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류 특성

Search Result 23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Cause and Countermeasure of Inundation Damage in Underground Space (우리나라 지하공간 내수침수피해 원인 및 대책)

  • Cho, Jae-Woong;Choi, Wo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0-420
    • /
    • 2011
  • 도시지역의 내수침수피해는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반지하와 같은 거주공간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특히 최근에는 지하철, 지하상가 등이 대규모 개발되고 복합네트워크화 되어 지하공간의 침수대책과 대피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일본의 경우 2000년 토카이 호우피해 후 통합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1999년 및 2003년 후쿠오카 침수피해 발생 후 특정도시하천침수피해대책법을 제정, 1999 후쿠오카, 2004년 하마마츠, 2008년 카누마 피해 후 일본 방재연구소에서는 실시간 1차원 지표범람모형과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내수침수지도를 개발하였다. 특히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지하공간에 유입하는 범람수가 계단상 보행자게에 주는 위험성에 관한 연구" 등 실험을 바탕으로 각종 지하공간 침수대책 매뉴얼 및 지하시설의 침수시 피난확보계획 지침, 지하공간 침수대책 가이드라인 등 인명피해를 줄이고자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 경기도 고양시 3호선 정발산역이 침수되었으며, 2010년 서울시 지하철 2호선 사당역 및 4호선이 침수되는 등의 지하철 침수피해와 2010년 서울시 광화문 지하상가, 인천시 부평구 우림라이온스 벨리, 우남플라자, 계양구 농협하나로마트, 서원아파트 등의 지하상가와 지하다층의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2006년 3호선 정발산역 침수는 17시간이나 지하철이 불통되었고 이로 인하여 심각한 교통 체증이 유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집중호우로 인한 서울, 인천지역의 지하공간 침수피해를 중심으로 최근 10년간 지하공간 침수피해사례로부터 대표적인 침수피해 원인 및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지하공간 침수의 주요원인은 지상공간의 침수류가 지하공간으로 유입하고, 지하공간의 배수설비 용량부족, 지하공간으로의 유입을 방지하기위한 방지턱, 차수판, 침수시 비상전원 공급, 침수시 지하공간 대피 매뉴얼의 부재 등 다양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방방재청에서 고시한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에 지하공간 침수 방지를 위한 각종 시설의 설치 및 대피 경로지정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나, 지하공간 중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하철역에서 조차 침수에 대한 행동매뉴얼이나 대피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공간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를 이용한 자동 차수판과 경보기 설치, 지하공간의 사람들이 안전한 대피로를 찾을 수 있도록 지상공간 및 지하공간 출입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CCTV의 설치, Dry Area를 두어 비상대피 할 수 있는 공간의 마련 등 시설적인 부분에 대하여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지상공간의 침수 상황을 고려한 지하공간의 대피매뉴얼 또는 가이드라인 등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더불어 재산 및 인명피해를 더욱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실시간 예 경보를 위한 침수해석 모형의 개발이 시급하다.

  • PDF

Quantitative Assessment of Nonpoint Source using the Basin Model (유역모형을 이용한 비점오염원의 정량적 평가)

  • Kwon, Heon-Gak;Kim, Dong-Il;Lee, Jea-Woon;Han, Kun-Yeun;Cheon, S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41-141
    • /
    • 2012
  • 비점오염물질은 강우 시 유출되기 때문에 일간, 계절 간 유출량 변화가 대단히 크게 나타나며, 기후, 지형, 토지이용, 토양 등과 지역적인 특성과 유역 형상에 따라 변화되므로 비점오염원 유출량에 대한 정량화를 위해서는 강우지속시간동안 정확한 수질과 유량에 대한 측정 자료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물질에 대해 현장 모니터링 및 현장 실측 관련 기존 연구자료 수집을 통해 중분류 토지피복분류별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또한 특정 유역에 중분류 토지피복 분류별 산정된 원단위를 적용하여 유역기반의 비점오염부하량을 산정 하였다. 대상 유역에 해당하는 하천 말단에서의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유역모형을 구축하고, 강우를 입력 자료로 하여 비점오염 물질별 부하량을 모의 산정하였다. 유역모형으로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을 실제 대상유역에 적용하였고, 이에 따른 모의 결과를 실측치와 비교하여 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이렇게 모의 산정된 부하량은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산정된 원단위의 적용에 따른 부하량과 비교 검토하여 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 부하량 산정 시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대상유역은 동천유역으로 병성천의 주요 지류로서 유역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중분류 토지피복 중 공업지역, 교통지역, 과수원재배지, 비닐하우스재배지, 기타재배지에 대해서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이외의 중분류 토지피복에 대한 결과는 수계별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환경기초조사사업 중 '주요 비점오염원 유출 장기 모니터링'사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동천유역의 비점오염원 발생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BOD 부하량은 대지의 경우 391.4 kg/day로서 중분류 군으로 구분한 결과에 비해 높게 산정되었다. T-N, T-P 발생부하량도 토지피복군이 대분류에서 중분류로 변화됨에 따라 부하량의 차이가 발생 하였다. 또한 동천유역에 대해 구축된 HSPF 모형의 적합도를 시기별 4개의 Case로 구분하여 평가해 보았는데 그 결과, 모형 모의치의 실측치에 대한 적합도가 높게 평가 되었다. 현재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조사되고 있는 중분류 토지피복을 조사 기관간의 교차 조사를 통해 지역적 제한성을 낮추고, 중분류에 속하는 세부피복지점을 확대하여 모니터링 지점의 다양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동시에 한시적인 조사가 아닌, 장기간에 걸쳐 연구가 진행 될 경우 원단위에 대한 현재의 불확실성 및 제한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러한 기초 자료 확보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와 노력이 수반될 시 우리나라에 대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원단위가 산정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기틀이 마련되어야 비점오염원에 대한 적절한 유역관리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eavy Metals in Road Deposited Sediments and Control of Them in Urban Areas: A Review (문헌고찰에 의한 도시 지역 도로퇴적물의 중금속 특성 및 적정 관리방안)

