이동량 및 응력 분포를 3차원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해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24가지 물성으로 구성된 복합모델이 2가지 물성으로 구성된 단순 모델에 비해 상악 중절치에서 보다 후방 이동되는 양상이 크게 나타났으며 수직적인 회전 양상 역시 크게 나타났다. 두 모델 모두 중절치와 측절치는 조절성 경사이동의 형태로 후방이동양이 견치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견치는 이동량이 적은 대신 치근의 이동이 더 크게 나타났다. 수직적 이동양상에 있어 두 모델 모두 측절치와 견치의 접촉점을 중심으로 절치는 하방으로 견치는 상방으로 움직이는 회전양상을 나타났다. 응력의 비교에서는 단순 모델과 복합 모델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비록 각기 다른 물성으로 인해 후방 이동량에서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기본적인 치아의 이동양상은 두 모델에서 모두 같게 나타났다.

근관치료용 무선전기모터인 X-Smart의 전원의 종류에 따른 RPM 변화의 평가 (The Evaluation of RPM Change in X-Smart According to Power Source: Endodontic Wireless Electronic Motor)

  • 박세희;정동빈;조경모;김진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1호
    • /
    • pp.91-9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근관치료용 무선전기모터인 X-Smart의 지속적인 사용 시, 배터리전원과 AC 어댑터 전원일 때의 RPM의 유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X-Smart (Dents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 신품 5대를 사용하였다. 본체에 연결한 핸드피스를 바이스에 고정하고, RPM의 측정을 위한 반사지를 붙인 Disk를 장착하였다. 비접촉식 RPM측정기인 TM-5000을 사용하여 RPM을 측정하였다. 배터리 전원시의 RPM과 AC 어댑터 전원시의 RPM을 5분마다 180분에 걸쳐 측정하였고 각 전기모터마다 3회씩 반복하였다. $SPSS^{TM}$ 14.0을 이용하여 2요인 반복측정분석을 통해 각 전원별 전기모터에 따른 RPM 변화량과 전원의 종류에 따른 RPM 변화량의 상관관계를 95% 유의 수준에서 비교하였다. 전원의 종류와 관계없이 같은 전원에서 각 기기별 RPM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전원의 종류에 따른 RPM 변화량의 차이는 90분 이후의 측정치에서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것이 관찰되어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배터리 전원의 무선전기모터로서의 X-Smart를 180분 이내로 연속사용 한다면, 신뢰성 있는 RPM 유지를 얻어 안전한 임상사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부분 무치악 고정성 임플랜트 보철하에서 교합접촉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GREE OF OCCLUSAL CONTACT UNDER THE FIXEDIMPLANT PROSTHESIS OF PARTIALLY DENTULOUS PATIENTS)

  • 송금영;계기성;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81-29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gree of occlusal contact under the fixed implant prosthesis of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hich was hased on occlusal concept of implant prosthesis. From the patients who have free-standing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of unilateral partially edentulous area, occlusal and occlusal contact point of th enatural tooth side and implant side of light closure and heavy closure were analyzed by T-scan system throuht pre-and post-adjustment and the degree of occlusal contact was estimated by Shimstock.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occlusal force of natural tooth side(NF) from mid-sagittal axis was relatively constant at light and heavy closure through pre-and post-adjustment, but the occlusal force of implant side(IF)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t light closure(P<0.01) and heavy closure(P<0.05) of post-adjustment. 2. Natural tooth side-implant side moment(MIMoment) fo occlusal force from mid-sagittal axis was significant(p<0.05) through pre-and post-adjustment and the deviation from mid-sagittal axis was increased at light closure of post-adjustment, but was decreased at heavy closure of post-adjustment. 3. Comparing the NF and IF, IF was greater at heavy closure of pre-adjustment, and NF was greater at light closure of post-adjustment, and the NF and IF was relatively equally distributed at light closure of pre-adjustment and at heavy closure of post-adjustment. 4.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 of natural tooth side(NC) was relatively constant through pre-and post-adjustment, but the number of occlusal contact point of implant side(IC)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5) at light closure of post-adjustment, and was not significant but was lesser at heavy closure of post-adjustment. 5. Difference of the NC and IC was greater at light closure of post-adjustment, but it was less at heavy closure of post-adjustment, and therefore occlusal contact point of natural tooth side and implant side was relatively equally distributed at heavy closure of postadjustment. 6. When bilaterally distribution of occlusal force and occlusal contact point was established, degree of occlusal contact of implant suporoted prosthesis with opoosing teeth at light clousre was $34.13{\pm}21.69{\mu}m$.

