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합면형태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S OF CHEWING PATTERNS TO OCCLUSAL WEAR (저작형태가 교합면 마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Seong-Kyun;Kim, Kwang-Nam;Chang, Ik-Tae;Heo, Seong-Jo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4 no.1
    • /
    • pp.15-30
    • /
    • 1996
  • 저작은 치아, 악골, 저작근 뿐만 아니라 근 신경계, 고위 중추까지 복합적으로 관여되는 기능적 행위이다. 저작 형태는 다양한 모양을 가지나 두 가지 전형적인 군, 즉, 전방에서 관찰 시 그 양상이 수직적이며 절단 (chopping) 운동을 하는 군과 주로 측방으로 이루어지며 연마 (grinding)를 하는 군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작 형태의 차이가 교합면 마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두개 하악 관절과 저작 습관에 이상이 없으며 교합면에 수복물이 없는 치과 대학생으로 하악 운동 궤적 기록기를 이용하여 상기의 전형적인 2가지 저작 형태를 보이는 각 15명씩을 피검자로 선택하였다. 각 피검자에 대한 임상 검사를 통해 ordinal scale로 교합면 마모의 등급을 조사하여, 평균 치아 마모도와 부위에 따른 치아 마모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각 피검자에 대한 인상 채득 후 모형을 제작하고 arbitrary scale로 교합면 마모의 등급을 조사하여, 평균 치아 마모도와 부위에 따른 치아 마모도를 비교 조사하고 저작측과 비저작측 마모를 비교 조사하였으며 수평 마모면과 수직 마모면을 비교 조사하였다. 1. 평균 치아 마모도는 ordinal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절단형과 연마형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p >0.05) 2. 부위에 따른 치아의 마모도는 ordinal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절단형과 연마형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p >0.05) 3. 평균 치아 마모도는 arbitrary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절단형에 비교하여 연마형에서 높은 마모도를 보였다.(p<0.05). 4. 절단형에 비교하여 연마형은 arbitrary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구치부에서는 높은 마모도를 보였으며 전치부에서는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p<0.05) 5. 구치 평균 치아 마모도와 부위에 따른 치아의 마모도는 균형측에서 절단형과 연마형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6. 전치 평균 치아 마모도와 부위에 따른 치아의 마모도는 수평 마모면과 수직 마모면 비교시, 절단형과 연마형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

What would we meet for the implant dentistry: A Case Report (임플란트를 하면서 만나게 되는 문제들: 증례보고)

  • Lee, Jung-Sam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y
    • /
    • v.24 no.1
    • /
    • pp.49-67
    • /
    • 2015
  • Since the implant became the important treatment modality in dentistry, the research and clinical effort to mimic natural tooth appearance have been pursued. While the rehabilitation of mastication and occlusal appearance was focused in the past, more esthetic and functional restoration was preferred recently. To fulfill this demand, the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 axial contour, papilla space, subgingival appearance, as well as the shape of occlusal surface. In the surgery part, there have been significant advances in the adequate formation of bone and soft tissue through the careful reflection on the surgery time and incision. When the dentist has good knowledge about this aspect and passion for the final product, he or she can acquire better results.

A STUDY ON THE EFFECTS OF CHEWING PATTERNS TO OCCLUSAL CONTACT POINTS AND CHEWING EFFICIENCY (저작 형태가 교합 접촉및 저작 능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o, Li-La;Kim, Kwang-Nam;Chang, Ik-Tae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3 no.2
    • /
    • pp.269-280
    • /
    • 1995
  • 저작은 교합과 악운동 뿐만 아리라 근신경계, 고위 중추까지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기능적 행위이다. 교합 양상은 다양하게 저작 형태에 영향을 끼치며 저작 효율에도 관여한다. 저작 형태는 다양한 모양을 가지나 두가지 전형적인 군 즉, 전방에서 관찰시 그 양상이 수직적이며 chopping운동을 닮은 군과 저작 형태가 주로 측방으로 이루어지며 grinding을 하는 군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작 형태의 치아가 교합접촉 및 저작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하악운동궤적기록기를 이용하여 정상교합을 가진 치과대학생중 전형적인 2가지 저작형태를 보이는 각 10명씩을 피검자로 선택하였다. 3가지 하악위 즉, 중심위, 작업측 비작업측에서의 교합접촉을 고무형 교합인기재로 기록하여 천공부의 직경이 1mm이하면 1점, 1-2mm또는 직선상이면 2점, 2mm이상이면 3점으로 평가하여 각 점수의 합으로 좌우 소구치 및 대구치의 접촉 지수를 측정하였다. 저작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땅콩 3g(${\pm}0.01g$)을 20회 저작하게 한 후 3회 입을 헹구어 뱉게 하였다. 체눈 크기가 각 0.425, 0.60, 0.85, 2.0, 4.0인 체에 거른 후 $65^{\circ}C$로 오븐에서 세시간 말려 무게를 측정하고 중심 크기$(M_{50})$과 저작효율치(R)를 계산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hopping형은 grinding형에 비해 중심위에서 더 넓은 교합접촉을 보였다(P<0.01). 2. Grinding형은 chopping형에 비해 측방위에서 더 넓은 교합접촉을 보였다(P<0.01). 3. Chopping형은 중심크기($(M_{50})$)과 저작효율치(R)로 비교하였을 때 더 좋은 저작 효율을 보였다(P<0.01).

