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신호제어

Search Result 32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 of Signal Order on Traffic Signal Performance (신호 순서에 대한 교통신호 성능 영향도 분석에 관한 연구)

  • Joo, Hyunjin;Park, Hyebin;Lim, Y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367-370
    • /
    • 2021
  • 스마트 시티에서 교차로의 통행을 관리하는 교통신호 시스템 분야의 목표는 교통 혼잡 최소화 및 처리량 최대화이다. 현재, 신호 제어 시스템은 고정형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효율적이고 유동적으로 교통을 제어하기 위해 적응형 방식의 교통신호 제어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적응형 방식의 교통신호 방식 중에서 고정된 신호 순서에 상황에 맞는 신호시간을 할당하는 방법이 있다. 본 논문은 고정된 신호 순서가 교통 신호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호 순서가 교통신호 성능에 미치는 영향도가 크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uzzy Sensor Algorithm for Measuring Traffic Information (교통량검지를 위한 퍼지 센서 알고리즘)

  • 진현수;김성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8 no.2
    • /
    • pp.134-141
    • /
    • 1998
  • Sometimes we need to acquire symbolic quantity of information instead of physical quantity for the output of any system. For instance we can not control traffic signal accurately through only the number of vehicles. At that case we can produce better output using symbolic quantity of road length and width and vehicle type. But it is very difficult to aggregate symbolic information from the unrelated and mutually conflicted input after calculating linear and related expression. Moreover that will take much time to produce symbolic output by the physical quantity only.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ultimate traffic control information by using fuzzy sensor algorithm and compared our results with the conventional traffic controller after studying the necessity of symbolic information in the traffic control.

  • PDF

Developing and Evaluation of Coordinated Semi-Actuated Signal Control for Field Application (현장적용을 위한 연동형 반감응 신호제어 개발 및 분석)

  • Park, Soon-Yong;Lee, Suk-Ki;Jeong, Jun-Hw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3
    • /
    • pp.451-462
    • /
    • 2014
  • In this paper, Coordinated Semi-Actuated Signal Control algorithm was develop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imulation, the coordinated semi-actuated signal control led to reduced vehicle delay as the difference of traffic volume between major and minor streets was getting bigger. But when there was relatively high traffic volume, or the equivalent amount of traffic volume on major and minor streets, optimized pre-timed signal control was verified to lower delay times compared to coordinated semi-actuated signal control; however, it might increase pedestrian delay. Therefore, the coordinated semi-actuated signal control should be implemented at intersections where traffic volume is relatively low.

Development of the Simulation System for Testing and Evaluating of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s (교통신호제어시스템 성능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 정준하;하동익;이돈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5
    • /
    • pp.71-83
    • /
    • 2001
  • This paper introduces the simulation system which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ITS, and presents its adaptabilities to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s. The simulation system in this paper has a function of real-time testing and evaluating traffic control systems. It consists of Modu-RE which is a simulation operating software and Real-CID which is a controller interface device. Real-CID allows Modu-RE to communicate with traffic control hardware.

  • PDF

A Study on The Traffic Information Capability of Traffic Noise (교통소음의 교통정보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정민섭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139-148
    • /
    • 1998
  • 과학의 발달과 인간의 편리성 추구 성향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소리를 이용한 기계·전자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이다. 아마도 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가격의 저렴함과 인간에게 있어서는 가장 편리한 방법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소리라는 변수를 교통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분야를 생각해 볼 때 본 연구는 검지기를 이용한 교통 신호제어 분야를 제안하고자 한다. 검지기를 중심으로 한 교통 제어 시스템은 교통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를 차지하고 있다. 기존 고비용의 검지기 시스템들은 실제 상황에서는 그 투자 비용의 가치만큼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주요 교차로나 고속도로만을 교통변수 측정 및 교통제어의 대상으로 삼고 이들에 대해서만 검지 시스템을 운용하는 등 실용화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렴하면서도 주요 교차로를 제외한 여타의 비주요 교차로 등과 같은 어떠한 교통 여건에도 적용할 수 있는 소음검지기법의 개발은 실로 높은 연구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소음검지시스템은 교통상황변수중 가장 주용한 교통량과 도로 소음과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신호제어를 하는 원리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의 제안을 위해 교통소음과 교통량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형성하는 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응용할 수 있는 신호제어 시스템의 일부 교통관련 분야를 제안하였다.