  • PDF

이악물기 치아접촉시 편측 구치 상실을 지닌 두개골의 부하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load on the dentated skull with unilateral molar loss during simulated bilateral clenching clenching)

  • 정석조;정승미;강동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7권4호
    • /
    • pp.245-25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chanical stress and displacement on the jaws during the simulated bilateral clenching task on the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the dentated skull with unilateral molar loss. For this study, the computed tomography(G.E.8800 Quick, USA) was used to scan the total length of human skull in the frontal plane at 2.0mm intervals. The fully assembled finite element model consists of the articular disc, maxilla, mandible, teeth, periodontal ligament and cranium. The FE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bilateral clenching in intercuspal position. The loading condition was the force of the masseter muscle exerted on the mandible as reported by Korioth et al. degrees of freedom of the zygomatic region where the masseter muscle is attached were fixed as restraints. In order to reflect the actual action of the muscles force, the displacement of the region was attached where the muscle is connected to the temporal bone and restraint conditions were given values identical to values at the attachment region of the masticatory muscle but with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eaction from when the muscle force is acted on the mandible. Although the mandible generally has higher displacement and von Mises stress than the maxilla, its mandibular corpus on the molar-loss side has a higher stress and displacement than the molar-presence side. Because the displacement and von Mises Stress was the highest on the lateral surface of mandibular corpus with molar loss, the stress level of the condyle on the molar-loss sid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molar-presence side, which in turn caused the symphysis of the mandible to bend. In conclusion, the unilateral posterior bite collapse with molar loss under para-functional activities such as bruxism and clenching can affect the stress concentration on the condyle and mandibular corpu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consider the biomechanical function of dento-skeleton under masticatory force while designing the occlusal scheme of restoration on alveolar bone with the posterior collapse.

  • PDF

두부자세에 따른 두경부 근활성 및 교합접촉양태의 변화 (Effects of Head Posture on Resting EMG Activity of Craniocervical Muscles and on Occlusal Contacts)

  • Chang-Kweon Song;Kyung-Soo Han;Chan Ch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1권1호
    • /
    • pp.89-101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nfluence of the changes of head posture on resting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in anterior temporalis, masseter,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trapezius, and on status of occlusal contacts. For this study twenty-nin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and thirty dental students without any masticatory symptoms were selected as patients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EMG activity($\mu$V) at rest was observed in four kind of head postures such as natural or normal head posture(NHP), forward head posture(FHP), upward head posture(UHP), downward head posture(DHP), and in NHP and FHP, EMG activity with flat occlusal splint was also checked. BioEMG$^\textregistered$(Bioelectromyograph, Bioresearch Inc., USA) was used to record EMG activity in the above four muscles with eight locations on both sides. The author used T-Scan$^\textregistered$(Tekscan Co., USA) system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oclusal contats on clenching in the four head postures about number, force, time(duration) and total left-right statistis(TLR, occlusal stability crossing left-right dental arch on clenching). For taking in upward or downward head posture, head was inclined $10^{\circ}$ upward or downward and CROM$^\textregistered$ (cervical-range-of motion, Performance attainment Inc., USA) was used to maintain same posture during the procedur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For resting EMG activity, anterior temporali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y change of head posture, but masseter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 showed higher value of EMG activity in FHP and UHP, and trapezius showed higher value of EMG activity in FHP and DHP. 2. EMG activity of trapezius wa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muscles in NHP, FHP, and DHP, but in UHP, the activity was the lowest reversely. 3. Patients group showed higher EMG activity than control group did in all the muscles in NHP. A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lso observed in anterior temporalis in FHP,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in UHP, and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trapezius in DHP with higher activity in patients group. 4. There was no change of EMG activity in NHp with splint, but EMG activity in anterior temporalis and masseter was decreased in FHP with splint. 5. In general, status of occlusal contacts was not changed with head posture in all subjects, and difference between patients group and control group was only noted for number and force of tooth contact in UHP and DHP with more value in control group. 6. Correlationship between EMG activity and number ad force of tooth contacts was shown negatively with regard to masseter in NHP, and trapezius in UHP and DHP.