  • PDF

Pharyngeal Teeth and Masticatory Process of the Basioccipital Bone in Korean Bitterlings (Teleostomi : Cyprinidae) (韓國産 납자루아과어류(亞科魚類)의 인두치(咽頭齒)와 저작돌기(咀嚼突起))

  • Suzuki, Nobuhiro;Jeon, Sang-Rin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1 no.1_2
    • /
    • pp.83-92
    • /
    • 1989
  • The pharyngeal teeth and the masticatory process of the basioccipital bone were compared in ten species of Korean bitterlings. Three species, Acheilognathus lanceolata, A. limbatus, A. signifier and Rhodeus ocellatu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serrations on the side of the pharyngeal teeth, are found to, have reduced occlusal grooves on the outside of occlusal margin, Among Korean bitterlings,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developmental degrees of the anterior part of the masticatory process, the grooves on the occlusal surface and the chewing area on the pharyngeal first tooth. The occlusal grooves in herbivorous species are considered to be more developed than those in omnivorous species. Considering these findings, the combination of developmental degrees in the three pharyngeal elements suggests generally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 Korean bitterlings.

  • PDF

Tooth Preparation for Considering Tooth Anatomy (치아형태를 고려한 지대치형성)

  • Jo, Byung-Woa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y
    • /
    • v.9 no.1
    • /
    • pp.42-46
    • /
    • 2000
  • 치아형태라고 하면 따분하고 재미없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치과임상에서 아주 중요한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 지대치형성은 치과보철수복의 첫 단계로서, 좋은 지대치형성은 좋은 보철물로 연결된다. 또한 치과보철 수복의 대부분은 원래의 치아형태수복에 맞추어져 있어서, 치아형태와 지대치형성은 많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알고 있는 치아형태는 교합변형태로만 인식하고 있어서, 지대치형성시 치아형태가 큰 도움을 주지는 못하는 실정에 있다. 물론 교합면형태도 중요하지만 그외의 여러형태도 치과임상에 있어서 결코 무시할 수 없다. 필자는 지대치형성에서 고려해야 할 치아형태와 임상적 중요성에 대해서 언급하여 치과의사선생님들의 임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An Efficient Modeling of Inlay/Onlay Prostheses using Computer Graphics Deformation Techniques (컴퓨터 그래픽스 변형 기법을 이용한 인레이/온레이 보철물의 효율적인 모델링)

  • Yoo, Kwan-Hee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1 no.2
    • /
    • pp.1-8
    • /
    • 2005
  • 하나의 치아가 일부 파손되어 수복되어야 할 보철물을 인레이/온레이(Inlay/Onlay)라 한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메쉬 기반 모델에서 보다 정확한 인레이/온레이를 효과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인레이/온레이는 지대치와 접하는 내면과 밖으로 들어나는 외면으로 구성된다. 인레이/온레이의 내면 모델링은 2차원 다각선상의 Minkowski Su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대치와의 접합력을 확보한다. 그리고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표준 치아 모델, 치과의사에 의해 만들어진 FGP(functionally guided plane) 및 메쉬의 변형 기법인 DMFFD(direct manipulation free-form deformation) 기법[16]과 MWD(multiple wires deformation) 기법[24]을 이용하여 외면을 모델링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표준 치아는 인레이/온레이 외면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FGP는 환자의 인접면과 교합면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3차원 메쉬의 두 변형 기법인 DMFFD와 MWD 기법은 환자의 인접면과 교합면을 반영한 치아의 형태를 만들어 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인레이/온레이의 내면과 외면을 설계할 때 필요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처리하므로 기존의 방법에 비해 짧은 시간에 보다 정확한 인레이/온레이를 설계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