  • PDF

Traffic Light Control System using Fuzzy Logic (퍼지 논리를 이용한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 Soung, Won-Goo;Lee, Hoon-Seok;Kim, Kwang-Be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8a
    • /
    • pp.57-61
    • /
    • 2008
  • 우리나라의 자동차의 수는 1990년부터 계속 증가하고 있다. 계속되는 자동차수의 증가로 인해 휴일, 출퇴근 시간에 교통이 혼잡 또는 마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기존의 신호등 체계는 통계적인 수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항상 일정하지 않은 차량의 수를 제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차량의 수와 점유시간에 따라 퍼지 제어 기법을 이용하여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교통 신호 제어 방법은 교차로에 대기하는 차량의 수와 점유 시간을 퍼지 제어 기법에 적용하여 차량의 진행 신호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현시에 대해 진행 신호를 부여하고 나머지는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진행 신호의 시간을 교차로에 대기하는 모든 차량의 수와 차량의 비율, 진행 신호를 부여받은 차량의 수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펴지 신호 제어 기법과 정적인 신호 제어 기법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험한 결과 차량 혼잡도와 상관없이 제안된 차량 신호 제어 기법이 동일한 시간에 더 많은 차량이 원활하게 소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Method of Conclusion of Traffic Control Signal Proposal using Fuzzy Analytic Hierachy Process (퍼지AHP를 이용한 교통신호제어기의 교통대안확정방법)

  • Jin, Hyun-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6
    • /
    • pp.1592-1598
    • /
    • 2008
  • Fixed cycle traffic signal controller is pattern type controller. This method is that one concluding traffic proposal affect fixed cycle controller to deciding cycle time during 24 hours. Traffic intersection jam is caused traffic controller supervisor input wrong traffic proposal. The available to traffic controller is traffic proposal is not selected by an outward look but propriety traffic proposal is compared with each other. This paper presents that property traffic proposal adopted to fixed cycle controller by fuzzy analytic hierachy process and new proposal adopted fixed cycle controller is compared with others.

A Study on Cooperative Traffic Signal Control at multi-intersection (다중 교차로에서 협력적 교통신호제어에 대한 연구)

  • Kim, Dae Ho;Jeong, Ok Ran
    • Journal of IKEEE
    • /
    • v.23 no.4
    • /
    • pp.1381-1386
    • /
    • 2019
  • As traffic congestion in cities becomes more serious, intelligent traffic control is actively being researched. Reinforcement learning is the most actively used algorithm for traffic signal control, and recently Deep reinforcement learning has attracted attention of researchers. Extended versions of deep reinforcement learning have been emerged as deep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showed high performance in various fields.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traffic signal control were studied in a single intersection environment,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method at a single intersection does not consider the traffic conditions of the entire c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operative traffic control at multi-intersection environment. The traffic signal control algorithm is based on a combination of extended versions of deep reinforcement learning and we considers traffic conditions of adjacent intersections. In the experiment, we compare the proposed algorithm with the existing deep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and further demonstrate the high performance of our model with and without cooperative method.

Design of Intelligent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Using Video Information (영상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 설계)

  • Kim, Pyeong-Kang;Park, Seok-Cheon;Kim, H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547-1550
    • /
    • 2013
  •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교통신호 체계는 교통량의 변화와 상관없이 규칙적인 신호주기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교통 패턴이 안정되어 변동량이 적은 경우에는 적합하나, 현장교통상황에 능동적으로 조정되지 못하고, 소방차나 구급차와 같이 긴급을 요하는 차량에 대한 대처가 힘들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유기적인 현장교통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긴급차량에 대한 합리적인 대처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 설치된 신호 후방 CCTV를 이용하여 지능적으로 신호체계를 제어하고, 긴급차량에 대해 신호우선권을 부여함으로써, 위급상황에 유기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능형 교통신호 제어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A Study on Efficiency of the Real Time Signal Control Algorithm (첨단 신호제어 알고리즘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배분 녹색시간과 대기행렬 수요의 비교를 중심으로))

  • 문형택;김종학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275-284
    • /
    • 1998
  • 신호화 교차로는 한정된 시간 자원을 각 접근로별로 서로 다른 수요에 적절하게 효과적으로 배분함으로써 그 운영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현재 서울시 기존 전자신호시스템은 검지기체계를 갖추고 있으나 주로 시간대별 제어방식(TOD제어)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실시간 교차로신호제어시스템인 이른바 첨단신호시스템이 개발되어 서울시 강남지역 61개소에서 시범운영중에 있다. 첨단신호시스템은 접근로별 수요에 따라 녹색시간을 배분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첨단신호시스템의 운영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교통수요와 운영녹색시간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출차량에 의한 포화도의 비율을 고려하여 주기 및 녹색시간을 결정하는 첨단신호제어시스템의 알고리즘은 비포화시 직진이동류에 대한 녹색시간은 수요에 비해 과대산출운영되고 있다. 둘째, 좌회전의 경우 대기차량의 패턴이 불규칙할 때, 실시간 녹색시간제어기능이 미흡하다. 따라서, 향후에는 교통수요를 고려할 수 있는 알고리즘의 보다 심도있는 연구·개발이 요구되며, 또한 비포화 상황이 아닌 과포화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는 알고리즘의 개발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