  • PDF

수처리용 세라믹 기반 그래핀 맴브레인의 합성 및 물질이동특성 (Fabrication of Ceramic-based Graphene Membrane (CbGM) and Its Mass Transport Behavior for Water Treatment)

  • 김창민;박기범;김광수;김인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649-6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막 기반 수처리 기술의 핵심인 막 성능 및 특성을 혁신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막으로서 그래핀과 세라믹을 결합하는 세라믹 기반 그래핀 막(Ceramic-based graphene membrane (CbGM))을 만들고, 막에서 일어나는 물질 이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수투과 및 염 제거의 역할을 하는 활성층으로서 그래핀이 사용되었으며, 간단한 Filtration-assisted assembly (FAA) 방법을 도입하여 막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막의 표면 형태 및 특성 분석을 위해 주사전자 현미경 및 접촉각을 분석하였으며, 막 성능 및 특성 파악을 위해 3가지 용질(i.e., NaCl, $MgCl_2$, $Na_2SO_4$)을 회분식 정삼투 시스템에서 용질 이동을 측정하였다. 표면 형태 특성 분석과 물질 이동 결과를 통해, 그래핀 층의 두께 보다는, 활성층을 구성하는 그래핀 조각들 사이의 교합(Interlocking)이 막에 선택성 부여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농도차를 구동력으로 하는 막 공정에 CbGM을 적용하였을 때, 수중의 음이온과 양이온의 최외각 전하비($Z^-/Z^+$)값이 증가할수록 용질 이동이 비례적으로 촉진되었으므로, CbGM의 표면이 양으로 하전되어 있으며, 이것이 전하된 물질의 이동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시하중시 상악 전치부에 식립된 임플란트 길이 변화에 따른 응력 분포의 삼차원 유한요소 연구 (Effect of Implant Length on the Immediate Loading at the Anterior Maxilla)

  • 이준석;김명주;권호범;임영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3호
    • /
    • pp.255-265
    • /
    • 2009
  • 즉시 하중에 대한 관심과 시도가 증가되고 있지만, 명확한 술식이 정립되어 있지는 않다. 본 연구에서는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에서 즉시 하중시에 골과 임플란트에 나타나는 응력분포 양상을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골질이 D3인 상악 전치부의 골모형을 구성하고, 서로 다른 길이(8.5 mm, 10.0 mm, 11.5 mm, 13.0 mm, 15.0 mm)의 직경 4.0 mm 나사형 임플란트를 식립한 모형을 제작하였다. 해석 절차의 간소화를 위하여 모든 물성은 등방성, 선형탄성, 균질성으로 가정하였다. 골-임플란트 계면은 접촉 요소법으로 처리하여 골유착이 일어나기 전 상태로 구성하였다. 지대주 장축에 120도의 각도로 지대주의 구개 절단각 중앙부에 176 N의 정하중을 가하고 응력분포를 관찰하였다. von Mises stress를 이용하여 응력을 분석한 결과 모든 모형에서 순측 피질골에 응력이 집중되었으며 피질골과 망상골의 경계부에서 최대 응력값을 나타내었다. 길이에 따른 비교시 8.5 mm 모형에서 가장 큰 최대 응력값을 나타냈으며, 임플란트 길이가 증가될수록 좀 더 양호한 응력 분포를 나타내었다. 상악 전치부 즉시 하중시에 피질골의 존재 유무는 매우 중요하며, 길이가 긴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유리하며, 가능하면 13.0 mm 이상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즉시하중을 시행할 때 응력 분산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두 가지 CAD software의 맞춤형 지대주 디자인과 출력물 일치도 비교 (Comparative study of two CAD software programs on consistency between custom abutment design and the output)

  • 임현미;이규복;이완선;손큰바다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3호
    • /
    • pp.157-166
    • /
    • 2018
  • 목적: 두 가지 CAD software에서 각 software의 맞춤형 지대주 디자인과 출력물의 일치도를 비교 평가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Shape Dental System과Delta9 CA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 석고모델에 맞춤형 지대주를 디자인하였다(CRM STL file).디자인한 지대주를 밀링 한 후, 접촉식 방식으로 스캔하고(Test STL file), Inspection 소프트웨어에서 각 지대주의 Test STL file과 CRM STL file을 중첩하여 오차값을 측정하였다. 결과: 시편의 전체 스캔 오차 비교와 축면 경사각에 따른 축면부위 오차비교에서 Delta9이 더 나은 밀링 재현성을 보였다(P < .05). 마진설정 시, 반경 0.9 mm에서 Delta9의 디자인과 출력물의 일치도가 더 우수했다(P < .05). 반면, Anti-rotation 형태 부여에 따른 유의할 만한 차이는 없었다. 부위별 오차 값 누적 비교에서는 Delta9이 대부분의 시편에서 더 작은 오차 값을 보였다(P < .05). 결론: Delta9이 대부분의 디자인 설정 환경에서 3Shape보다 더 작은 오차 값을 보였다. 이는 Delta9을 사용했을 때, 계획된 디자인과 출력물의 일치도가 3Shape과 유사하거나 더 좋은 출력물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