  • Kim, Do Gu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3
    • /
    • pp.125-140
    • /
    • 2022
  • Road Deposited Sediment (RDS) is the solids formed from the wear of road, wear of vehicles, exhausts, and the input of the emissions from various sources out of the roads. RDS is seriously polluted by organic matter, nutrients, and metals. RDS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sink and the transport medium of the associated pollutants because RDS can be carried to the adjacent water system via stormwater runoff. In this regard, the heavy metals in RD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publications. The contents of the metals in RDS were highly variable. The concentration of Cr, Ni, Cu, Fe, Zn, As, Cd, and Pb in urban RDS in various regions was in a range of 3.16-3,410, 1.15-1,382, 20.2-9,069, 2,980-124,853, 81-2,550, 2.3-214, 0.19-21.3, and 15.21-1,125 mg/kg, respectively. The anthropogenic enrichment of the metals in RDS was confirmed by the high concentration of Cu, Zn, Cd, and Pb. The contents of the metals were higher in industrial and traffic areas than in residential areas, while they were generally increased with decreasing particle size.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s results would contribute to quantifying the metals' load via RDS and establishing control strategies.

Factors Associated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a Public Health Center (보건소 건강증진 프로그램 신청자의 참여 상태와 관련 요인)

  • Park, Yeun-Ju;Park, Hyun-Hee;Ryu, So-Ye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5 no.3
    • /
    • pp.287-300
    • /
    • 2010
  • Objectives: We identified factors associated with any participation and with "good participation" (as assessed by frequency of attendance)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a public health center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199 women who attended a baseline examin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during the first half of 2009. We collected data by structured interviews and physical examinations. Participation status was quantified by the frequency of attendance to the program. We classified the subjects as non-participants (0) and participants (1+ times), and as poor participants (0-29 times) and good participants (30+ times). Results: Of the 199 subjects, there were 57 (28.6%) non-participants, while 56 (28.1%) were classified as good participants.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participation status, as identified by univariate analysis, were personal factors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religion, living with someone, monthly income), environmental factors (method of access, accessibility of other facilities), body mass index, hypertension, perceived barriers to health, emotional salience, affectionate domain of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method of acces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participation i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that the factors most highly associated with good participation were emotional salience, hypertension and body mass index.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specific factors determine and enhance participation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offered by public health centers.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during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that are offered by public health centers.

The Utilization Rate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Post by Some Rural Residents and Its Associated Factors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보건진료소 이용도와 관련요인)

  • Lee, Woon-A;Ryu, So-Yeon;Park, Jong;Kim, Suk-Il;Kim, Ki-So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5 no.1
    • /
    • pp.133-147
    • /
    • 2000
  • To provide data for the improvement of primary health care through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rate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CHP) post and its related factors toward some rural residents in Mooan County Chollanamdo, a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from 382 persons during August 1999. Comparison was made between persons at the seaside area under difficult transportation and persons at the railroad area under convenient transport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the last one year, 83.3% of seaside area residents and 67.0% of railroad area residents used CHP post. As the purpose of visit to CHP post at seaside area, 94.3% visited for medical care, 25.3% for chronic disease control and 22.2% for health counselling and 14.1% for chronic disease control. 2. By simple analysis,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residence area, distance from living village to CHP post, presence of chronic diseases, satisfaction with CHP and confidence on CHP were 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utilization of CHP post for the last one year. 3.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with the utilization rate of CHP post for the last one year were analyzed as age, sex, residence area and distance from living village to CHP post.

  • PDF