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v.12
no.6
/
pp.201-206
/
2007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ming to activity of internet banking and electronic business, and smart card of medium is generalized prevailing for user authentication of electronic signature certificate management center with cyber cash, traffic card, exit and entrance card. In field that using public network, security of smart cart and privacy of card possessor's is very important. Point of smart card security is use safety for smart card by user authentication. Anonymous establishment for privacy protection and denial of service attack for availability is need to provision. In this paper, after analyze for Hwang-Li, Sun's, L-H-Y scheme, password identify element is a change of safety using one time password hash function. We proposed an efficient new smart card authentication protocol against anonymity and denial of servic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06.06d
/
pp.187-189
/
2006
최근 지하철이나 버스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해 지불방식의 편리, 지연시간의 단축 등 효율성이 높은 비접촉식 카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인증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카드ID가 스마트카드 단말기 내부에 저장하고 있어야 하며, 스마트카드ID가 변경될 때마다 서버으로부터 전송받아 최신의 정보로 갱신되어야 한다. 교통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매체는 RS-485를 사용하여 38.5Kbps로 통신하고 있고, 그로인해 스마트카드ID를 전송할 때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스마트카드ID를 전승하는 동안에는 스마트카드 단말기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어 단말기가 사용되지 않는 시간에 전송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시스템의 환경에서 점점 더 많아지고 있는 대량의 데이터를 스마트카드 단말기에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스마트카드ID의 특성을 이용한 인코딩 기법을 적용하여 스마트카드ID의 크기를 줄여 전송함으로써 전송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03.04a
/
pp.476-478
/
2003
정보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스마트카드는 무선 통신, 공중전화 서비스, 전자 상거래, 교통 분야등 여러 활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현금이나 신용카드를 대체하는 결제수단으로 떠오르면서 우리 생활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리함 뒤에는 평소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일들, 예컨대 개인 정보의 유출 등의 사고가 발생하여 시스템 안전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원격 인증에 있어 ElGamal 알고리즘이나 해쉬 함수를 이용하여 시스템이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방향 인증이 연구되어 왔으나, 기술의 발달로 시스템에 대한 위조가 가능해지면서 보다 강화된 보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산대수와 해쉬 함수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원격 사용자 양방향 인증을 설계하였다.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v.15
no.3
/
pp.68-76
/
2016
The pre-paid nation-wide interoperable transportation card, which an pay fee of bus, subway, train, and highway with just one card, released in June. 2014. It has started and operated from Seoul, Gyeonggi, and major local metropolitan area. In this paper, after starting of service, we evaluate conformance and interoperability of nation-wide interoperable transportation card system in real situation. Through this, we check the status of its technical operation. For this, we choose 6 region included Seoul, Gyeonggi which are serviced by different transport vendors and check recognition and billing result from field of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As a result, we can reach that the major nation-wide interoperable transportation card operate normally and deliver CONFIG DF query command. It means nation-wide interoperable transportation card system which use only one card stably adapt the public transport system and it can make user's public transport use convenience higher through the extension of service area.
최근 전자 상거래와 인터넷,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개인의 신분 인증 및 보안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IC카드는 이에 대한 훌륭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IC카드는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할 수 있고, 저장된 정보에 대한 보안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전자 화폐, GSM 단말기, POS 단말기, 교통, 직불 카드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IC카드를 활용하고 있으며, 향후 IC카드의 활용 범위는 급속히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IC 카드 기술과 차세대 IC카드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04.10c
/
pp.385-387
/
2004
최근 지하철이나 버스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해 비접촉식 카드를 이용한 IC카드 Reader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IC카드 Header는 ID를 인증하기 위한 UserID를 Reader내부에 저장하고 있으며 UserID가 바뀔 때 마다 상위 시스템(서버)으로부터 전송받아 최신의 UserID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교통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매체는 환경의 특수함으로 인해 낮은 전송속도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있고, 그로인해 UserID를 전송할 때 시간이 많이 소모된다. UserID를 전송하는 동안에는 IC카드 Reader의 사용이 제한되기 때문에 UserID는 IC카드 Reader가 사용되지 않는 시간에 전송하고 있다. 많은 양의 UserID를 IC카드 Reader에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UserID의 특성을 이용한 엔코딩(encoding) 기법을 적용 하여 UserID의 크기를 줄여 전송함으로써 전송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2012.05a
/
pp.398-401
/
2012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이용과 함께, 타 시스템과 연동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및 교통, 유통, 학생증 기반을 제공하는 다기능 스마트 E-Learning 시스템을 구축하여, 다양한 제휴를 제공하고, 미래교육인프라를 활용함과 동시에 첨단 IT 환경인 스마트카드를 적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유비쿼터스 E-Learning 문화를 체험하고, 보다 높은 수준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미래지향적 첨단 E-Learning 생활을 유도함과 동시에 각종 시설물 이용 및 다양한 생활에 이용되어 더 나은 Smart E-Learning을 제공한다. 이는 다양한 실적 및 통계자료의 활용을 통해 현황 파악의 신속성, 정확성을 기하여 21 세기 E-Leaning로서 경쟁력 강화 및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스마트카드 시스템을 활용한 스마트 E-Learning 모델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v.46
no.4
/
pp.42-50
/
2009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is widely used in not only our everyday lives but also in education, medical care, military, environment and administration. RFID system, the basis of ubiquitous, is in the spotlight which can be an alternative solution of a bar code recognition system and magnetic system as they basically have practicality and security issues. An electronic authentication named smart-key system is recently concerned by an alternative solution of the security unit for an automobile. RFID system which has a general purpose is also in the limelight by an application technology. In this paper we designed vehicle smart key system with general-propose RFID system that is already in use. First, we designed control unit and RFID card reader for vehicle smart key system. Then we propose an algorithm and prove that the vehicle key system is controllable by showing the result of implementing and testing, after installing. Also security level is enlarged by proposing a authentication protocol between RFID reader and control unit.
AMR(Automatic Meter Reading), which means that it reads the meter of electricity, gas, or water, etc at a remote place automatically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has been studied in terms of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and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tc.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JCA(Java Card for AMR) capable of AMR, which is based on java Card technology indispensable to the ubiquitous world. In this paper, JCA follows standard transactional procedures offered by power supply company and manages power usage log and billing data, and is designed in order to satisfy EMV multi-functional specifications. Because JCA is a multi-functional smart card capable of post-issuance applets as an open platform, it is installed into other applications of affiliated concerns as well as credit card and traffic card applications. Not only the proposed JCA is a low cost system, compared to other AMR systems, but is capable of paying rates in advance or later by applying authentication and security function of java Card. In addition the proposed JCA system can create value added services such as affiliated services with corporate alliance.
This study proposes an NFC-based payment system that considers user convenience while expanding the existing payment method for RFID-based individual food and logistics waste equipment. In line with this trend, I proposed to apply NFC to the existing RFID-based food meter to release the food in the meantime and to address the problem of re-carrying due to card loss, card not possessed, and non-filling, and the question that could not be identified by various cumbersome procedures. NFC's function alone has been certified for its convenience, which led to its introduction and research in the period of time. Of course, we need to negotiate fees with the transportation card company, but if we see a market share related to transportation card soon, we think smooth negotiations will take place. NFC method will be expanded to all phones with iPhone NFC opening. Therefore, in the next study, we intend to apply the payment system in NFC by linking with local currency, mobile vouchers, and card companies, which are being paid as respective payment means according to the recent emergency support system for COVID-19.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